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Quercus Forests in the Lower Montane Zone, Chungbuk Province, Korea

충북지역 산지대 하부의 참나무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 Lee, Jang-Soo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Song, Jong-Suk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7.10.31

Abstract

This study was done to classify the Quercus forests, along with their interpretation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located in the lower montane zones of Mt. Bakdal, Gyemyeong, Boryeon, Worak, Cheondeung, Joryeong, Gugmang, Buyong, Duta, Malloe, Midong, Gamak, Sirubong, Sipjabong and Yongsanbong in Chungbuk Province, According to the methodology of the Z.-M. schools of phytosociology, the Quercus fores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ommunities and two subcommunities A.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1. Quercus acutissima subcommunity, A-2. Typical subcommunity; B. Quercus mongolica community; C. Quercus dentata community. These vegetation units were arranged by human interferences and a gradient of environmental complex such as altitudes, and also were corresponded relatively well with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UPGMA), based on the dominance of component species.

본 연구는 Z. -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연구방법에 의해 충북지역의 박달산, 계명산, 보련산, 월악산, 천등산, 조령산, 국망산, 부용산, 두타산, 만뢰산, 미동산, 감악산, 시루봉, 십자봉, 용산봉 일대의 산지대 하부의 참나무림을 분류하고 그 환경조건을 해석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일대의 참나무림 식생은 A. 굴참나무군락(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1. 상수리나무하위군락(Quercus acutissima subcommunity), A-2. 전형하위군락(Typical subcommunity), B. 신갈나무군락(Quercus mongolica community), C. 떡갈나무군락(Quercus dentata community)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식생단위는 인위 및 해발과 같은 환경복합의 경도에 의해 배비되었으며, 종의 우점도에 근거한 집괴분석(군평균법)의 결과와도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2001) 한국기후표(1971-2001). 632쪽
  2. 김인택(1987) 창원지역 식생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창원대학 논문집 9: 417-449
  3. 김인택, 이상명, 변두원(1992) 가덕도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5: 81-102
  4. 김창환, 강선희, 길봉섭(1991) 적상산의 식생. 한국생태학회지 14: 137-148
  5. 김창환, 강선희, 길봉섭(1994) 분류법과 정도분석에 의한 무등산 삼림식생 분석. 한국생태학회지 17: 471-484
  6. 김철수, 송태곤(1986) 영산호 유역 식물군락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자연보전연구보고서 8:99-127
  7. 김철수, 오장근(1993) 무등산의 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6:93-114
  8. 류병혁(1997) 거제도 삼림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8쪽
  9. 송종석, 송승달, 박재홍, 서봉보, 정화숙, 노광수, 김인선(1995) 서열법과 분류법에 의한 소백산의 신갈나무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8: 63-87
  10. 송종석, 정화숙, 노광수, 송승달(1998) 윌악산, 조령산, 주흘산, 보현산의 참나무림 식생경도. 한국생태학회지 21: 419-426
  11. 이우철(1996)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1688쪽
  12. 이은복, 임양재(1989) 북한산 국립공원의 식생에 관한 연구. 학술원논문집(자연과학) 28: 61-123
  13. 이장순, 김헌규, 송종석(2005) 한국 충북 중.북부지역 산지대 하부의 참나무류 삼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8: 207-214
  14. 이희선(1979) 월악산 및 주흘산 삼림군락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자연보전협회조사보고서 15: 111-120
  15. 이호준, 김하송, 조은부(1991) 검단산 삼림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4: 273-303
  16. 이호준, 이재석, 전영문, 정흥락, 강재구, 방제용, 류병혁(1993) 조종천 상류 인접 지역의 식생.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학논집 18: 87-108
  17. 정흥락(1993) 일윌산.청량산.학가산 삼림식생의 식물사회학적 분류 및 입지환경 분석. 건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0쪽
  18. 정흥락(1999) 대구 인접지역의 삼림식생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8쪽
  19.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3rd ed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856p
  20. Kim, J. W. (1990) A syntaxonomic scheme for the deciduous oak forests of South Korea. Abstracta Botanica 14: 51-81
  21. Kim, J. W.(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Ph. D. Thesis, Wien University, 314p
  22. Kim, J. U. and Y. J. Yim(1988) 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ies in Mt, Naejang, southwestern Korea, Korean J. Bot. 31: 1-31
  23. Kira, T.(1948) On the altitudinal arrangement of climatic zones in Japan. Kanti-Nogaku 2: 143-173
  24. Mueller-M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547p
  25. Krestov, P. V., J. S. Song, Y. Nakamura, and V. P. Verkholat(2006) A phytosociological survey of the deciduous temperate forests of mainland Northeast Asia, Phytocoenologia 36: 77-150 https://doi.org/10.1127/0340-269X/2006/0036-0077
  26. Podani, J. (2001) SYN-TAX 2000. Computer program for data analysis in ecological and systematics. Budapest, 53p
  27. Song, J. S. (1988)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mixed coniferous and deciduous broad-leaf forests in South Korea, Hikobia 10: 145-156
  28. van der Maarel, E. (1979) Transformation of cover- abundance values in phytosociology and its effects on community similarity. Vegetatio 39: 97-114 https://doi.org/10.1007/BF00052021
  29. Yim, Y. J. (1977)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V. Zon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in relation to thermal climate. Jpn. J. Ecol. 27: 269-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