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effect

검색결과 2,703건 처리시간 0.028초

A Study on the Leader's Super-leadership, Self-leadership, Psychological Empowerment, Sport Commitment and Performance Perceived by Taekwondo Athletes

  • Kyung-Won Byun;Kun-Hyung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142-151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leader's super leadership, self-leadership, psychological empowerment, sport commitment and performance perceived by Taekwondo athlet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iddle and high school Taekwondo athletes registered in the Korea Taekwondo Association in 2020 and 2021, and data from 454 people were used as final effective samples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The collected data used the SPSS 23.0 version and the Amos 21.0 version to verify the hypothesi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we discovered that the leader's super leadership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athlete's self-leadership,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sport commitment. Second, we found that the athlete's self-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sport commitment, and performance. Third, we found that athlete's psychological empower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sport commitment and performance. Fourth, we found that the athlete's sport commit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has reminded us about importanc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sport commitment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type and performance perceived by Taekwondo athletes, and might contribute to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variables related to athletes' performance.

역할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가톨릭 여성수도자를 중심으로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Role Stress on Psychological Burnout : Focuced on a Catholic Nuns)

  • 유미화;안주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851-860
    • /
    • 2022
  • 가톨릭 여성수도자들은 수도생활을 수행하면서 역할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이것이 심리적 소진으로 이어져 수도회 탈회와 성소자 감소라는 부정적 영향을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여성수도자의 역할스트레스 중 어떤 하위요인이 심리적 소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 회복탄력성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여성수도자 23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첫째, 여성수도자의 수도생활 기간 및 내부 사도직과 외부 사도직 역할에 따라 역할스트레스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수도생활이 20년 이하인 경우 역할모호성과 역할과다를 느끼고 있었고, 역할갈등의 경우는 수도생활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여성수도자의 역할스트레스는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역할모호성, 역할갈등, 역할과다 모두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역할모호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역할과다 보다 역할에 대한 모호성이 더 큰 심리적 소진을 유발하고 있었다. 셋째, 역할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조절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여성수도자들의 역할모호성을 덜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심리적 소진을 줄이는 방안으로서 회복탄력성 증진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무엇보다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여성수도자들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컴페션(Compassion)이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감정과 긍정심리자본의 이중 매개효과 (The Effect of Compassion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 Doubl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Emo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고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123-13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 내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하는 컴페션이 긍정감정, 긍정심리자본, 그리고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실증하는 것이고, 이중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사회복지 10개 시설 내의 사회복지사들 369명을 표본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복지사들이 받는 컴페션이 긍정적 감정과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긍정심리자본이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이 모두 유의한 것으로 실증되었다. 또한 컴페션과 조직 동일시의 관계에서 긍정적 감정과 긍정심리자본의 이중매개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실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컴페션과 조직 동일시의 관계에서 긍정적 감정과 긍정심리자본의 이중매개효과를 실증했다는 이론적 시사점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표본의 일반화를 표본수집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긍정적 정체성의 매개효과 검증도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linical Nurses)

  • 강수미;배선형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85-194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mediator or moderator effect of clinical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240 nurses in tertiary hospitals located in B cit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Clinical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motional labor (r=-.13, p=.039) and psychological well-being (r=.52, p<.001). Also, clinical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owever, emotional intelligence did not show moderating effect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linical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nurses'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finding points to the importa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to increas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ggests that the hospital should develop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to enhance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mote clinical nurses' psychological well-being.

애착이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과 친구지지의 매개 역할 (The Pathways from Attachment to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Ego-resilience and Peer Support)

  • 안지영;오미경;김지신
    • 아동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3-79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hways from attachment to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to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s ego-resilience and peer support. The participants, 297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from Seoul and other citie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attachment, ego-resilience, peer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ata were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Attachment didn't appear to directly influence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but showed a number of indirect effects in two ways. First, attachment indirectly affected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by ego-resilience as a simple form of mediation. Second, attachment influenced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children's ego-resilience and peer support as a dual mediation. Ego-resilience demonstrated the stronges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all the factors examined. These results highlight the way in which children's personal internal resour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ways from attachment to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between Leadership and Motivation for Retail Store Workers

