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RCUS VARIABILIS

검색결과 523건 처리시간 0.027초

도시근린공원 식생의 생태학적 진단 -전주화산공원을 중심으로- (The Ecological Diagnosis of the Vegetation in Urban Neighborhood Park -In case of Hwasan Park, Chonju-)

  • 김창환;명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2-76
    • /
    • 2001
  •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information and materials for the restoration of the urban forest and the ecologically healthy and continuous green belt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the analysis on the vegetation in Hwasan Park, Chonju-City. The flora of Hwasan Neighborhood park was composed of 86 families 230 genera, 261 species, 35 varieties, 1 formae or 298 Taxa. Among them, calculation of Pte-Q Index represented 0.60, Fisher's Index. Som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s in this area have represented such as Th-D1-R5 type in biological type, erect form(64.6%) in growth type, 30 taxa in naturalized plants. The life form spectra investigated from Hwasan neighborhood park was recognized as the following M"17.4%, N:11.4%, E:0.3%, Ch:0%, H:29.8%, G:6.7%, HH:0%, Th:34.2%. By the Z-M method 5 plant communities and 3 afforestation were recognized;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Q.acutissima community, Q.serrata community, Sorbus alnifoli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P.rigida afforestation, Robinia pseudo-acacia afforestation and Larix leptolepis afforestation. The actual vegetation map constructed on the grounds of the communities classified and other data. The pattern of successional trend of tree species might be suggested: L. leptoleipis, P. rigida and P. densifloralongrightarrowQ.variabilis and Q.acutissimalongrightarrowS.alnifolia and Q.serratalongrightarrow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Three measurements of species diversity (richness index(SR), Shannon-Wiener index(H'), evenness index(J')) and their relationship with community type were studied in the surveyed plant communities. Q.serrata community was higher in SR, H', J' than the other communities, whereas R.pseduo-acacia afforestation was low. Finally, The vegetation of the Hwasan neighborhood park must not allowed any more. Nothing ca be better than native states in preserving the ecosystems.tems.

  • PDF

內延山 一帶 森林植生의 群落分類에 關한 硏究 (A Study on Community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Mt. Naeyeon)

  • 윤충원;이병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2호
    • /
    • pp.83-91
    • /
    • 2002
  • 내연산의 삼림식생을 대상으로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군락단위 및 그 하위 단위를 분류하고, 분류된 각 단위와 환경사이의 상관관계를 서열법으로 해석하여 내연산 산림식생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군락단위는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느티나무군락이 구분되었고, 하위단위는 철쭉꽃군과 참회나무군, 굴참나무군락에서 우산나물군, 털조록싸리군 및 찰피나무군, 느티나무군락에서 까치박달군과 고욤나무군이 각각 세분되었다. 따라서 내연산 일대의 산림은 5개군락, 7개군으로 총 9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CCA 방법으로 식생과 환경사이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내연산 지역의 식생단위는 해발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갈나무군락의 철쭉꽃군과 참회나무군은 해발고와 지형이 높은 곳과 노암율이 낮은 곳에 각각 분포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느티나무군락은 신갈나무군락과 역의 관계로 나타났다. 앞으로 산림식생관리시 특히 계곡림에 대해서는 교목층의 우점종들이 상관적으로 이질적인 모습을 하고 있더라고 하나의 관리단위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낙동정맥 성시골지역의 식생구조 분석 (Analyzing Vegetation Structure of Seongsi Valley in the Nakdong-Jeongmaek)

  • 이수동;김동욱;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78-388
    • /
    • 2011
  • 낙동정맥 구간 중 성시골 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총 9km 구간을 대상으로 $10m{\times}10m$($100m^2$) 방형구34개소를 설치하여 주요 환경인자 및 식생구조를 조사하였다. 낙동정맥 성시골 지역의 식물군락은 소나무군락, 박달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의 6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단위면적($100m^2$)당 군락별 평균 출현 종수는 8.5~10.5종이었고, 출현 개체수는 평균 27.5~175.6개체이었다. 종다양도지수는0.6061~0.8736로 나타났으며 소나무군락이 가장 낮았고 박달나무군락이 가장 높았다. 유사도지수는 10.03~39.72로비교적 낮았으며 소나무군락 및 신갈나무군락과 일본잎갈나무군락의 유사도가 가장 낮았고 굴참나무군락과 신갈나무군락의 유사도가 가장 높았다.

