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Management System of Oak Coppice Forest on Forest Fire Site

산불피해지 참나무 맹아림 시업체계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09.08.05
  • Accepted : 2009.10.30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wing characteristics of oak sprouts which have developed naturally after fire and to suggest proper management system which is adapted for oak coppice forest by controlling the number of sprouts. We examined 3 burned sites and 9 unburned pine stands in Kangwondo. In the early years sprouts of oak coppice forest grew very slowly after fire compare to common oak coppice forest. But they had over than 10 cm of DBH after 15years, their DBH reached 10 cm and entered the stage of regeneration period. We also examined the effect of sprouts control. In the case of Quercus mongolica, stumps with 1 or 3 sprouts grew 1.3 m faster than the ones in the control stand. For Q. variabilis, stumps with 2 sprouts grew 0.9 m faster. In conclusion small timber production is proper for the oak coppice forest stand which is developed on the forest fire site and pruning or fertilizing is needed to shorten the production cycle.

본 연구는 산불피해지에 형성된 참나무 맹아림의 생장특성을 파악하고 치수 무육을 통해 생산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적정 시업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조사지는 강원도 산불피해지 3개 지역과 비산불임지 9개 지역이다. 산불피해지의 경우 일반 참나무 맹아림에 비해 초기생장속도가 느리지만 갱신 후 15년 정도 지나면 흉고 직경이 10 cm에 도달하여 벌채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년생 때 그루터기당 맹아 본수를 조절하고 3년 경과 후 맹아목 평균 수고는 신갈나무의 경우 1본 3본 잔존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1.3 m, 굴참나무의 경우 2본 잔존구가 0.9 m의 조절 효과가 나타났다. 맹아림의 임령과 무육방법에 따른 수고 및 직경생장 결과를 토대로 소경재 생산을 목표로 하는 참나무 맹아림 시업체계도를 작성하였다. 한편 생산기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맹아 무육이나 시비 처리 등의 시업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도경, 황근연, 김명수, 홍한표. 1991. 상수리나무 등 유용활엽수 20수종에 대한 벌근맹아의 발생특성과 생장. 임업연구원 연구보고 42: 20-35
  2. 김갑덕, 박인협, 조경진, 김갑태. 1982. 갈참나무 맹아림의 생산구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연습림연보. 18: 35-40
  3. 김석권 조무연, 주진순, 박승걸, 오민영. 1984. 상수리나무 맹아발생 및 생장특성에 관한 연구. 임시연보 31: 46-54
  4. 김석권, 이해주, 김도경. 1995. 상수리나무 14년생 2차 맹아림의 생장과 임분구조. 산림과학논문집 51: 53-58
  5. 산림청. 1981. 임업기술. p.598-601
  6. 오민영 외 14명. 1982. 참나무류 무육시험. 임업시험장 시험연구보고서 p.329-387
  7. 오민영, 박승걸, 백노학. 1987. 임분발육단계별 무육방법 체계화 및 작업기술 표준화 연구. 임업시험장 시험연구보고서 p.250-283
  8. 산림청. 2005.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 표준매뉴얼 p.181-192
  9. 산림청. 2008. 임업통계연보
  10. 이돈구. 1997. 참나무류의 맹아갱신 및 맹아림의 이용. 교육부 연구보고서. p.20-40
  11. 이영근, 표정기, 이영진. 2007. 예산지역 산불피해지 상수리나무 맹아림의 생장 및 바이오매스 추정. 한국산림측정학회지 10: 1-8
  12. Blake, T.J. 1983. Coppice systems for short-rotation intensive forest:The influence of cultural, seasonal and plant factors. Aust For. Res. 13: 279-291
  13. Leibundgut, H. 1978. Die Waldpflege. Verlage Paul Haupt Bern und Stuttagrt. 87-104
  14. Mayer, H. 1976. Gebirgswaldbau Schutzwaldpflege. Gustav Fischer Verlag. Stuttgart. 242-250
  15. Sato, K., S. Ogawa and M., Hiwatashi. 1966.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izes of stumps and sprouts in manured Kunugi (Quercus serrata Stand). Bull. For. Exp. Sta., Meguro, Tokyo No. 188: 5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