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mpt L-Pop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8초

The effect of multiple application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all-in-one dentin adhesive systems

  • Son, Sung-ae;Hur, Bock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3년도 제120회 추계학술대회 제 5차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 /
    • pp.567-56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multiple application of all-in-one dentin adhesive system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using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and microtensile bond strength test. The dentin surface of human molars, sectioned to remove the enamel from the occlusal surface were prepared. In group I, Scotchbond Multipurpose(SM, 3M ESPE) was applied by manufature's recommended. In group II, after the all-in-one adhesive, Adper Prompt L-Pop was applied for 15s, and light cured for 10s, the second coat was re-applied and light-cured.(omitted)

  • PDF

우식이환 상아질에 대한 all-in-one adhesive의 미세인장결합강도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ALL-IN-ONE ADHESIVE TO CARIES-AFFECTED DENTIN)

  • 문지덕;박정길;허복;김현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1호
    • /
    • pp.49-57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all-in-one adhesive인 Adper Prompt $L-Pop^{TM}$$Xeno^{(R)}$ III를 우식이환 상아질에 다층 적용했을 때의 효과를 미세인장결합강도의 측정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파절양상의 관찰을 통해 알아보는데 있다. 교합면 우식이 있는 21개의 치아에서 편평한 상아질 면이 노출되도록 하여 감염 상아질을 제거한 후 3개씩 7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SM 군은 $Scotchbond^{TM}$ Multi-purpose를 적용하였다. LP1 군, LP2 군, LP3 군은 Adper Prompt $L-Pop^{TM}$을 각각 단층, 2층, 3층으로 적용하였다. XN1 군, XN2 군, XN3 군은 Xeno^{(R)}$ III를 각각 단층, 2층. 3층으로 적용하였다. 각각의 상아질 접착제 처리 후, 광중합레진인 $Filtex^{TM}$ Z-250을 10mm 높이로 적층 충전하였다. 각 치아는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1 mm인 막대 모양의 절편이 되도록 수직으로 절단하였다. 그 후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후 파절된 시편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파절양상을 살펴보았다. 각 군의 미세인장결합강도를 one-way ANOVA와 $95\%$ 신뢰도의 Scheffe's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한 결과, SM 군은 14.38{\pm}2.01$ MPa, LP1군, LP2 군, LP3 군은 각각 $9.15{\pm}1.81$ MPa, $14.08{\pm}1.75$ MPa, $14.06{\pm}1.45$ MPa로 측정되었고, XN1 군, XN2 군, XN3 군은 각각 $13.65{\pm}1.95$ MPa, $13.98{\pm}1.60$ MPa, $13.88{\pm}1.66$ MPA로 측정되었다. LP1 군은 다른 모든 군에 비해 낮은 미세인장결합강도를 나타내었고 (p < 0.05). LP1 군을 제외한 다른 모든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 0.05). 2. 파절양상을 관찰한 결과, LP1 군에서는 접착성 파절이 우세하게 나타났고, LP1 군을 제외한 다른 모든 군에서는 혼합형 파절이 주로 일어났다.

유동성 레진 수복술에서 접착제 중합 여부에 따른 미세누출과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PHOTOPOLYMERIZATION OF ADHESIVE ON SHEAR BOND STRENGTH AND MICROLEAKAGE OF FLOWABLE RESIN RESTORATION)

  • 박용규;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98-407
    • /
    • 2007
  • 본 연구는 소아 환자의 유동성 복합 레진 수복 시 접착제의 사용 및 중합 여부 그리고 접착제 종류에 따른 수복물 변연의 미세누출과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함으로써 치료 시간의 단축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시행하였다. 미세누출을 평가하기 위해 우식이 없거나 법랑질에 제한된 우식이 있는 상, 하악 소구치 84개, 전단결합강도 평가를 위해 협설면에 우식이나 결손부가 없는 대구치 70개를 각각 준비하여 사용하였다. 접착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총 7군을 설정하여 I군과 II군은 Single $Bond^{TM}$, III군과 IV군은 AQ Bond $Plus^{TM}$, Ⅴ군과 Ⅵ군은 Prompt L-$Pop^{TM}$ 그리고 접착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 레진을 충전하는 VII군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미세누출과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미세누출 평가 결과 Single $Bond^{TM}$를 사용한 I군과 II군이 다른 군에 비하여 낮은 염료 침투를 나타냈다. I군과 II군 사이의 염료 침투 양상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2. 전단결합측정결과 I군과 II군이 다른 군에 비하여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p<0.05). I군과 II군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다(p>0.05). 3. I군과 II군, III군과 IV군, V군과 VI군 사이에는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p>0.05). 4. VII군은 I, II군과 V, VI군에 비하여 통계적 유의차가 있게 낮은 전단 결합 강도를 보였으며(p<0.05) III, IV군과는 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차는 없었다(p>0.05).