주요 경제 수종의 수분 특성에 관한 생리생태학적 연구 - 토양수분 조건 및 ABA 처리에 따른 참나무류와 물푸레나무 기공의 시계열적인 변화 반응 - (Ecophysiological Studies on the Water Relations of Economic Tree Species - Temporal Changes of Stomatal Responses to Soil Moisture Regimes and Exogenous Abscisic Acid in Oaks and Ash -)

  • 권기원;이정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410-423
    • /
    • 1994
  • 지속적인 수분 stress 또는 ABA 처리에 따른 주요 경제 수종들의 생리생태학적 수분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생육기 및 일중 측정 시간대 별 기공증산저항과 증산율을 조사하였다. 졸참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를 포함하는 4종의 참나무류가 시험재료로 이용되었으며 물푸레나무 또한 참나무류와 함께 분석되었다. 건, 습 두가지의 토양 수분 조건으로 처리된 1년생 실생 용기묘를 대상으로 Li-Cor사의 LI-1600 Porometer를 이용하여 6, 8, 9월에 기공증산저항을 반복 측정하였다. 기공의 움직임과 증산에 미치는 ABA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7월에 0.5mM, 8월에 0.05mM의 ABA 용액을 용기 실생묘에서 절단한 줄기에 흡수시켰다. 대부분의 기공증산저항 측정치는 처리 종류에 관계없이 일출 후 오전에 약 5s/cm에 머물렀다. 그러나 그 값들은 건조구에 속한 묘목에서 오후 중에 자주 20s/cm 이상의 높은 수준으로 변동했다. 여러 가지 처리 및 환경 조건에 관계없이 굴참나무의 기공증산저항은 졸참나무 또는 상수리나무의 경우보다 안정된 값을 보였다. 물푸레나무의 측정치들은 참나무류에 비해 더욱 불규칙한 변화를 보였다. 묘목 절단지에 흡수된 ABA 용액은 대부분의 대상 수종에서 기공증산저항을 증가시켰다. ABA 처리에 대한 기공의 반응은 7월에 굴참나무 및 상수리나무에 비해 졸참나무에서 보다 예민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8월에는 ABA 처리의 영향이 상수리나무에서 보다 크게 나타났다. 물푸레나무에서 ABA에 대한 반응은 다양한 변화 양상 때문에 분명하지 않았다.

  • PDF

경주국립공원 불국사 사찰림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the Bulguksa Buddhist Temple Forest in the Gyeongju National Park)

  • 강현미;최송현;이수동;조현서;김지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787-800
    • /
    • 2012
  • 경주국립공원 불국사 주변 사찰림을 중심으로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42개의 조사구(단위면적 $100m^2$)를 설치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 분석 중 TWINSPAN 기법을 이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한 결과, 군락 I은 소나무-잣나무군락, 군락 II는 소나무군락, 군락 III은 소나무-단풍나무군락, 군락 IV는 단풍나무-소나무군락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식생구조 분석결과 경주국립공원 불국사 주변 사찰림은 소나무가 우점하고 있었다. 군락 IV는 소나무 군락에 단풍나무가 유입되면서 단풍나무-소나무군락으로 군락이 변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최근 자연발생적으로 아교목층과 관목층에 굴참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가 확산되고 있어 추후 소나무와의 경쟁이 예상된다. 본 조사지역의 산림식생의 임령은 소나무가 우점종인 산림은 30~100년 내외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단풍나무는 30~36년의 수령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만덕봉 일대의 자원식물상과 식생

