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ject Instruction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1초

초등 과학과 ICT 활용 프로젝트 기반 학습 수업 모듈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Instruction Module Using ICT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room)

  • 이상균;이용섭;김상달;최성봉;김순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2호
    • /
    • pp.189-20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learning that has applied instruction module utilizing ICT in project-based learning i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on improve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nd the problem-solving skills. For this purpose, the project based learning instruction module utilizing ICT based was developed and conducted to 2 class consisting of 66 elementary students in the 6th grade to clarify the effec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instruction module utilizing ICT in project-based lear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of students. As the subordinat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it showed improved effects in diagnosing desire to learn, setting goals, basic self-managing ability, selecting learning strategy, durability of practicing learning, making effort for result, and self-examination but it did not show improved effects in figuring out recognition of resources for Learning. Second, it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roblem-solving skills of students. As the subordinate effects of problem-solving skills it showed improved effects in problem recognition, information gathering, analysis, thinking prior to dissemination, planning skill, and evaluation but it did not show effect on decision making, implementation & risk-taking and feedback.

  • PDF

기술·가정과 생활자립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평가 연계 자료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grating Instruction with Evaluation Materials for Strengthening of Independent Living Competence: Focused o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 임윤진;김은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3-3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생활자립역량을 기를 수 있는 교수학습-평가 연계 방안에 대한 가정교과 전문가와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고, 이 결과에 따라 교수학습-평가 설계안을 구상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사례를 제시하는 것에 있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과 전문가 10명의 2차에 걸친 델파이조사와 가정과교사 422명의 설문조사에서 생활자립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평가 연계 방식으로 프로젝트 학습-프로젝트 평가, 프로젝트 학습-포트폴리오 평가, 문제해결학습-포트폴리오 평가, 문제해결학습-프로젝트 평가 순으로 적합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둘째, 생활자립역량 함양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생애주기별 발달 과업과 생애 설계' 단원을 중심으로 프로젝트 학습-프로젝트 평가 방법을 연계하여 교수학습-평가 과정 예시안 개발 및 적용한 수업설계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교과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수학습-평가 활동의 일관성, 방법의 통일성, 평가의 환류성에 초점을 둔 교수학습-평가 연계 방안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향후 교과역량별 교수학습-평가 연계 방안에 대한 다양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프로젝트 수행 활동을 통한 영재들의 창의성 신장에 대한 연구 (Study on Improving of Creativity of Gifted Students using the Project-based Task)

  • 양희선;홍진구;심규철
    • 영재교육연구
    • /
    • 제18권1호
    • /
    • pp.111-137
    • /
    • 2008
  • 본 연구는 중학교 영재학급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영재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이의 적용을 통해 창의성 신장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남교육청 지정 보령영재교육원 영재학급 학생 129명이다. 영재학급 학생들은 7학년과 8학년 학생으로 논리사고 분야, 과학분야, 수리분야, 외국어 분야로 구분하여 교육하였다. 영재교육 자료는 프로젝트 수행 활동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프로젝트 수행 활동 수업은 영재들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과학분야의 경우 정교성, 유창성, 독창성 등에서 매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영재들과 교사들 모두 체험중심의 프로젝트 수행 활동 수업에 대해 큰 만족감과 흥미를 나타내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의 수행 중심의 프로그램은 영재교육에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할 것이다.

창의적 캡스톤 디자인을 활용한 팀 프로젝트수업 운영에 따른 학습만족도 및 이해도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Learning Satisfaction and Comprehension of Team Project Instruction Using Creative Capstone Design)

  • 김창희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79-19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comprehension degree about learning satisfaction and capstone class by applying the subject which draws idea for team project task in college to creative capstone design program. The Capstone Design Program is designed to train fieldworkers with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is widely applied as a problem-solving course in team-based projects. In this paper, based on the case study of the 'fusion capstone design' operat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15 ~ 2017, the capstone design course was established in the course of designing ideas for problem solv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questionnaire about capstone design instruction process, instruction method, and learning achievement satisfac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understanding of capstone design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class before class, and satisfaction of performance course, method of teaching performance and learning outcome were obtained.