  • PDF

부가적 산부식 시간에 따른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법랑질 전단결합강도 (SHEAR BOND STRENGTH OF SELF-ETCHING ADHESIVES TO TOOTH ENAMEL WITH ADDITIONAL ETCHING)

  • 이형숙;김성기;이동수;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14-521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유치와 영구치의 법랑질에 자가 산부식 접착제 적용 전 부가적인 산부식 시간을 달리 하였을 때,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각각 65개의 발거된 건전한 유치와 영구치 협, 설면 법랑질 시편을 제작하고 두 종류의 자가 산부식 접착제를 적용하였다. 실험군은 $Clearfil^{TM}$ SE bond, $Adper^{TM}$ $Prompt^{TM}$ $L-pop^{TM}$으로 처리한 두 개 군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산부식 시간에 따라 여섯 군(0, 5, 10, 15, 20, 30초)으로 분류하였다. 대조군으로는 total-etching system인 $Adper^{TM}$ $Scotchbond^{TM}$ Multi-purpose plus를 사용하였다. 접착제 처리면을 복합레진으로 충전하고 24시간 경과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Mann-Whitney test와 Kruskal-Wallis test를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는 자가 산부식 접착제를 적용한 군은 유치, 영구치 모두에서 total etching system에 비해 낮은 전단 결합강도를 보였다. 자가 산부식 접착제 사용 군내에서 산부식을 추가로 시행하였을 때 유치와 영구치 모두에서 결합강도가 증가하였으며, 10초 이상 산부식을 시행한 경우 결합력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와 영구치간 결합력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법랑질에 대한 전단결합강도는 유치, 영구치 모두에서 10초 이상의 부가적 산부식이 결합력의 증가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자가 산부식 프라이머와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변연 미세누출 (MARGINAL MICROLEAKAGE OF SELF-ETCHING PRIMER ADHESIVES AND A SELF-ETCHING ADHESIVE)

  • 조영곤;조공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5호
    • /
    • pp.493-501
    • /
    • 2002
  • This study evaluated the microleakage performance of four self-etcing primer adhesives(Clearfil SE Bond, Clearfil Liner Bond 2, UniFil Bond, and FL Bond) and one self-etching adhesive(Prompt L-Pop). Class V cavity preparations with occlusal margins in enamel and gingival margins in dentin were prepared on both buccal and lingual surfaces of 50 extracted human molar teeth. Prepared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and restored using one of five adhesives and composite resins: Prompt L-Pop/Filtek Z 250(Group 1), Clearfil SE Bond/Clearfil AP-X(Group 2), Clearfil Liner Bond 2/Clearfil AP-X(Group 3), UniFil Bond/UniFil F(Group 4), and FL Bond/Filtek Z 250(Group 5). Following one day storage in room temperature water, the restored teeth were thermocycled for 500 cycles between 5$^{\circ}C$ and 55$^{\circ}C$. Marginal microleakage was assessed by dye penetration using 2% methylene blue dye. After 24 hours, the teeth were sectioned longitudinally and evaluated for microleakage under steromicroscope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sed by Kruskal-Wallis Test, Mann-Whitney and Wilcoxon signed ranked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icroleakges at both enamel and dentinal mal$.$gins were the lowest in group 4. increasing among groups in the following order: group 2, follwed by group 5, follwed by group 1, and the highest in group 3. 2. At the enamel margins, the microleakage of group 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roups 2. 4 and 5(p<0.05), and also the microleakage of group 1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ose of groups 2 and 5(p<0.05). 3. At the dentinal margins, microleakage of group 3 was signincantly higher than microleakages of groups 1, 2, 4 and 5(p<0.05). 4. Compared with microleakages between the enamel and dentinal margins of each group, groups 1, 4 and 5 at enamel margin and group 2 and group 3 at dentinal margin were higher microleakag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namel and dentinal microleakages of each group(p>0.05).