  • 박완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4-85
    • /
    • 1997
  • 만덕봉(1,035.3m)은 동경 $128^{\circ}$54'24', 북위 $37^{\circ}$36'53'에 위치하며 행정적으로는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왕산면 및 옥계면의 경계에 자리하는 산으로 본 지역에 분포하는 유용자원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조사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유용자원식물상을 파악 하기 위해 1996년 4월과 9월 사이에 수집하여 분류 동정하였다. 또한 자원식물의 유용도는 각 식물의 용도에 따라 8개 항목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식생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Z-M방식에 의한 식물사회학적조사를 실시하여 군락표를 작성하였다. 본 지역에 자생하는 양치식물 이상의 관속식물자원은 97과 298속 406종 70변종 8품종으로, 총 484분류군이 분포하며,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자원의 11.9%에 해당하고 양치식물계수(Pte-Q)는 1.1이었다. 자원식물의 유용도는 식용자원이 46.7%, 목초용자원이 37.2%, 약용자원이 3.5.5%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용도를 알지 못하는 자원도 16.3%로 분포하였다. 한국특산식물은 키버들, 둥근왕팽나무, 누른종덩굴, 요강나물, 할미밀망, 털개살구, 둥근왕팽나무, 누른종덩굴, 요강나물, 할미밀망, 털개살구, 털조록싸리, 노랑갈퀴, 사울제비꽃, 지리강활, 참배암차즈기, 오동나무(재), 청괴불나무, 병꽃나무, 고려엉겅퀴 등 15분류군으로 우리나라 특산식물 570종류의 2.6%에 해당한다. 그 외 회귀식물로는 고비고사리, 애기쐐기풀, 솔나리, 연영초, 꽃창포, 암대극 등이 분포한다. 한석산의 식생은 1군목, 1군단, 1아군단, 4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신갈나무-철쭉군목(꽤앵둥개-Quercetalia mongolicae Kim 1990) 신갈나무-생강나무군단(Lindero-Quercion mongolicae Kim 1990) A. 신갈나무 전형하위군락(Typical community) B.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Quercus variabilis-Quercus mongolica Community) 졸참나무-작살나무아군단 (Callicarpo-Quercenion serratae Kim 1990) C. 소나무-산거울군락 (Carex humilis v. nana - Pinus densiflora Community) D. 가래나무-가는잎쐐기풀군락 (Juglans mandshurica - Urtica angustifolia Community)

  • PDF

면봉산 일대의 산림군집분류 및 임분구조 특성 - 경북대학교 청송학술림을 중심으로 -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Community and Character of Stand Structure in Mt. Myeonbong - Focused on Research Forest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heongsong -)

  • 박병주;김재진;변준기;천광일;주성현;이영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4호
    • /
    • pp.391-400
    • /
    • 2016
  • 연구는 경북대학교 청송학술림이 속한 면봉산 일대 임분구조의 특성을 분석하여 학술림의 효과적인 산림 경영 및 보전을 위한 생태적 데이터베이스를 마련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클러스터분석 결과 총 6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신갈나무-소나무 군집, 소나무 군집, 까치박달 군집, 물푸레나무-고로쇠나무-당단풍나무 군집, 신갈나무-굴참나무 군집, 신갈나무 군집). 중요치 분석결과 소나무군락은 능선부에, 신갈나무군락은 사면부, 물푸레나무, 당단풍나무, 고로쇠나무, 까치박달 등은 계곡부에 주로 우점하고 있다. 종풍부도 분석결과 까치박달 군집, 물푸레나무-고로쇠나무-당단풍나무 군집, 북사면, 계곡부가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으며, 해발고도가 높을수록, 경사가 급할수록 종풍부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NMS분석 결과, 상층과 중층, 관목층과 초본층 모두 종풍부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접(隣接) 임분(林分)의 종류(種類), 계층구조(階層構造) 및 식생단위(植生單位)에 따른 아까시나무의 이입(移入)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tudy on the Invasion of Robinia pseudoacacia into Adjacent Forest Stand according to Forest Types, Stand Structures and Vegetation Units)

