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jection area

검색결과 357건 처리시간 0.029초

사진축적을 고려한 GPS/INS 항공사진측량 블록조정의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Combined Block Adjustment with GPS/INS Observations Considering Photo Scale)

  • 이재원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23-330
    • /
    • 2005
  • 현재 Direct Georeferencing은 지난 10여년 적용되어오던 GPS-항측의 단점인 항공사진의 6개 외부표정요소중 단지 투영중심의 위치만 제공하던 약점을 극복하고 실무에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의 가장 큰 장점은 지상기준점 측량작업의 절감내지는 이를 완전히 생략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본문은 상용의 GPS/IMU 를 이용하여 외부표정요소 결정에 대한 실힘 결과를 소개하였다. 실힘을 위하여 사진축척 1:5,000의 대축척과 1:20,000의 중축척으로 촬영한 관측자료를 처리하여 사진축척의 변화를 고려한 외부표정요소 결정의 정확도 및 결합블럭조정의 특성 등 다양하고 의미 있는 결과들을 도출하였다.

외상성 안면 함몰부에 협지방대 유경 피판을 사용한 재건술 (BUCCAL FAT PAD TRANSFER AS A PEDICLED FLAP FOR FACIAL AUGMENTATION)

  • 정상철;안희용;최홍식;엄인웅;김창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2호
    • /
    • pp.153-159
    • /
    • 1991
  • 외상성, 혹은 선천적 결손으로 인한 함몰부에 사용한 자가 유리지방 이식은 잘 알려진 방법이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주된 공여부는 복부나 둔부의 피하지방이었다. 그러나, 1977 년 Egyedi는 협지방대를 유경피판으로 처음 사용하였다. 협지방대는 안면골 절단술시, 협측 피판을 들어올릴 때, 혹은 이하선관 수술 같은 구강내 수술시 항상 귀찮은 구조물로써, 수술 시야를 방해한다. 협지방대는 매우 세밀한 막으로 둘러싸인 소엽형태의 볼록한 물질로, body와 네 개의 prccess들로 구성된다. 이 돌기들은 여러 근육층 사이의 충전물로 작용하며, 유아에서는 sucking시 보조작용으로, 성인에서는 윤활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본 교실에서는 협지방대를 사용하여 세 증례의 협골 함몰부에, 그리고 한 증례의 비순구 재건을 위해 사용한 바,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증례보고를 하는 바이다.

  • PDF

Cone beam형 전산화단층영상과 치근단방사선영상의 치근단 병소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periapical lesions on cone beam computed tomograph and periapical radiograph)

  • 김진화;이완;김경수;노영채;김대석;이병도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9권1호
    • /
    • pp.41-49
    • /
    • 2009
  • Purpose: To detect the progression of experimentally induced periapical lesions on periapical radiograph and cone beam computed tomograph (CBCT) by quantitative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After the removal of coronal pulps from premolars of two Beagle dogs, the root canals of premolars were exposed to oral environment during one week and then sealed for 70 days. Digital periapical radiographs and CBCTs were taken at baseline and every 7 days for 77 days after pulp exposure. We examined occurrence and areas of periapical bone resorption. Three comparative groups of CBCT radiographs were prepared by average projection of thin slabs with different bucco-lingual thicknesses (0.1, 3.0, and 8.0 mm) using a 3D visualization software. Radiographic densities were compensated by image normalization. Digital images were processed with mathematical morphology operations. The radiographic density and morphological features of periapical lesions were compared among three groups of CBCT in different time points. Results: In the CBCT group with 0.1 mm thickness, radiographic density (p<0.05) and trabecular bone area (p<0.0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t the fifth week. However, in the CBCT groups with 3 mm and 8 mm thickness and periapical radiographs, none of densitometric and morphological features showe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fferent time points. Radiographic density of periapical lesion showed increasing tendency at the eleventh week after pulp exposure. Conclusion: Radiographic detection of periapical lesions was possible at the fifth week after pulp contamination by quantitative method and was affected by buccolingual bone thickness.

  • PDF

무인 차량 탑재형 전방 관측 영상 레이다 가능성 연구 (Feasibility Study of Forward-Looking Imaging Radar Applicable to an Unmanned Ground Vehicle)

