• Title/Summary/Keyword: RARE PLANT SPECIES

검색결과 483건 처리시간 0.022초

Genomic Analysis of the Xanthoria elegans and Polyketide Synthase Gene Mining Based on the Whole Genome

  • Xiaolong Yuan;Yunqing Li;Ting Luo;Wei Bi;Jiaojun Yu;Yi Wang
    • Mycobiology
    • /
    • 제51권1호
    • /
    • pp.36-48
    • /
    • 2023
  • Xanthoria elegans is a lichen symbiosis, that inhabits extreme environments and can absorb UV-B. We reported the de novo sequencing and assembly of X. elegans genome. The whole genome was approximately 44.63 Mb, with a GC content of 40.69%. Genome assembly generated 207 scaffolds with an N50 length of 563,100 bp, N90 length of 122,672 bp. The genome comprised 9,581 genes, some encoded enzymes involved in the secondary metabolism such as terpene, polyketides. To further understand the UV-B absorbing and adaptability to extreme environments mechanisms of X. elegans, we searched the secondary metabolites genes and gene-cluster from the genome using genome-mining and bioinformatics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7 NR-PKSs, 12 HR-PKSs and 2 hybrid PKS-PKSs from X. elegans were isolated, they belong to Type I PKS (T1PKS) according to the domain architecture; phylogenetic analysis and BGCs comparison linked the putative products to two NR-PKSs and three HR-PKSs, the putative products of two NR-PKSs were emodin xanthrone (most likely parietin) and mycophelonic acid, the putative products of three HR-PKSs were soppilines, (+)-asperlin and macrolactone brefeldin A, respectively. 5 PKSs from X. elegans build a correlation between the SMs carbon skeleton and PKS genes based on the domain architecture, phylogenetic and BGC comparison. Although the function of 16 PKSs remains unclear, the findings emphasize that the genes from X. elegans represent an unexploited source of novel polyketide and utilization of lichen gene resources.

지리산국립공원 세석지역의 아고산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Subalpine Vascular Plants in Seseok Area of Jirisan National Park)

  • 노일;정재민;조민기;김태운;문현식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01-211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scular plants which can be an indicator of environmental change in Seseok of Jirisan National Par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subalpine species. This study showed that the area had a total 295 taxa including 63 families, 177 genus, 252 species, 2 subspecies, 36 variants 5 forms and Pte-Q was 1.7. Among them, Korea endemic plants were 15 taxa such as Abies koreana. Rare plants were 14 taxa such as Viola diamantiaca. Naturalized plants consisted of 5 taxa such as Rumex crispus.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surveyed area were 72 taxa comprising 3 taxa of grade V, 7 taxa of grade IV and 24 taxa of grade III. In summary, The subalpine plants of the survey region consisted of 37 taxa including Abies koreana and Gymnadenia cucullata. As rare plants distributed in subalpine zone respond sensitively to climate change, accuracy distribution rang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habitat and population dynamics of rare plants should be evaluated quantitatively.

전남지방에 분포하는 난대 자원식물 - 희귀특산 목본식물을 중심으로 - (Resoures Plants Distributed in the Warm-temperature Zone of Jeonnam Province)

  • 유한춘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23
    • /
    • 2019
  • 전남지역은 도서지역이 많고 지역적 특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식물들이 자생하고 있는데 이중 희귀특산식물은 217종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에서 난대림 지역에 생육하고 있는 목본 희귀식물 및 특산식물을 중심으로 지리적 분포위치와 생육상태 등을 보고하고자 한다. 전남지역에 분포하는 멸종위기종(CR)은 35종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목본식물은 초령목(신안), 섬다래(완도), 조도만두나무(진도), 덩굴옻나무(여수), 거문도닥나무(고흥, 여수)등이 비교적 양호하게 자생하고 있다. 위기종(EN)은 37종에서 목본식물은 왕자귀(목포, 무안), 백서향(신안), 나도은조롱(완도), 박달목서(여수, 신안) 등이 자생하고 있다. 취약종(VU)은 54종으로 목본식물은 백량금(완도, 신안), 황근(완도), 붓순나무(진도), 모감주나무(완도), 산닥나무(영암, 진도)등이 자생하고 있다. 약관심종(LC)은 36종으로 목본식물은 검팽나무(여수), 이팝나무(완도, 고흥), 녹나무(완도, 진도), 털조장나무(보성) 등이 양호하게 자생하고 있다.

