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RCUS VARIABILIS

검색결과 521건 처리시간 0.022초

Occurrence of Sporendocladia bactrospora on Quercus variabilis in Korea

  • Lee, Dong-Hyeon;Seo, Sang-Tae;Lee, Sang-Hyun;Lee, Seung Kyu;Lee, Sun Keun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94-398
    • /
    • 2017
  • A survey to assess the diversity of wound-associated Ophiostomatales and Microascales, the so-called ophiostomatoid fungi, on Korean native trees, was undertaken in 2017. Wounds were artificially created, and a fungus resembling a species of Sporendocladia was consistently isolated from the exposed cambium and inner bark of artificially induced wounds on Quercus variabilis. Morphological examination and DNA sequence comparisons based on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and 5.8S regions of the rDNA confirmed the identity of the fungus as Sporendocladia bactrospora. This is the first report on S. bactrospora occurring on Q. variabilis in Korea.

Species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Oriental Arbor-vitae (Thuja orientalis L. Forest in Daegu, Southeastern Korea

  • Cho, Hyun-Je;Bae, Kwan-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4호
    • /
    • pp.205-211
    • /
    • 2001
  •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Oriental Arbor-viate forest, natural monument no. 1, were investigated in the Daegu city, southeastern Korea. Vegetation stratification have four layers including tree (>5m), subtree (2m-5m), shrub (1m-2m) and herbs (<1m), which occupied 63.8%, 10.7%, 12.1% and 49.4%, respectively. The vegetation of the study area were divided into Artemisia keiskeana - Quercus variabilis and Pyrrosia linearifolia-Thuja orientalis (OAV) communities. Frequency distribution for diameter classes of the Oriental Arbor-vitae population showed a reverse-J shape.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OAV forest of this site might maintains continuously the present state. The annual radial growth of OAV,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the dominant species of the present site showed 0.29, 1.01 and 1.28 mm/year, respectively. Competition of OAV with theh other species including P. densiflora and Q. variabilis could influence negatively on the growthand survival of OAV forest in this site.

  • PDF

산림 화재감식 응용을 통한 내화림 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fforestation of Fire-Resistant Forest through an Application of Forest Fire Investigation)

  • 박영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118-129
    • /
    • 2011
  • In this study, species resistant to forest fire were extracted from high trees through an investigation of combustion mechanism. Here, the average flameless ignition temperatures of living leaves, branches and barks of oak were respectively, $365^{\circ}C$, $440^{\circ}C$ and $435^{\circ}C$, and the average flameless ignition temperatures of living leaves, branches, barks and cones of pine tree were respectively, $320^{\circ}C$, $405^{\circ}C$, $435^{\circ}C$ and $363^{\circ}C$. It shows that generally, pine tree has a lower flameless ignition temperature than oak and thus, has a relatively high risk of flameless ignition. When comparing risk of fire depending on ignition characteristics, Quercus serrata had a low risk of stem fire, and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serrata had a low risk of crown fire, as well. When analysing risk of fire depending on a duration of flame, also, Quercus dentata had a low risk of stem fire, and Quercus variabilis Blume had a low risk of crown fire too. Lastly, when comparing risk of fire, according to heat release rates, Quercus acutissima had a low risk of stem fire, and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dentata had a low risk of crown fire, as well. In conclusion, it was observed that as fire-resistant species, Quercus serrata and Quercus dentata have a low risk of ignition, Quercus variabilis Blume has a short duration of flame after discharging ignition when a forest fire occurs, and Quercus acutissima, Pinus Rigida and Antipathes japonica Brook have low heat release rates.

생리활성화물질(生理活性化物質) 투여(投與)가 표고버섯 원목재배(原木栽培)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Administration of Physiologically Activating Substance on the Log Cultivation of Lentinus edodes)

  • 채정기;이광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361-368
    • /
    • 1995
  • 표고버섯 원목(原木) 재배(栽培)에 있어서 골목화 기간을 단축하여 해균(害菌)의 침입을 막고 생산량 증대를 위한 방법으로 생리활성화물질(生理活性化物質)이 표고버섯 골목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분석하였다. 생리활성화물질은 파(Allium fistulosm), 보리(Hordeum vulagare var. hexastichon), 표고버섯(Lentinus edodes), 당근(Daucus carota var. sativa), 유자(Citrus junos)를 사용하였는데 그 중 파(Allium fistulosm)의 추출액이 제일 유효하였으며, 생리활성화물질(生理活性化物質)에 효과가 높은 수종(樹種)은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로 나타났다.

