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flective Thinking and Meaning Analysis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Storybook Reading Activities in Reflective Journals

반성적 저널에 나타난 (예비) 유아교사들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 대한 반성적 사고 및 의미 분석

  • 김정화 (숭의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20.08.31
  • Accepted : 2020.10.07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show and analyze the flow, content, and meaning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educators reflective thoughts entailed in the process of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storybook reading by analyzing reflective journals written by technical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an advanced major curriculum after they completed a storybook reading assignment.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 technical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an advanced major curriculum that participated in a 15-week-long 'storybook seminar' course. This study analyzed journals on storybook reading written by the students as an assignment for the storybook seminar course. Results: As a result, four categories of selecting a storybook, planning the reading of the selected storybook, actual reading of the storybook and subsequent activities were extracte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storybook reading. Through this series of experiences, (prospective) early childhood educators had a childt-centered view of reading picture books, changed the method of reading picture books, re-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and developed a will to develop professionalism through reflective thinking.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finds its meaning in showing the reflective thinking that occur within early childhood educators that plan, implement and evaluate storybook reading.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2. 10). 2013학년도 전문대학 학사학위전공심화과정 신규인가. http://epic.kdi.re.kr/epic/epic_view.jsp?num=123762&menu=1&rowcnt=20 에서 2020년 5월 29일 인출
  2. 교육부, 보건복지부 편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세종: 교육부, 보건복지부.
  3. 김명화, 백영숙 (2015).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적 경험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림표상 능력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14(3), 53-82.
  4. 김명화, 홍혜경 (2009). 유아교육기관의 그림책 일어주기 활동의 실태 요구 조사. 어린이미디어연구, 8(2), 147-172.
  5. 김영천 (2006). 질적 연구방법론1. 서울: 문음사.
  6. 김은심, 유지안 (2019). 글자 그림책 선택 기준에 대한 유아교사의 주관적 태도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1), 43-70. doi:10.22154/JCLE.20.1.3
  7. 김정화 (2012). 유아교사가 생각하는 좋은 문학수업의 특성. 어린이미디연구, 11(3), 199-229.
  8. 김지연 (2017). 그림책 선정과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 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실태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현희, 박상희 (2008). 유아문학: 이론과 적용. 서울: 학지사.
  10. 김혜원 (2017). 교류이론에 기초한 유아문학교육 수업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문학에 대한 변화 탐색: 인식, 태도, 교수효능감을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8(3), 89-113. doi:10.22154/JCLE.18.3.5
  11. 나선희 (2009). 그림책 작가의 쓰기 및 유아 독자의 읽기전략으로서의 상호텍스트성.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박상희, 김명화, 천혜경 (2008). 연령별 반복적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8(5), 115-139. doi:10.18023/kjece.2008.28.5.006
  13. 박영수 (2015). 유아교사의 자유선택활동 운영에 대한 반성적 저널 의미 탐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은주 (2011). 과학저널쓰기를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과학 및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의 변화. 유아교육학논집, 15(5), 129-156.
  15. 박은혜 (2017).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16. 서정숙 (2001). 유아문학교육내용과 교수계획에 관한 논의. 어린이문학연구, 2(2), 21-39.
  17. 서정숙, 김언경, 안은희, 최현주, 최소린 (2016). 그림책 읽어주기의 실제. 서울: 창지사.
  18. 서정숙, 김정원, 김유정 (2009). 그림책 중심 문학교육의 실시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문학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0(1), 1-22.
  19. 서정숙, 남규 (2020). 유아문학교육 (개정 3판). 서울: 창지사.
  20. 서정숙, 남규 (2014). 유아문학교육 (개정 2판). 서울: 창지사.
  21. 서혜성, 고민경 (2013). 보육교사의 반성적 저널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분석: 그림책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4), 159-184.
  22. 선주원 (2009). 어린이문학교육의 현상과 발전 과제. 한국초등국어교육, 39, 291-320. doi:10.22818/jeke.2009.39.291
  23. 성은영 (2004). 저널쓰기를 통한 반성적 사고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 발문의 변화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8(3), 245-267.