  • PDF

경주국립공원 토함산지구 내 만호봉 일대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of Mt. Manhobong in Mt. Tohamsan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 유주한;권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75-589
    • /
    • 2018
  • 본 연구는 토함산지구 내 만호봉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상을 조사 및 분석함으로서 경주국립공원의 생태계를 관리 및 보전하기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2012년 5월부터 2017년 8월까지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증거표본을 기초로 관속식물상 목록을 작성한 결과, 91과 292속 397종 4아종 48변종 8품종 등 총 457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멸종위기야생생물은 2분류군, 희귀식물은 11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1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39분류군으로, V등급은 3분류군, IV등급은 5분류군, III등급은 2분류군, II등급은 11분류군, I등급은 18분류군이다. 귀화식물은 33분류군이고 귀화율(NI)과 도시화지수(UI)는 각7.2%, 10.3%이다. 생태계교란식물은 돼지풀과 미국쑥부쟁이 2분류군이다.

자원식물 활용을 위한 서운산 식물상 연구 (Study of Flora in Mt. Seoun to use Plant Resources)

  • 안영희;양영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59-276
    • /
    • 2001
  • 서운산(574m)은 지리적으로 북위 36$^{\circ}$54'~ 36$^{\circ}$50', 동경 127$^{\circ}$ 16'~127$^{\circ}$19'사이에 위치하며 경기도와 충청북도에 걸쳐 있다. 본 연구는 2000년 3월~10월까지 9차례에 걸쳐 실시한 현지조사의 결과를 종합하여 소산 식물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조사지의 소산 식물은 90과 268속 383종 49변종 5품종 2교잡종 등 총 439종류로 확인되었다. 산림청 지정의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천마, 뻐국나리, 삼백초, 태백제비꽃 등이 조사되었으며, 특산식물은 총 12종으로 전체 소산식물의 2.7%를 차지하였다. 귀화식물은 총 24종류로 전체 소산식물의 5.5%에 해당되었다. 서운산에서 조사된 자원식물의 용도별 구분은 식용자원식물이 239종류(54.4%), 약용 자원식물이 270종류(61.5%), 관상용 자원식물이 217종류(49.4%), 목재용 자원식물이 46종류(10.5%), 사료용 자원식물이 56종류(12.8%)로 구분되었다.

  • PDF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완도 정도리 방풍림의 바람골과 식물종다양성 (Wind Alley and Flora Plant Species Diversity of the Wando Jeongdo-ri Windbreak Forests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 임동옥;최현우;황인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03-518
    • /
    • 2010
  • 정도리 해안방풍림은 완도 정남지역으로 바다와 육지 사이에 위치하면서 여름철 강한 남동풍을 막아 줌으로서 육상 경작지나 어촌 마을을 보호하는 육상생물이 서식하는 생태적 천이지역으로서 매우 중요한 곳이다. 정도리 방풍림의 식물상은 93과 250속 335종 42변종 7품종으로 총 384분류군이다. 정도리지역은 식물구계학적으로 남해안아구에 속하고 멸종위기 야생동 식물II급 종인 대흥란이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은 대흥란, 두루미천남성, 말나리, 모감주나무, 수정난풀 및 백량금으로 6분류군, CITES 보호종인 보춘화와 대흥란 2분류군, IUCN 보호종인 생달나무 1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특산식물은 새포아풀, 죽대, 옥녀꽃대, 소사나무 및 털괴불나무 등 7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조사지역 귀화식물은 11과 23속 27종 5변종으로 총 32분류군이 조사되어 귀화율은 8.33%이었으며 도시화지수는 11.81%이었다.

석불산 일대의 관속식물 분포와 군락 분류 (Classification of Community and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Mt. Seokbul)

  • 변무섭;오현경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75-382
    • /
    • 2007
  • 본 연구는 석불산 일대의 관속식물상과 식생을 조사하여 식물종의 분포 양상을 알림으로서 식물자원의 효율적 이용에 일조하고자 수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석불산 일대의 관속식물상은 96과 249속 293종 2아종 43변종 3품종 1재배종으로 총 342종류가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에는 나도개감채(보존우선순위; 169번)와 쥐방울덩굴(151번)이 확인되었으며, 특산식물에는 민땅비싸리, 산철쭉, 개나리(식재종), 병꽃나무, 개비자나무, 지리대사초, 은사시나무(식재종)가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에는 V등급과 II등급에 해당하는 식물은 출현하지 않았으며, IV등급에는 등나무가(식재종), III등급에는 나도개감채, 단풍나무가, I등급에는 개비자나무, 민바랭이새, 굴참나무, 참느릅나무, 송악, 쥐방울덩굴, 산돌배, 예덕나무, 물오리나무, 말오줌때, 동백나무(식재종), 거지덩굴, 장구밥나무, 정금나무, 큰엉겅퀴로 총 18종류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에는 11과 26속 32종 2변종으로 총 34종류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전체 342종류의 관속식물 중 9.9%로 분석되었다. 석불산 일대의 식물군락에는 조사구내에 출현하는 식물들의 우점도와 군도를 조사한 후 종조성표를 작성하여 군락을 선정한 결과, 3개의 조사구는 소나무군락으로, 1개의 조사구는 곰솔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천관산도립공원 식생보전을 위한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 (Analysis of Plants Social Network for Vegetation Conservation on Cheongwansan Provincial Park in Jeollanam-do)