Unground enamel에 대한 all-in-one adhesive의 1회 또는 2회 적용이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ne or two applications of all-in-one adhesive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to unground enamel)

  • 손창용;김현철;허복;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6호
    • /
    • pp.445-451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미세인장결합강도 실험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unground enamel에 대한 all-in-one adhesive의 1회 또는 2회 적용에 따른 효과를 평가하였다. 발거된 하악 대구치의 설측 치관부를 사용하여 3개씩 5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SE군은 Clearfil$^{tm}$ SE Bond를 적용하였다. LP1 군, LP2 군은 Adper Prompt L-Pop$^{tm}$을 각각 1회 , 2회 적용하였다. XN1 군, XN2 군은 Xeno$^{R}$III를 각각 1회, 2회 적용하였다. 그런 다음 복합 레진 Z100을 적층 충전하였다. 법랑질 표면의 접착제를 아세톤으로 제거하고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산 부식 양상을 관찰하였다 미세인장결합강도 측정을 위해 표본을 절단하여 레진과 치아의 접착 계면이 1 mm$^2$이 되도록 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One-way ANOVA를 사용해 분석한 다음 Duncan's post-hoc test로 사후 검정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all-in-one adhesive의 1회와 2회 적용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two-step self-etching adhesive와 all-in-one adhesive의 산 부식 양상 모두 얕고 불규칙 하였다.

수산화칼슘 적용에 따른 상아질 접착제의 접착강도 변화에 관한 연구 (EFFECT OF CALCIUM HYDROXIDE ON BOND STRENGTH OF DENTIN BONDING SYSTEMS)

  • 박노훈;박상혁;최기운;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3호
    • /
    • pp.198-207
    • /
    • 2007
  • 본 연구는 다양한 접착 과정과 기전을 지닌 4종의 상아질 접착제를 이용하여 수산화칼슘의 사용 여부 및 그 적용 기간이 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 및 평가하고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접착 계면의 관찰을 통해 복합레진 수복이나 레진 시멘트를 이용한 수복물 접착 시에 적절한 상아질 접착제의 선택과 사용방법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치수강에 근접한 상아질 표면을 노출시킨 후, $Ca(OH)_2$를 생리식염수와 혼합하여 실험군 치아 24개의 상아질 표면에 적용한 후, IRM (Intermediate Restorative Material, Dentsply Caulk, Milford, USA)으로 적용된 수산화칼슘 및 변연 부위의 상아질과 법랑질 모두를 밀폐하여 $36.5^{\circ}C$ 증류수에서 실험기간 (7일 및 30일) 동안 보관하였다. Scotchbond Multipurpose, Single Bond, SE Bond and Prompt L-Pop 등 4종의 상아질 접착제를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적용하고 복합 레진을 3회에 나누어 총 5 mm 높이로 적층한 뒤 각 층마다 20초씩 광조사를 시행하였다.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1mm/min의 crosshead speed로 하중을 가하여 미세인장 접착 강도를 측정하고 파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단기간 (7일 또는 30일간)의 수산화칼슘 적용은 상아질 접착제의 접착 과정의 차이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법랑소주 방향에 따른 접착제의 미세전단 결합강도 (MICROSHEAR BOND STRENGTH OF ADHESIV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ENAMEL RODS)

