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mmunity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Mt. Naeyeon

內延山 一帶 森林植生의 群落分類에 關한 硏究

  • 윤충원 (임업연구원 산림환경부 산림생태과) ;
  • 이병천 (임업연구원 산림환경부 산림생태과)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ssify forest vegetation of the Mt. Naeyeon with phytosociological analysis of ZM school and to explain ordination of communities with CCA. The research sites were located between the northern part of Pohang-si area and the southern part of Yeongdeok-gun area. The 70 plots consisted of 253 species were investigated.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 variabilis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and Zelkova serrata community. Q. mongolica community was divided into 2 groups such asRhododendron schlippenbachii group and Euonymus oxyphyllus group and Q. variabilis community was divided into 3 groups such as Syneilesis palmata group, Lespedeza × tomentilla group and Tilia mandshurica group, and Z. serrata community was divided into 2 groups such as Carpinus cordata group and Diospyros lotus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CA ordination, Q. mongolica community showed high positive correlation to altitutde and topography, whereas i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to bare rock. Buck Z. serrata community showed the opposite tendency to Q. mongolica community. Altitude wa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5 environmental variables in the correlation with axes.

내연산의 삼림식생을 대상으로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군락단위 및 그 하위 단위를 분류하고, 분류된 각 단위와 환경사이의 상관관계를 서열법으로 해석하여 내연산 산림식생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군락단위는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느티나무군락이 구분되었고, 하위단위는 철쭉꽃군과 참회나무군, 굴참나무군락에서 우산나물군, 털조록싸리군 및 찰피나무군, 느티나무군락에서 까치박달군과 고욤나무군이 각각 세분되었다. 따라서 내연산 일대의 산림은 5개군락, 7개군으로 총 9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CCA 방법으로 식생과 환경사이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내연산 지역의 식생단위는 해발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갈나무군락의 철쭉꽃군과 참회나무군은 해발고와 지형이 높은 곳과 노암율이 낮은 곳에 각각 분포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느티나무군락은 신갈나무군락과 역의 관계로 나타났다. 앞으로 산림식생관리시 특히 계곡림에 대해서는 교목층의 우점종들이 상관적으로 이질적인 모습을 하고 있더라고 하나의 관리단위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 1991. 한국기후표. 제1, 2권.
  2. 김용식, 강기호, 신현탁, 김종근. 1999. 경북 내연산 일대의 관속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1): 1-16.
  3. 박재홍. 1981. 내연산일대의 유관속식물상에 관하여. 경북대학위논문(석사). 52p.
  4.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6.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보존지침 및 대상식물. 도서출판. 140p.
  5. 윤충원, 홍성천. 2000. 금강송림의 식생구조에 관한 정량적 분석. 한국생태학회지 23(3): 281-291.
  6. 송호경, 장규관, 김성덕. 1995. TWINSPAN과 DCCA에 의한 신갈나무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임학회지 84(3): 299-305.
  7. 이병천, 김철민. 1998. 계방산 일대 산림식생의 군락분류와 임분구조. 산림과학논문집 58: 123-134.
  8. 이병천, 신준환. 1994. 덕유산 천연림지역의 식생의 군락분류 및 임분구조. 산림과학논문집 54: 104-115.
  9. 이병천, 신준환, 이경재, 이수원. 1996. 두륜산 천연림지역 식생의 군락분류 및 임분 구조. 산림과학논문집 54: 104-115.
  10. 이병천, 신준환, 이경재, 이창석. 1992. 점봉산 천연림지역의 식생군락분류 및 임분구조. 임연보고 44: 1-24.
  11. 이수원, 이강녕, 송호경. 1997. TWINSPAN 및 CCA에 의한 지리산 아고산대 침엽수림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분석. 한국임학회지 86(3): 279-287.
  12.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 der Vegetation 3. Auf, Springer-Verlag, Wien, N. Y. 865p.
  13. Ellenberg, H. 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I.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In: Walter, H.(Hrsg.) Einfuhrung in die Phytologie IV. 136p. Stuttgart.
  14. Goodall, D.W. 1963. The continuum and the individualistic association, Vegetatio 11: 297-316.
  15. Greig-Smith, P. 1983. Quantitative plant ecology. 3rd ed. Blackwell. Oxford. 256p.
  16. Mu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 of vegetation ecology Jone and Wiley and Sons Inc., Yew York. 547p.
  17. Kim, C.H. and B.S. Kil. 1997.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Togyu National Park. Korea, Korean J. Ecol., 20(2): 128-132
  18. Ter Braak, C. J. F. 1987. CANOCO-a FORTRAN program for canonical community ordination by (partial)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principal components TNO Institute of Applied Computer Science. Statistics Department. Wageningen. The Netherl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