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spective Teachers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5초

반성적 저널에 나타난 (예비) 유아교사들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 대한 반성적 사고 및 의미 분석 (Reflective Thinking and Meaning Analysis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Storybook Reading Activities in Reflective Journals)

  • 김정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127-154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show and analyze the flow, content, and meaning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educators reflective thoughts entailed in the process of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storybook reading by analyzing reflective journals written by technical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an advanced major curriculum after they completed a storybook reading assignment.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 technical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an advanced major curriculum that participated in a 15-week-long 'storybook seminar' course. This study analyzed journals on storybook reading written by the students as an assignment for the storybook seminar course. Results: As a result, four categories of selecting a storybook, planning the reading of the selected storybook, actual reading of the storybook and subsequent activities were extracte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storybook reading. Through this series of experiences, (prospective) early childhood educators had a childt-centered view of reading picture books, changed the method of reading picture books, re-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and developed a will to develop professionalism through reflective thinking.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finds its meaning in showing the reflective thinking that occur within early childhood educators that plan, implement and evaluate storybook reading.

초등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수학적 과제 설계: 기하 판 위의 정삼각형이 가능한가? (Developing Mathematical Task for Pre-Service Primary Teachers: Equilateral Triangle on Dotty Grids)

  • 이동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675-690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에게 필요한 수학지식을 가르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서 수학적 과제의 특징을 논의하고 그에 맞게 과제를 설계하고 교사교육에 실행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격자점 정삼각형 만들기' 라는 수학적 과제를 해결하면서, 주어진 상황을 수학적 문제로 변환하고 기존 지식과의 연결을 통해 문제를 변형하고 해결하며, 기존의 수학적 개념을 새로운 관점에서 보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이 예비교사의 교육에 대한 관점의 변화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그리고 교사교육에 적합한 수학적 과제 설계를 위한 조건에 대해 논의하였다.

컴퓨터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Specialized High Schools in Computer Percieved by Their Teachers and Students)

  • 장한기;박종운;이상봉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8권2호
    • /
    • pp.183-193
    • /
    • 2006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fundamental data of the tangible school operation in order to get Specialized High Schools in Computer fixed firmly and developed. This project was made by analyzing and thorough investigations how teachers and students think of their school lives, curriculum, future guidances, and the pursuing directions of the school. And that is based on understanding Specialized High Schools distinguished from the traditional Business High Schools. In order to develop the Specialized High School Related Computer as the model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in Korea, it is important that the government trains the teachers who give students satisfactions. Also for the prospective future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Related Computer, it is necessary that a good curriculum are developed in detail and the superior students are accepted in their entrance. Also, the students brought by the good teachers will contribute to Korean computer industries. So the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Related Computer will be dispersed as training computer talents.

The Net Generation Debate: Unpacking Individual Perceptions and Lived Experiences toward Technology Use in Education

  • CHOI, Hyungshin;SO, Hyo-Jeong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3권2호
    • /
    • pp.257-281
    • /
    • 2012
  • This study aims to examine individual perceptions and lived experiences of the Net generation of student teachers and the previous generation of teachers about their technology use in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 106 pre-service teachers and 50 in-service teachers from one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in Korea. Employing a mixed methodology, we first empirically examined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toward multiple variables related to technology use in education, namely (a) past ICT experiences in schools, (b) personal computer use, (c) constructivist belief, (d) computer efficacy, (e) attitude toward computer in education, and (f) prospective computer use. In addition, we conducted face-to-face interviews with selected participants for the in-depth investigation of their lived experiences about technology use, beliefs, and attitud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in their prior experiences with technology in schools. However,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their beliefs, attitude and other technology-related variables, which may indicate the danger of generational determinism in the Net Generation debate. The analysis of interview narratives revealed two major themes about the interplay of one's agency and structural changes in the participants' lived experiences with technology use in education: (a) transition from negative past experiences to opportunities for positive computer use, and (b) attitudes formation and change through apprenticeship experiences and structural influenc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Net Generation debate should move beyond dichotomous or techno-centric thinking. There is a critical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develop deeper understandings of the fundamental diversity existing within the generation itself.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re also discussed.