  • 조영곤;김종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4호
    • /
    • pp.344-351
    • /
    • 2005
  • 본 연구는 법랑소주의 말단과 측면에 대한 3단계, 2단계 및 단일 단계 접착제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상호 비교하였다. 발거된 상$\cdot$하악 대구치를 근, 원심 방향으로 1mm 두께가 되도록 절단하였다. 시편 중 협면과 설면 중앙부의 최 외층을 법랑소주의 말단이 노출된 시편으로 이용하였고, 내측에서 얻어진 시편을 법랑소주의 측면이 노출된 시편으로 이용하였다. 사용된 접착제에 따라 4개의 군 (1군 All-Bond 2, 2군: Single Bond, 3군: Tyrian SPE/One-Step Plus, 4군: Adper Prompt L-Pop)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당 법랑소주의 말단과 측면이 노출된 시편을 각각 7개씩 선택하여 각각의 접착제와 Tygon tube를 이용하여 복합레진을 접착한 후, universal testing machine에서 분당 1 mm의 crosshead speed의 전단하중을 가하여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각 군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법랑소주 말단에 대한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2군과 4군이 1군과 3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2. 법랑소주 측면에 대한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2군은 1군, 3군, 4군보다 그리고 4군은 1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3. 모든 군에서 법랑소주 말단에 대한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법랑소주 측면에 대한 결합강도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단일 단계 접착제의 변연 미세누출 (MARGINAL MICROLEAKAGE OF SINGLE STEP ADHESIVES)

  • 조영곤;정진호;기영재;최희영;진철희;유상훈;김종욱;박병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9권2호
    • /
    • pp.162-169
    • /
    • 2004
  • This study evaluated the marginal microleakage of five single step adhesives. Class V cavity preparations with occlusal margins in enamel and gingival margins in dentin were prepared on both buccal and lingual surfaces of extracted human molar teeth. Prepared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and restored using one of the single step adhesives and composite resins:Prompt L-Pop/Filtek Z-250 (Group 1), AQ Bond/Metafil CX (Group 2), One-Up Bond F/Palfique Toughwell (Group 3). Futurabond/Admira (Group 4), Xeno III/Spectrum TPH (Group 5). The restored teeth were thermocycled. Microleakage was assessed by dye penetration using 2% methylene blue dye solution. The teeth were bisected buccolingually and evaluated for microleakage under steromicroscope.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sed by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1. Microleakage of enamel margins in group 3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in groups 1, 2, 4, 5 (p < 0.05). 2. Microleakage of dentin margins in group 1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in groups 2, 5, and that in group 3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in groups 2, 4, 5 (p < 0.05). 3. Dentin marginal microleakage was higher than enamel marginal microleakage in all experimental groups. In conclusion, Prompt L-Pop showed the least leakage at enamel margin, and AQ Bond showed at dentin margin in this study. Marginal miroleakage in dentin was higher than that in enamel.

접착시스템의 종류에 따른 유동성 레진과 법랑질의 미세전단 결합강도 (Microshear bond strength of a flowable resin to enamel according to the different adhesive systems)

  • 김정호;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1호
    • /
    • pp.50-58
    • /
    • 2011
  • 연구목적: 이 연구는 2종의 전부식 접착제와 4종의 자가부식 접착제를 이용하여 유동성 레진을 법랑질에 접착할 경우, 접착제에 따른 미세전단 결합강도와 파절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발거된 60개의 대구치 치관의 법랑질을 이용하였고, 사용된 접착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6개의 군; OS 군(One-Step), SB 군(Single Bond), SE 군(Clearfil SE Bond), TY 군(Tyrian SPE와 One-Step Plus), AP 군(Adper prompt L-Pop), GB 군(G-Bond)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의 법랑질 표면에 배정된 접착시스템을 적용한 후, Tygon tube를 이용하여 법랑질 표면에 유동성 레진(Filtek Z 350 flowable resin)을 접착하였다. 각 군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한 후 주사전자현미경하에서 파절양상을 비교하였다. 결과: 1. SB 군의 결합강도는 다른 모든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GB 군의 결합강도는 다른 모든 군의 결합강도 보다 통계학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 < 0.05). 2. OS 군과 SE 군 및 AP 군의 결합강도는 SB 군보다 낮게 나타났지만, TY 군과 GB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 < 0.05). 3. TY 군의 결합강도는 GB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 < 0.05). 4. 접착성 파절은 TY 군과 GB 군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고, 혼합파절은 SB 군과 SE 군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응집성 파절은 OS 군, SB 군, SE 군 및 AP 군에서 각각 1개씩 나타났다. 결론: 접착 단계가 같은 접착시스템이라 해도 법랑질에 대한 유동성 레진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