  • PDF

핑거공차가 휨강도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inger Dimensions of Tip and Root Widths on Bending Strength Properties)

  • 변희섭;류현수;안상열;이균필;박한민;김종만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0
    • /
    • 2001
  • As finger joint method has a high rate of yield and high strength and ease in working, it has been widely used as an end joint method for solid wood and wood based-material. Therefore, we end-joined the material of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and populus euramericana with polyvinyl acetate adhesive and resorcinol phenol resin adhesive. The effect of difference (0, 0.15, 0.3, 0.45mm) between the dimensions of tip width and root width of the finger (DTRW) on bending strength properties was as follows: 1. In the case of polyvinyl acetate adhesive, DTRW had no effect on bending modulus of elasticity(MOE) and modulus of rupture(MOR) of the three kinds of species, because their bonding layers were destroyed by slippage, not their woody parts. 2. In the case of resorcinol phenol resin adhesive, the material of Quercus variabilis showed an optimal result at 0.15 or 0.3 of DTRW, while the poplar did at 0 of DTRW 3. The differences in efficiency ratio of bending MOR of populus euramericana,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species according to the kind of adhesive were 13-29%, 23-30% and 45-53%, respectively.

  • PDF

내장산 국립공원의 현존식생과 잠재자연식생 (Actual Vegetation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Naejangsan National Park, Southwestern Korea)

  • Kim, Jeong-Un;Yang-Jai Y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1권3호
    • /
    • pp.145-152
    • /
    • 1988
  •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Naejangsan national park area, southwestern Korea, was inferred from the actual vegetation. With the 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ordinatins and field surveys, the actual vegetation map of the area was made in scale 1:25, 000, including ten communities of Pinus densiflora, quercus mongolica, Quercus variabilis, Carpinus laxiflora, Daphnipyllum macropodum, Carpinus tschonoskii, Quercus aliena-Carpinus tschonoskii, Cornus controversa-Lindera erythrocarpa, Torreya mucifera-Zelkova serrate and Acer mono-Zelkova serrata community. The analyses of species richness, age structure and various informations on vegetation changes suggest the three pathways of late stage succession from P. densiflora forest to climatic climax. The first of them is through Q. variabilis forest to Q. monogolica forest in the upper parts of the mountain, the second through Q. variabilis and Q. serrata forest to C. laxiflora forest in the middle parts and the third through Q. aliena forest to C. tschonoskii forest in lower parts. Considering the actual vegetation and informations on the vegetation changes including human activities,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the mountain mainly composed of Q. monogolica, C. laxiflora, C. tschonoskii, P. densiflora and Z. serrata forest as climatic climax and/or edaphic climax was inferred. The present situration of nature conservation in the area was estimated by the examination on the actual vegetation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map.

  • PDF

계룡산 국립공원 산림생태계의 탄소축적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stimation of Forest Ecosystem Carbon Storage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Korea)

  • 장지혜;이준석;정지선;송태영;이경재;서상욱;이재석
    • 생태와환경
    • /
    • 제47권4호
    • /
    • pp.319-327
    • /
    • 2014
  • 지역적 규모의 탄소 축적량 자료는 지역적 규모의 탄소순환 형태의 이해를 위한 필수적 요소이며 지구적 규모의 탄소순환 형태 변화를 예측하는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된다. 본 연구는 국내 다양한 생태계 중 자연성이 높은 국립공원지역 산림 생태계의 탄소축적량을 산정하여 자연군락이 축적 가능한 탄소축적 잠재량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지인 계룡산 국립공원은 신갈나무류군락 1,743.5 ha (38.0%), 굴참나무류군락 1,174.0 ha (25.6%), 졸참나무류군락 971.90 ha (21.2%), 소나무류군락 695.19 ha (15.2%) 등의 순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들 군락의 분포 중심으로 판단되는 지점에 정밀 조사구를 설치하여 biomass 탄소축적량 측정을 위해 매목조사를 실시하였고, 리터층 및 토양층의 탄소축적량은 조사구 내 소방형구($30cm{\times}30cm$)를 설치, 리터와 토양 (0~30 cm)을 채취하여 측정된 리터 건중량 및 토양 유기물함량을 기초로 단위 탄소값을 구한 후 해당 군락의 총 면적으로 환산하여 산정하였다. 임목 biomass 탄소축적량은 굴참나무군락이 $130.1tCha^{-1}$, 소나무군락 $111.1tCha^{-1}$, 신갈나무군락 $76.2tCha^{-1}$, 졸참나무군락 $39.0tCha^{-1}$ 순으로 산정되었다. 리터층 탄소축적량은 소나무군락이 $18.3tCha^{-1}$, 신갈나무군락 $13.4tCha^{-1}$, 졸참나무군락 $5.8tCha^{-1}$, 굴참나무군락 $5.0tCha^{-1}$의 순으로 나타났다. 토양탄소축적량은 신갈나무군락이 $159.7tCha^{-1}$, 졸참나무군락 $121.0tCha^{-1}$, 소나무군락 $110.5tCha^{-1}$, 굴참나무군락 $90.8tCha^{-1}$의 순으로 산정되었다. 생태계탄소축적량은 소나무군락이 $239.9tCha^{-1}$, 신갈나무군락이 $235.9tCha^{-1}$, 굴참나무군락은 $226.0tCha^{-1}$, 졸참나무군락은 $165.9tCha^{-1}$를 나타냈고 총 $867.7tCha^{-1}$로 나타났다. 각 군락의 면적 별 탄소축적량은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신갈나무류군락에서 $411,200tCha^{-1}$, 굴참나무군락에서 $265,300tCha^{-1}$, 소나무군락에서 $166,800tCha^{-1}$, 졸참나무군락에서 $161,200tCha^{-1}$로 계룡산 국립공원에서 총 $1,045,400tCha^{-1}$로 산정되었다. 계룡산 국립공원의 생태계탄소축적량을 조사한 결과, 탄소축적량은 분포하고 있는 식생군락에 따라 다른 값을 보였으며, 이는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따라 식생의 분포 유형 및 종류가 변하게 되면, 생태계 탄소축적량도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한 한반도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충북지역 산지대 하부의 참나무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Quercus Forests in the Lower Montane Zone, Chungbuk Province, Korea)