예비가정과교사를 위한 <교직실무> 수업에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연구 (A study on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to a course entitled 'Teaching practice' for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 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18
    • /
    • 2015
  • 본 연구는 예비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직과목 수업에 PBL을 적용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교직실무>를 수강신청한 1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PBL 수업을 2014년 3월 2일부터 6월 11일까지 15주에 걸쳐 실행함으로써, PBL의 적용가능성과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PBL을 위한 문제는 수업계획서 작성하기, 학급경영계획서 작성하기, 기술 가정 평가계획서 작성하기 등 3개로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받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PBL은 문제 만나기, 문제해결 계획 세우기, 탐색 및 재탐색하기, 해결책 고안하기, 발표 평가하기 등의 순서로 한 개의 PBL 문제당 4주동안 진행하였으며, 문제해결안을 발표할 때마다 문제평가지와 성찰일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가정과교사들의 PBL 문제를 평가한 결과에 의하면, '실무현장에서의 실제 상황을 익힐 수 있는 좋은 문제였다', '토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였다'에 높은 점수를 주었다. 성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예비가정과교사들은 PBL을 처음 접했을 때 많이 당황스러워했지만, 그룹활동에 열심히 참여하고 그룹 구성원들로부터, 교수자로부터, 다른 그룹 구성원들로부터 피드백을 주고받으면서 문제해결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사전, 사후검사의 평균비교를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유의수준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PBL을 적용한 예비가정과교사를 위한 <교직실무> 수업이 예비가정과교사들의 교직인성 수준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였다고 볼 수 있다. 예비가정과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수업을 통해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등이 길러지기를 원하는 교사교육자에게 본 연구가 학생중심의 교수 학습 모형 설계에 대한 중요한 사례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예비교사를 위한 문제중심학습에 기반한 '소비자학' 수업 사례 (A Case Study on the 'Consumer Studies' Class Using Problem-Based Learning for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 정주원;하오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01-11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 교수방법인 문제기반학습(PBL)을 '소비자학' 교과목에 적용하는 것이다. '소비자학'을 수강하는 대학생 27명을 대상으로 경제개념 특강안과 재무컨설팅을 제안하는 2가지 PBL 문제를 개발하고 총 7주간 PBL 수업을 진행하였다. PBL 효과는 학습자들이 작성한 성찰일지, 자기평가지, 수업만족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학습자는 문제해결 과정에서 소비자학 교과목의 학습목표를 달성했으며, 팀원과의 협업과 소통 방식을 습득하는 경험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자기주도적 학습이 이루어졌으며,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는 학습과제이행, 적극적 상호작용, 자기주도적 학습수행 능력 등 PBL 수업에 임하는 스스로를 평균 4.68로 높이 평가했으며, PBL 수업에 대한 수업만족도도 평균 4.7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교수자 및 예비교원에게 PBL 수업에 대한 유용한 정보로 제공될 것이며, 학습자중심 PBL 수업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창의성과 인성 교육 방안으로서 협력 문제 만들기에 대한 수학 예비교사의 인식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Collaborative Problem-posing as a Means to Promote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 이봉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373-395
    • /
    • 2022
  • 이 연구는 수학 예비교사가 수학교육에서 학생들의 창의성과 인성을 함양하기 위한 방법으로 협력 문제 만들기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수학 예비교사의 창의성 교육과 인성교육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수학 예비교사 교육 단계에서 협력 문제 만들기를 도입하는 것은, 이후 학교교육에서도 창의성 교육과 인성 교육을 위해 협력 문제 만들기를 좀 더 적극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학교 2학년 과정에 필수 과목으로 개설하는 '수학교육론' 강좌를 수강하는 수학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협력 문제 만들기 과제를 수행하게 하고 3년에 걸쳐 설문조사, 면담 등의 방법으로 자료를 보완·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예비교사는 협력 문제 만들기 경험과 상관없이 협력 문제 만들기가 학생들의 다양한 아이디어 산출 능력 함양 및 협동심, 존중, 배려를 포함한 학생의 대인 관계 형성 태도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협력 문제 만들기 과제를 수행한 수학 예비교사의 경험은 협력 문제 만들기가 학생의 아이디어 정교화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하였다. 셋째, 수학 예비교사의 협력 문제 만들기 경험은 협력 문제 만들기가 아이디어 정교화 능력, 개인의 내적 태도(정직, 공정성, 책임감), 논리적인 의견 제시와 합리적인 의사 결정 태도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인식으로 이어졌다. 마지막으로 대면 환경의 단점을 온라인 환경이 보완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제언하였다.

STATISTICAL CONCEPTS AND TECHNIQUES FOR TESTING DEPARTURES FROM NORMALITY IN THE MATHEMATICS TEACHER PREPARATION

  • Lee, Sang-Gone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29권1호
    • /
    • pp.83-100
    • /
    • 2007
  • Normality is one of the most common assumptions made in sampling and statistical inference procedures without suffering from lack of attention. Its results may lead to an invalid conclusion. We present several testing procedures that can be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eparture from normality using concrete examples by hand or with the aid of Minitab. The goal is to influence prospective teachers in order to learn statistical concepts and techniques for testing normality on the basis of the didactical theory.

Constructive Evaluation of Definitions in a Dynamic Geometry Context

  • Govender, Rajendran;de Villiers, Michael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7권1호
    • /
    • pp.41-58
    • /
    • 2003
  • This study firstly examined 18 prospectiv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definitions and the use of the dynamic geometry software Sketchpad to not only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definitions, but also their ability to define geometric concepts themselves. Results indicated that the evaluation of definitions by accurate construction and measurement enabled students to achieve a better understanding of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as well as the ability to more readily find counter-examples, and to recognize uneconomical definitions, and improve them.

  • PDF

Conceptual and Procedural Learning in Mathematics

  • Isleyen, Tevfik;Isik, Ahmet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7권2호
    • /
    • pp.91-99
    • /
    • 2003
  • Isik & K$_1$l$_1$c (1998: Mathematics Education and its Appraising in the Primary School Teacher Certificate) found that many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for primary schools who attended at newly established certificate programs made significant misconception on mathematics education because they were not graduates of education faculties. The levels of concep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of students from a secondary school in Erzurum, Turkey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reveal how serious misconception the teachers have been made so far. The conceptual knowledge is very important to students, however in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procedural knowledge was much more important than conceptual knowled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