  • 강지우;이상철;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92-402
    • /
    • 2023
  • 본 연구는 천관산도립공원의 식물사회 특성을 파악하고 지속가능한 식생관리와 도립공원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천관산도립공원을 대상으로 126개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출현한 목본수종을 조사하였고 희소종을 제외한 종을 중심으로 종간결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Gephi 0.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소시오그램으로 작성하였으며, 인접한 노드 간 그룹을 나누어주는 모듈화 분석과 네트워크 중심성 및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조사된 방형구 내 출현빈도는 청미래덩굴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졸참나무, 사스레피나무, 때죽나무, 조릿대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희소종을 제외한 69종에 대해 종간결합분석을 실시하였고, 양성결합을 토대로 식물사회네트워크를 시각화하였다. 식물사회네트워크는 69개의 노드와 396개의 연결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수종이 평균 약 17.9종과 종간결합을 맺으며 2.3단계 만에 서로 간 연결되었다. 69종은 모듈화 분석을 통해 3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1그룹은 주로 상록활엽수 및 난온대 지역에서 출현하는 수종으로 이루어졌으며, 2그룹은 낙엽활엽수 위주로 이루어졌다. 3그룹은 주로 햇빛이 잘 들고 건조한 양지에서 잘 자라는 수종으로 나뉘었다.

북경남 변전소 사업부지의 관속식물 현황과 분포 (Distribution and Status of Vascular Plants a Site of Project in the Bukkvungnam Substation)

  • 오현경;김철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6-74
    • /
    • 2008
  • In recent years, the view centered conservation for eco-system is getting important rather than development from human oriented perspective. As a result, the concept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is seeking harmony between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appeared so that we researched distribution and status of vascular plants a site of project in the Bukkyungnam substation. The main findings from the study is as follows. The vascular plants a site of project in the Bukkyungnam substation area was listed 435 taxa; 93 families, 269 genera, 377 species, 1 subspecies, 51 varieties and 6 forms.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25 taxa; Acer palmatum (Planted species), Asperula lasiantha in Class III, Caryopteris incana, Cirsium schantarense in Class II, 21 taxa (Dryopteris erythrosora, Chloranthus japonicus, Salix glandulosa, Alnus hirsuta, Quercus variabilis, Ulmus parvifolia, Clematis patens, Rubus hirsutus, Euphorbia pekinensis, Cayratia japonica, Grewia biloba var. parviflora, Vaccinium oldhami, Microstegium japonicum, Hosta capitata, Polygonatum falcatum, etc.) in Class I.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10 taxa were recorded; Cephalotaxus koreana, Populus tomentiglandulosa (Planted species), Indigofera koreana, Forsythia koreana (Planted species), Paulownia coreana (Planted species), Asperula lasiantha, Weigela subsessilis, Adenophora triphylla var. hirsuta, Carex okamotoi, Lilium amabile and based on the list of the rare plants by the Forest ResearchInstitute, 2 taxa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Lilium callosum (Preservation priority order; No. 191), Aristolochia contorta (No. 151).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13 families, 22 genera, 28 taxa and naturalization rate was 6.4% of all 435 taxa vascular plants.

Micropropagation of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a Korean Endemic Species in Danger, Using Axillary Buds

  • Hyunseok Lee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60-60
    • /
    • 2020
  • To establish in vitro axillary bud culture conditions of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one of Korean endemic endangered species famous for beautiful flowers, we tested the influence of plant growth regulators (PGRs) in shooting and rooting stage from in vitro plants. In shoot multiplication, addition of 6-benzylaminopurine (BA) to the media induced 2.5 to 3 shoots per bud during 4 weeks of culture. And media including 0.5 mg L-1 thidiazuron (TDZ) produced 3 to 4 shoots per bud. However, zeatin and isopentenyl adenine (2-ip) were not successful to increase shoot number, and the combination treatments of BA with other PGRs were also not effective. Shoots were smaller than 2 cm in length, in most of the treatments. In rooting, naphthalene acetic acid (NAA) treatments in the range of 0.5 to 4.0 mg L-1 appeared to increase rooting rate by 10% to 60% approximately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but roots developed with callus clusters. Indole butyric acid (IBA) addition had little effect on rooting (below 10%), while some roots were longer than in NAA treatments and some shoots were longer on high IBA concentrations (4.0 to 8.0 mg L-1). It is suggested that micropropagation is a highly applicable and promising to multiplication and conservation of rare and endangered endemic spec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