프로젝트기반 멀티미디어 저작 교육에서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성취도 분석 (Analysis of Learning Effect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n Project Based Multimedia Authoring)

  • 조수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691-699
    • /
    • 2005
  • 멀티미디어 교육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직접 저작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프로젝트기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교육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해 봄으로써 더 나은 교수전략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 교육의 목표에 충실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을 위한 프로젝트 진행방식으로 대학에서 한학기 동안 멀티미디어 교육을 수행하고 그 효과를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 개인의 특성 중 '나이', '편입학석부' 등에 따른 학습효과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도'와 '프로젝트에서의 역할' 등에 의한 성취도 차이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 PDF

가정교과에서의 생활환경교육을 위한 프로젝트 중심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Project-Based Teaching-Learning Instruction for Living Environment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김남은;허영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7-62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가정생활 속 생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젝트 중심 가정교과 환경교육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은 가정교과에서의 생활환경문제 중심의 환경교육을 활성화시키는 실천 방안이 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정교과의 교육과정과 환경교육 범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10개의 주제를 선정하여 주제별 8차시의 프로젝트 중심 가정교과 환경교육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과에서는 성취기준과 학습 요소에서 환경교육과 관련 범주별 환경교육의 환경지식, 가치와 태도, 역량, 실천과 참여의 범주를 고루 포함하고 있었다. 둘째, 가정교과는 생활 전반에 걸쳐 관련을 맺고 있어 환경교육과 관련된 실생활 중심 학습 주제를 바탕으로 학습자 스스로가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는 프로젝트 중심 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즉, 가정교과는 환경교육과 관련성이 높으므로 사회와 환경에 대한 관심도를 높일 수 있는 환경 관련 내용들이 추가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은 가정교과 시간, 자유학기 등에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장에 적용을 하지 않았다는 제한점이 있어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실행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플립드러닝 환경에서 게임수학 텀프로젝트 모형 설계 및 적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Term Project Model for Game Mathematics in Flipped Learning Environments)

  • 최영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102-111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application of term project model for Game Math in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In the term project self study model, students interacts with multi-instruction materials and multi-tutors on flipped learning. We develop a case for game update term project and implement it to a real Game Math classroom. As a result, we show the positive learning experiences focused on effects of technology and human relation through survey.

수업을 위한 수학적 지식과 수업의 수학적 질 사이의 관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of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and mathematical quality in instruction: Focus on high schools)

  • 김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3호
    • /
    • pp.237-254
    • /
    • 2020
  • 본 논문은 수업을 위한 수학적 지식과 수업의 질에 대한 상관관계를 보고하는 연구이다. 선다형 평가 문항 유형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교사들의 수업을 위한 수학적 지식을 수집하였고, 촬영된 그 교사들의 수업을 수학 수업 분석 도구를 이용하여 수업의 질을 평가하였다. 두 점수들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유의미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고한다. 또한, 수집된 수업 영상과 교사들의 인터뷰 자료의 분석을 통해 수업을 위한 수학적 지식이 중재하지 못하는 수업의 질과 관련된 요소를 찾아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수학 교사 교육에 대해 논의한다.

특성화고의 태양광 추적 제어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법이 학습자의 과제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n Task Performance Ability of Project Method to Develop Solar Tracking Control System in Specialized High School)

  • 한유진;김방희;김진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1호
    • /
    • pp.3-1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ty the effect of project method on the task performance ability in development of a solar-tracking-control-system of specialized high school.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2 classes of technical high school in Jeonbuk are chosen as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by project method and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by traditional instruction. Project method was designed by 4 stages-selection of goal,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ccording to these stages, experimental group's students carried out the project that developing solar tracking control system in solar gene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roject method wa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instruction in planning ability for task performance and implementation ability, subordinates of task performance ability. However, information gathering ability and evaluation ability on task performance, others in subordinates, it is not clear that the project method is more effective.

프로젝트 접근법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Approach Method in the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of Children)

  • 채순희;이기현
    • 아동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03-119
    • /
    • 2002
  • In this investig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Approach Method the 32 4-to 5-year-old subjects (16 each in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were pre-tested before the Project Approach Method was applied (23 times over 7 week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comparative group had science activities using standard unit methods of instruction. Then, all the children had a posr-test.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ANCOVA. Results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their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Specifically, effects were found on 14 sub-factors, but no difference were found on 3 sub-fact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