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t Diversification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7초

국내외 대학의 제품개발 교과과정 벤치마킹 (Benchmarking on Product Development Curricula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 한윤택;정기효;문정태;유희천;장수영;전치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3호
    • /
    • pp.3-10
    • /
    • 2010
  • 기업은 차별화된 제품으로 시장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품 개발을 전담할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고 있으나, 국내 대학은 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종합적 전문 지식과 실무적 경험을 겸비한 전문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는 교과과정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제품개발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 개발을 위해 국내/외 대학의 제품개발 교과과정 운영 현황 및 특성화 방향을 파악하였다. 조사 대상 대학에 개설된 제품개발 교과과정에 대한 정보는 주로 해당 대학의 웹페이지에 게시된 정보에 근간하였다. 국내 대학의 제품개발 교과과정은 단일 학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학과별 특성화 분야 및 교과과정 규모가 다른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국외 대학의 교과과정은 국내 대학과 차별화된 학제간 연계, 다양한 교과과정 프로그램, 그리고 산학연계를 운영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파악된 제품개발 교과과정에 대한 운영 현황 및 특성은 신규교과과정 개발 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농식품 인증 및 전통식품 품질인증에 관한 인식조사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Agricultural Food Accreditation and Traditional Food Quality Certification)

  • 허정인;진소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0-229
    • /
    • 2011
  •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and the degree of trust that consumers had in the national agricultural food accreditation system, to inquire into and examine the consumers' perception of traditional food quality certification performed for the protection of excellent traditional food, and to propose the right direction for the policies on the traditional food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plans to improve consumers' percep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urvey performed in married women, based on the 'the recognition of accreditation system' and 'the recognition of certification marks' of 'the seventh national agricultural food accreditation system' presently being used by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the household food purchasers showed high recognition for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accreditation, processed food KS certification, and organically processed food certification in that order. Meanwhile, it was shown that they indicated low recognition for the traditional food-related accreditation systems such as 'traditional food quality certification' and 'food grand master'. It was found that reliability of the certification mark provided by the agricultural food accreditation system gained 3.54 points (on a 5-point scale), and 68.1% of the study subjects referred to the certification marks while purchasing agricultural foods. And most of them answered to the question of 'why they referred to the certification marks' saying that it was done 'to choose safe food'. The most frequent answer to question of 'the means to recognize the traditional food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was 'broadcasting, advertising'. 57.3% of the subjects had a previous experience of buying a product certified by the traditional food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and 93.2% of all the subjects had the intention to buy a product certified by the traditional food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later. And most of them answered that 'strengthening government policies' would be the most ideal way to inform the public of the traditional food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le 'relying on the traditional food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in general' was relatively high among the consumers, 'intention to buy quality certified products by visiting a distantly located store' was low; thus, from this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need for diversification of places selling these quality certified products and to establish a distribution network for these products.

캐릭터산업의 정책변인연구 (Analysis on elements of policy changes in character industry)