  • 이장순;송종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32-441
    • /
    • 2007
  • 본 연구는 Z. -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연구방법에 의해 충북지역의 박달산, 계명산, 보련산, 월악산, 천등산, 조령산, 국망산, 부용산, 두타산, 만뢰산, 미동산, 감악산, 시루봉, 십자봉, 용산봉 일대의 산지대 하부의 참나무림을 분류하고 그 환경조건을 해석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일대의 참나무림 식생은 A. 굴참나무군락(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1. 상수리나무하위군락(Quercus acutissima subcommunity), A-2. 전형하위군락(Typical subcommunity), B. 신갈나무군락(Quercus mongolica community), C. 떡갈나무군락(Quercus dentata community)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식생단위는 인위 및 해발과 같은 환경복합의 경도에 의해 배비되었으며, 종의 우점도에 근거한 집괴분석(군평균법)의 결과와도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지리산국립공원 제4기 자원조사 표본지 내 식물군집구조 (A Study on Plant Community Structure Based on the Fourth National Park Resource Survey Plots in Mt. Jirisan National Park)

  • 박홍철;김은옥;김우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82-500
    • /
    • 2020
  •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전체를 대상으로 표본지 매목조사를 통한 식생군락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지리산국립공원 산림생태계 보전·관리 계획 수립을 위한 최신 자료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종수-면적 곡선을 작성한 결과, 총 40개의 조사구(총 면적 16,000 ㎡)가 지리산국립공원의 출현 종 및 식생현황을 파악하는데 적절한 면적 및 개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TWINSPAN Classification 결과 4개의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I군락은 들메-당단풍나무군락(Fraxinus mandshurica - Acer pseudosieboldianum Community), II군락은 졸참-굴참나무군락(Quercus serrata -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III군락은 신갈나무군락(Quercus mongolica Community), IV군락은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으로 분류되었다. I군락은 들메나무군락으로 교목층에 들메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층층나무와 신갈나무가 경쟁하며 세력을 유지하고 있다. II군락은 졸참-굴참나무군락으로 교목층에 굴참나무와 졸참나무가 경쟁하며 우점하고 있으며, 아교목층에서 쪽동백나무와 때죽나무가 경쟁하며 우점하고 있다. III군락은 신갈나무군락으로 신갈나무가 교목층에서 67%, 아교목층에서 27%로 높은 우점도를 보이며, 당단풍나무가 아교목층에서 신갈나무와 경쟁하고 있다. IV군락은 소나무군락으로 교목층에서 소나무가 74%의 높은 우점도를 보이고 있다. 아교목층은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개서어나무와 쇠물푸레가 경쟁하며 동반발달하고 있다.

월악산에 분포하는 소나무(Pinus densiflora)림에서의 교란체제와 천이 과정 (Disturbance and Regeneration Process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 in Mt. Worak)

  • 김홍은;권기철;정택상
    • 임산에너지
    • /
    • 제19권2호
    • /
    • pp.79-85
    • /
    • 2000
  • 월악산에 소재하여 있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함으로써 소나무림의 숲틈형성과 재생 및 천이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월악산 소나무림을 이루고 있는 수종들로는 교목층으로 소나무와 굴참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중층으로는 신갈나무, 졸참나무, 쇠물푸레 등의 수종이 우점하고 있다. (2) 소나무림의 숲틈형성요인으로서 고사목의 고사유형은 입목고사형이 가장 많았다. (3) 흉고직경급별 분포를 분석한 결과 소나무림은 먼저 굴참나무림으로 바뀌다가 다시 신갈나무와 졸참나무로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4) 소나무 치수는 건조한 지역에서 생성된 숲틈에서만 발견되고 있어 이러한 지역에서만 환경적 극상으로서 소나무림이 유지될 가능성을 조여주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