  • Jae-Hyung LEE
    • 유통과학연구
    • /
    • 제22권5호
    • /
    • pp.131-138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s to fill the existing gap in the existing literature by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between leadership and motivation for workers at retail stores, and to extend the previous research to determine the preferences of the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leadership and employee motivation in retail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used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employee motivation in retail stores. To ensure completeness, systematization, and transparency,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 approach was applied.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Total Four Mediating Roles) suggest that psychological empowerment may mediate between leadership and employee motivation. These mediation roles (Empowering Leadership Styles, Organizational Culture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Customer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High-Performance Work Systems (HPWS)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will help practitioners comprehend how these empowerment and motivation leadership styles are interconnected in the retail industry. Conclusions: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psychological empowerment is essential for employee motivation in the retail sector. Through this knowledge, retail store managers can implement strategies designed to empower employees and create a motivated workforce, bolster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온라인 패션점포의 품절에 대한 소비자 반응: 심리적 반발심과 감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Consumer Responses to Stockouts in Online Fashion Stores: Indic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Reactance and Emotion)

  • 신혜선;허희진;추호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770-780
    • /
    • 2015
  •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fundamental causes affecting consumers' response actions from psychological factors in the situation of sellout occurring during shopping in online fashion stores. In addition, this study devised a virtual online shop in order to measure consumers' cognitive and emotional psychological responses they experienced when goods were sold out. The subjects involved women in 20s~30s, major customers of online shopping, and the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eight questionnaire forms (2(stockout size: high vs low)${\times}2$(product assortment similarity: similar vs. dissimilar)${\times}2$(restocking cue: included vs excluded)). The number of final data used for the analysis was 336 and through SPSS 21.0 program, two-way ANOVA and bootstrap were utilized. The analysis result was that consumers' psychological responses (emotions, psychological reactance) of online shops differed by means of varying stockout situations. The stockout size had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reactance and negative emotion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ositive emotions (arousal) according to stockout size. In stockout situation of online fashion store, the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assortment similarity and restocking cues were verifi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tockout size and restocking cues, product stockout size and product assortment for psychological reactance were significant. Lastly, the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reactance and emotion between stockout size and behavioral response was tested. As a result,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psychological reactance for substitute were significant when product assortment was dissimilar and restocking cue was exclude.

소명의식과 일가치감, 심리적 주인의식 및 조직시민행동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Value of Work, Psychological Ownership,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홍지웅;홍아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19-233
    • /
    • 2021
  • 본 연구는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소명의식과 일가치감, 심리적 주인의식,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교사들의 조직시민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586부를 통계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소명의식은 심리적 주인의식과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그리고 일가치감은 심리적 주인의식과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심리적 주인의식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로써 심리적 주인의식은 일가치감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교사들의 일가치감과 심리적 주인의식이 강하면 조직시민행동을 강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학교의 성장과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들의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심리적 경로를 파악하고, 학교조직의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확인하였다.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학업적 그릿과 학업소진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A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Grit and Academic Burnout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 김규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219-225
    • /
    • 2019
  •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학업적 그릿과 학업소진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대구 소재 고등학교 2학년 5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로 실시되었으며, 기술통계, 상관관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업적 그릿은 학업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은 학업적 그릿과 학업소진 관계를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들이 학업소진을 경험하는 상황에서 학업적 그릿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긍정심리자본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긍정심리자본의 하위변수별 매개효과,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프로파일에 따른 조절효과, 학업적 그릿과 학업소진 관계에 대한 성별, 학년 등 개인적 배경에 따른 분산분석 및 완벽주의, 효능감, 회복탄력성 등 관련 변수의 조절 및 매개효과를 탐색하는 연구가 요청된다.

정서표현양가성과 심리적 부적응,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집단주의 문화성향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Collectivism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 박원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80-8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들의 정서표현양가성이 심리적 부적응과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러한 관계에서 집단주의적 문화성향이 조절 효과를 보이는지를 탐색적으로 알아보는 것이다. 정서표현양가성의 문화차에 대해서 많은 연구들에서 가능성만을 제시할 뿐 실증적 연구는 없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의 성인남녀 138명을 대상으로 정서표현양가성, 문화성향, 심리적 부적응증상,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는 설문을 온라인 방식으로 실시했다.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정서표현양가성, 집단주의 문화성향, 이들 간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표현양가성은 심리적 부적응증상과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집단주의 문화성향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정서표현양가성은 심리적 부적응증상을 증가시키고, 주관적 안녕감을 저하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이러한 관계에서 집단주의 문화성향은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결과에 대해 정서억제와 정서표현양가성이 집단주의 문화와의 관계에서 보이는 차이, 그리고 이들의 임상적 함의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