  • 윤충원;오승환;이영근;홍성천;김재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3호
    • /
    • pp.227-235
    • /
    • 2001
  • 아까시나무가 인접 임분의 종류와 계층구조 그리고 식생단위에 따른 이입 정도를 분석하였던 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1) 인접 임분의 종류에 관계없이 전 방위로 아까시나무가 이입하고 있었다. 그러나 계층구조가 잘 발달된 임분에는 이입하기 어려우나 임분이 소개되었거나 아까시나무가 재해를 입었을 경우에는 인접 임분 내에 빠르게 이입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2) 아까시나무는 인접 임분의 식생단위에 관계없이 전 방위로 이입하고 있으나, 식생단위 간에 차이가 있었다. 갈참나무군락과 졸참나무군락 내에서는 아까시나무의 우점도가 +~2로서 낮게 나타났으며, 소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및 상수리나무군락에서는 아까시나무의 우정도가 1~4로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소나무군락 내의 3개 식생단위 중에서는 산박하소군(I-A-1)에서 아까시나무의 우점도가 + ~2로서 가장 낮게 출현하였다.

  • PDF

식생형을 고려한 소나무 임분의 조림적 고찰 (Consideration of Silvicultural Practice by Taking Community Type of Pinus densiflora Stand)

  • 이광수;이중효;김석권;배상원;정문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6-65
    • /
    • 2009
  • 한국에서 소나무는 문화적, 역사적, 정서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목재자원 생산이 가능한 수종이다. 소나무의 점유면적은 점차 줄어드는 반면, 참나무류를 비롯한 활엽수림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소나무림 유지를 위한 갱신과 시업법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중부지역을 대상으로 소나무에 대한 임분유형 및 구조분석을 통하여 생육환경과 천이과정을 파악함으로서, 안정적이며 지속적인 경영림으로서의 발달과 천연갱신 유도에 그 목적이 있다. 중부지역 소나무림은 당단풍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비목군락, 전형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지역에 따라 유형별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상층에는 소나무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중층에서는 참나무류 등 활엽 교목성 수종의 중요치가 높았으며, 하층에서 소나무 출현은 빈약하였다. 따라서 상관적으로 소나무가 생태적 영향력이 높은 것처럼 나타나고 있지만, 차후 자연 상태에서 교목층의 소나무가 고사하면 아교목층 이하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등 참나무류가 우점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소나무림의 형질과 생장패턴은 임분유형에 따라 지역별 차이를 보이고 있어 소나무림에 대한 시업도 차별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산불피해지 참나무 맹아림 시업체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anagement System of Oak Coppice Forest on Forest Fire Site)

  • 임주훈;지동훈;이영근;이명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6호
    • /
    • pp.652-658
    • /
    • 2009
  • 본 연구는 산불피해지에 형성된 참나무 맹아림의 생장특성을 파악하고 치수 무육을 통해 생산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적정 시업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조사지는 강원도 산불피해지 3개 지역과 비산불임지 9개 지역이다. 산불피해지의 경우 일반 참나무 맹아림에 비해 초기생장속도가 느리지만 갱신 후 15년 정도 지나면 흉고 직경이 10 cm에 도달하여 벌채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년생 때 그루터기당 맹아 본수를 조절하고 3년 경과 후 맹아목 평균 수고는 신갈나무의 경우 1본 3본 잔존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1.3 m, 굴참나무의 경우 2본 잔존구가 0.9 m의 조절 효과가 나타났다. 맹아림의 임령과 무육방법에 따른 수고 및 직경생장 결과를 토대로 소경재 생산을 목표로 하는 참나무 맹아림 시업체계도를 작성하였다. 한편 생산기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맹아 무육이나 시비 처리 등의 시업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