  • 선선구;조병래;박규철;남상호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1285-1294
    • /
    • 2010
  • 무인 차량의 야지 자율 주행을 위한 목적으로 수풀 뒤쪽에 가려져 있는 장애물을 탐지하고 회피하기 위해 수풀을 투과하여 차량의 전방을 고해상도로 영상화 할 수 있는 근거리 초광대역 영상 레이다를 설계한다. 광대역 특성에 적합하고 배열 구성이 용이한 소형 평판형 비발디 안테나를 설계하고 방사 패턴 및 정재파비를 측정한다. 영상의 거리 해상도를 기준으로 대역폭을 분석하고, 방위각 해상도를 기준으로 수신용 배열 안테나를 설계한다. 수신용 배열 안테나의 간격과 영상 해상도 및 표적의 신호 중첩 관계를 분석한다. 수풀로 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회로망 분석기를 이용하여 계단 주파수 파형을 사용하는 합성 개구면 레이다를 구성한다. 제안한 방법은 수풀에서 코너 반사기를 위치시키고 이것의 반사 신호를 영상화함으로써 수풀의 투과 특성 및 레이다 영상의 해상도를 분석하여 무인 차량에 적용가능성을 보인다.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 이차성 구순열 비변형의 비익기저 증대술 (Alar Base Augmentation by Various Methods in Secondary Lip Nasal Deformity)

  • 권인오;김용배;박은수;정성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2권3호
    • /
    • pp.287-292
    • /
    • 2005
  • The definitive correction of secondary lip nasal deformities is a great challenge for plastic surgeons. To rectify the secondary lip nasal deformities, various procedures and its modifications have been reported in many centers. However, no universal agreement exist to correct the various components of secondary nasal deformities. The secondary nasal deformity of the unilateral cleft lip has its own characteristic abnormalities including the retroplaced dome of the ipsilateral nasal tip, hooding of the alar rim, a secondary alar-columellar web, short columella, depressed alar base and so forth. Among these components of secondary nasal deformity, maxillary hypoplasia, especially in the area of piriform aperture, and alveolar bone defect can make the alar base depressed, which in turn, leads to wide and flat nasal profile, obtuse nasolabial angle coupled with subnormal nasal tip projection in aspect of aesthetic consideration. Moreover, the maxillary hypoplasia contributes to reduced size of the nasal airway in combination with other component of external nasal deformity and therefore the nasal obstruction may be developed functionally. Therefore, the current authors have performed corrective rhinoplasty with the augmentation of alar base with various methods which include rearrangement of soft tissue, vertical scar tissue flap and use of allogenic or autologous materials in 42 patients between 1998 and 2003. The symmetric alar base could be achieved, which provides the more accurate evaluation and more appropriate management of the various component of any coexisting secondary nasal deformity. In conclusion, the augmentation of alar base, as a single procedure, is a basic and essential to correct the secondary lip nasal deformities.

Approximate calculation of the static analysis of a lifted stay cable in super-long span cable-stayed bridges

  • Zhao, Xinwei;Xiao, Rucheng;Sun, Bin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74권5호
    • /
    • pp.635-655
    • /
    • 2020
  • The sag effect of long stay cables is one of the key factors restricting further increase in the span of cable-stayed bridges. Based on the formerly proposed concept of long stay cables lifted by an auxiliary suspension cable in cross-strait cable-stayed bridges, corresponding static approximate calculations and analytical theory based on catenary and parabolic cable configurations are established. Taking a main span 1400 m cable-stayed bridge as the research object, three typical lifting conditions and the whole process of auxiliary cable lifting are analyzed and discussed. The results show that the sag effect is effectively reduced. The support efficiency is only improved when the cables are lifted above the original cable chord. Reduction of the horizontal component force of the cable is limited. The equivalent elastic modulus and the vertical support stiffness of the lifted cables a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ed horizontal projection length and not sensitive to the change of the lifting point position. The scheme of lifting the cable to the chord midpoint is more economical because of the less steel required for the auxiliary suspension cable, but its effect on improving the vertical support efficiency is limited. The support efficiency is better when the cable is lifted to the cable end tangential to the original cable chord, but the lifting forc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uxiliary suspension cable are doubled. The approximate calculation results of the lifted cables are very close to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which verifies the applicability of the approximation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parabolic approximation calculations are approximately equal to that of catenary cable geometry. As the parabolic approximation analysis theory of lifted cables is more convenient in mathematical processing, it is feasible to use parabolic approximation analysis theory as the analytical method for the conceptual design of lifted cables of super-long span cable-stayed bridges.

PCA 복원과 HOG 특징 기술자 기반의 효율적인 보행자 인식 방법 (An Efficient Pedestrian Recognition Method based on PCA Reconstruction and HOG Feature Descriptor)

  • 김철문;백열민;김회율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0호
    • /
    • pp.162-170
    • /
    • 2013
  • 최근 보행자의 교통안전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보행자 보호 시스템(PPS, Pedestrian Protection System)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 검출 후보 윈도우 추출과 셀(cell) 단위 히스토그램 기반의 HOG 특징 계산 방법을 제안하였다. 보행자 검출 후보 윈도우 추출은 주변밝기 비율체크, 수직방향 에지투영, 에지펙터(edge factor), 그리고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복원 영상을 이용하였다. Dalal 의 HOG 는 겹침 블록 상의 모든 픽셀에 대해 가우시안 가중치와 삼선형보간에 의한 히스토그램 계산이 필요한데 반하여 제안하는 방법은 단위 셀마다 가우시안 가중 및 히스토그램을 계산하고 그것들을 인접 셀과 결합하므로 연산 속도가 빠르다. 제안하는 PCA 복원 에러 기반의 보행자 검출 후보 윈도우 추출은 보행자의 머리와 어깨 영역과의 차이를 기준으로 배경을 효율적으로 분류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카메라 컬리브레이션이나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거리 정보 없이도 영상만으로 전통적인 HOG 에 비하여 연산속도가 크게 개선된다.