  24. 심향분 (2012). 정보그림책 읽기과정에서 교사의 역할 탐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1), 155-179.
  25. 안부금 (2002). 유아과학 교수실제에 대한 교사의 반성적 사고 변화 과정에 관한 연구 : 반성적 저널쓰기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2), 87-114.
  26. 양수영 (2013). 교육실습 연계 반성적 저널쓰기에 나타난 예비교사의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실천적지식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7(3), 177-200.
  27. 오문자 (2001 4). 레지오 에밀리아의 유아교육 실제와 제리오 접근법: 한국적용 실태와의 연결. 21세기 유아교육의 비젼. 한국유아교육학회 창립25주년 기념 제1회 국제학술대회 기조 강연논문, 서울.
  28. 오복환 (2005).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서 교사의 질문 유.무가 유아의 이야기꾸미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윤혜경 (2013). 과학모의수업에 대한 반성적 저널 쓰기와 토론을 통한 초등 예비 교사의 생산적 반성 증진. 초등과학교육, 32(2), 113-126.
  30. 이대균, 정명자, 백경순 (2005). 유아교사의 그림책 선정과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6(2), 75-99.
  31. 이상금 (1996). 어린이 그림책의 세계. 서울: 한림출판사.
  32. 이석금, 이진희 (2017). 사실주의 그림책의 반복적 읽어주기에 따른 유아 반응 분석 : Sipe의 반응범주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9(1), 231-250.
  33. 이세나, 이영석 (2004). 유아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소고: 반성적 사고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4), 229-254.
  34. 이시자 (2014). 그림책 읽어주기와 유아의 초기 문해 능력 발달. 유아교육연구. 34(6), 55-78. doi:10.18023/kjece.2014.34.6.003
  35. 이시자 (2015). '영유아 그림책 읽기' 관련 연구 경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5(5). 401-424. doi:10.18023/kjece.2015.35.5.018
  36. 이우영 (2006). 유치원에서의 그림책 활용에 대한 실태 분석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정아, 이지현 (2011). 교사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유형이 중국 출신 다문화가정 유아의 어휘력, 이야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4), 55-82.
  38. 이현정, 구혜현 (2013). 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을 통해 본 학기 초 이야기.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1). 183-207.
  39. 전지형 (2015). 유아문학교육과 함께 하는 유아교사 되기.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4), 127-148.
  40. 전홍주, 박선혜, 박신영 (2015). 유아교육기관의 그림책 제공 실태와 교사의 인식. 어린이미디어연구, 14(3), 279-305.
  41. 정근수 (2013). 문학 반응 활성화를 위한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4), 289-313.
  42. 조일영 (1998). 어린이집 읽기영역에서의 동화 들려주기 실태조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채종옥, 이경화, 김소양 (2006). 아동문학. 서울: 공동체.
  44. 한철우 (2004). 문학 독서 교육의 전개와 방향. 독서연구, 12(4), 261-297.
  45. 현정희, 서정숙 (2009).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0(2), 125-147.
  46. Gambrell, L, B., Palmer, B. M., Codling, R. M., & Mazzoni, S. A. (1996). Assessing motivation to read. The Reading Teacher, 49(7), 518-533. doi:10.1598/rt.49.7.2
  47. Kiefer, B. (1995). The response of primary children to picturebook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Columbia, OH. USA.
  48. Killion, J. P., & Todnem, G. R. (1991). A process for personal theory building. Educational Leadership, 48(6), 14-16.
  49. Mills, H., & Clyde, J. A. (1991). Children’s success as readers and writers: It’s the teacher’s beliefs that make the difference. Young Children, 46(2), 54-59.
  50. Rosenblatt, L. M.(2006). Literature as exploration, 탐구로서의 문학 (김혜리, 엄해영 옮김). 서울: 한국문화사(원판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