로그폴라 변환과 ZDF를 이용한 이동 물체 추적 스테레오 시스템 (Stereo System for Tracking Moving Object using Log-Polar Transformation and ZDF)

  • Yoon, Jong-Kun;Park, Il-;Lee, Yong-Bum;Chien, Sung-Il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9권1호
    • /
    • pp.61-69
    • /
    • 2002
  • 능동 스테레오 비젼 시스템은 목표물 판별을 위해서 간단한 연산만으로 작은 시차값을 가지는 특징들만을 통과시킴으로써 목표물 위치 측정을 가능케 한다. 그런데 이 간단한 방법은, 복잡한 배경이 포함되거나 시차가 영인 영역에 다른 물체들도 동시에 존재하면 적용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시야 중심 영역의 해상도는 높이고 일반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주변의 해상도는 감소시키는 포비에이션 기법을 필터링 방법과 결합시켰다 포비에이트 영상 표현을 위하여 영상 피라미드 또는 로그폴라 변환을 사용하였다. 또한 추적이 수행되는 동안에 스테레오 시차가 작은 값이 유지되도록 투영을 이용하여 스테레오 시차를 추출하였다. 실험 결과는 로그폴라 변환이 복잡한 배경으로부터 목표물을 분리하는 제안된 방법이 영상 피라미드 또는 기존 방법보다 우수하며, 추적성능을 상당히 개선함을 보여주고 있다.

초분광 영상 융합을 이용한 종양인식 (Hyperspectral Image Fusion for Tumor Detection)

  • 허성철;김인택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3권4호
    • /
    • pp.11-2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초분광 형광영상과 반사영상 융합을 이용한 닭의 종양인식방법을 제안하였다. 형광영상에 밴드비율을 적용하여 피부의 정상과 종양부분을 구분한다. 이를 위해 각각 부분의 확률밀도함수의 중첩된 면적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으로 획득한 4개의 특정영상에 분할-합병법을 적용하여 형광영상 분류결과를 얻었다. 반사영상 분석에서는 단일 밴드가 정보량에 주는 영향에 근거하여 밴드 선택 방법을 제안하였다. 학습데이터에 의해 투영 축을 선택하는 선형변환을 정의함으로써 영상분류에 효과적인 많은 특징을 확보하였다. 이에 따라 반사영상에서도 세밀한 영상의 해석이 가능하였고 특징 선택의 자동화를 실현하였다. 반사영상에서 획득한 특정영상도 분할-합병법으로 분류하였으며 형광영상의 분류결과와 융합하여 종양을 인식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방법에 비해 오인식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특징 추출 알고리즘과 Adaboost를 이용한 이진분류기 (Binary classification by the combination of Adaboost and feature extraction methods)

  • 함승록;곽노준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9권4호
    • /
    • pp.42-53
    • /
    • 2012
  • 패턴 인식과 기계 학습 분야에서 분류는 가장 기본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의 유형이다. Adaboost 알고리즘은 Boosting 알고리즘의 아이디어를 실제 데이터분석에 이용할 수 있도록 개량한 방법으로써, 단계를 반복하여 나온 여러 개의 약한 분류기와 가중치 값들의 조합으로 강한 분류기를 생성하는 두 개의 클래스를 분류하는 분류기이다. 주성분 분석법과 선형 판별 분석법은 높은 차원의 특징 벡터를 낮은 차원의 특징 벡터로 축소하는 특징 벡터의 차원 감소와 데이터의 특징 추출에도 유용하게 사용되는 방법들이다. 본 논문에서는, 주성분 분석법과 선형 판별 분석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특징을 Adaboost 알고리즘의 약 분류기로 사용함으로써, 특징 추출과 분류를 동시에 하고, 인식률을 높이는 효율적인 Boosted-PCA와 Boosted-LDA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마지막 장에서는, 제안하는 알고리즘으로 UCI Data-Set 중 2 Class-Data와 FRGC Data의 남자와 여자 영상에 대해서 분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의 결과로 제안한 Boosted-PCA와 Boosted-LDA 알고리즘이 기존의 특징 추출 알고리즘과 최근접 이웃 분류기, SVM을 이용한 분류기 방법과 비교하여 인식률이 향상됨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