  • 한창완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3호
    • /
    • pp.597-616
    • /
    • 2013
  • 캐릭터산업은 저작권리를 중심으로 한 지식기반산업이면서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판매가치를 촉진시키고 매출효과를 강화하는 보완재적 산업특성을 지니고 있어서 전 산업분야에 걸쳐 기능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창조경제의 핵심동력이다. 2003년부터 시작된 정부의 캐릭터관련 정책은 연관산업간의 연계효과 극대화, 국내 캐릭터의 해외진출확대, 유통구조 개선을 통한 저작권 강화, 캐릭터상품의 질적강화를 통한 산업기반 확대 등에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정책성과로 인해, 2007년 이후, 연관콘텐츠의 성공사례가 구체화되기 시작했고, 국내외 캐릭터산업은 보다 체계적인 진화과정을 거치게 된다. 창작캐릭터의 자체적인 산업육성 노하우가 축적되고,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소설, 영화, 뮤지컬 등으로 시작된 연관캐릭터가 시장세분화전략에 의해 활성화되면서 캐릭터산업의 범위 및 산업적 통계의 재설정이 요구되기 시작했다. 특히, 2009년 이후 정부는 '세계 5대 캐릭터 강국'으로의 목표를 설정하고, 글로벌 스타캐릭터 발굴, 연관산업간 네트워크 구축지원, 홍보채널 다양화 및 프로모션 강화, 라이선싱 비즈니스 활성화 등의 정책을 발굴하게 된다. 특히, 2013년을 기점으로 캐릭터를 활용한 캐릭터 체험전 등의 전시시장, 키즈카페 등의 시간관리형 캐릭터 실내테마파크, SNS의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캐릭터 수요시장, 캐릭터 뮤지컬을 중심으로 한 공연시장 등 새로운 캐릭터시장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기존 오프라인의 불법복제시장이 국내외적으로 대형화되면서 그에 따른 체계적인 정책대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진화하는 캐릭터 소비시장과 플랫폼 다양화 시대에 대응하여, 캐릭터산업을 활성화시키고 새로운 캐릭터디자인 및 관련 콘텐츠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캐릭터산업의 정책변인을 전제로 한 전략방향의 입체적 설정이 요구된다. 지난 정부의 정책성과와 국내외 캐릭터산업의 시장현황, 그리고 진화방향을 분석하여 정책변인을 구체화시키면 다음과 같다. 현재 국내캐릭터산업의 정책변인은 플랫폼 다양화에 따른 디지털 캐릭터시장의 소비다층화, 한류중심의 캐릭터상품 융합콘텐츠화, 불법콘텐츠의 지하경제 양성화, 세분화된 시장의 수용자 편향성관리 등으로 분석되며, 이는 미국과 일본 및 유럽의 기존 캐릭터산업 강국들과는 다른 차원의 정책이슈를 발굴하게 된다. 결국 국내외시장의 연관콘텐츠 저작권계약 모델개발, 플랫폼 경제의 수익모델 다각화, 한류확대에 연계된 목표시장 추가개발, 평생캐릭터의 연령별 맞춤형 시장전략 등이 캐릭터 수요시장진화에 따른 대안으로 제시된다.

A Study on the Service Design for Online Service Company to Enhance User Experience

  • Lee, Ji-Hyu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1-107
    • /
    • 2012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rvice design cases by online service companies and suggests framework to understand service design of them. Background: Recently, exploratory service design cases by online service companies such as Google, Apple, and NHN has been developed. Service design and online service experience design has been booming among user experience professionals but these two areas are not clearly defined. It is interesting to study the definition and key factors of service design and online service experience design. Moreover, investigating service design cases by online service companies is needed. Method: Due to diversification of service design cases by online service companies, this study has reviewed online resources and literatures about top 5 online service companies in USA and Korea. Furthermore, this study used expert interview who worked for service design at NHN. To understand the attributes of service design cases, this study developed 3 types of service design classifications scheme such as service design as extension of online service, space design and event service design.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a new framework for service design cases. Results: This study investigated service design cases by online service companies and suggests key issues and frameworks to uncover service design for online service. Conclusion: Service design cases for online service was analyzed by $2^*2$ matrix(extension, $enrichment^*product$, service) to explain characteristics and attributes. NHN's Knowledge-iN bookshelf at NHN library1 is a unique form of service design as a tool of enrichment of online experience.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help to understand service design cases and plan new service design for online service companies with structured framework.

필기구 디자인의 인간공학적 제요소와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rgonomic features and Their Improvements in Pen Design)

  • 이재환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253-260
    • /
    • 2000
  • 필기구는 그 구조와 사용특성상 여타 제품과는 다른 특징을 많이 띠는 제품이다. 즉, 다양한 종류의 필기구라 할지라도 대체로 공통적인 구조나 부품으로 구성된 경우가 많다. 또한 제품 전체가 항상 손에 잡혀져 필기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이 필수적인 제품이다. 소비자들이 필기구를 고르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가 필기감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스타일링 위주의 디자인을 행하기 보다 필기감 향상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에서도 디자인이 기여할 수 있는 인간공학적인 개선이 매우 유효한 개선 방법이 된다고 할 수 있다. 현재까지도 인간과 일의 이해를 바탕으로한 인간공학 (Ergonomics)적 접근이나 필기구를 쥐었을 때의 편안함 등에 대한 문제해결은 부족한 면이 적지 않으며, 인간과 일의 관계에 의해 인간사회는 유지되며 독특한 문화를 형성한다는 근본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필기구 디자인은 문화적인 차원에서의 인간공학적 접근을 시도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필기구의 인간공학적 디자인 크라이테리어를 재정립하고, 실제 실험을 통하여 필기구가 가져야하는 기본적인 제원에 대하여 정리하여 향후 필기구 개발에 기초자료로 쓰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필기구 개발의 통합적 전개, 즉 동시공학적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나 각 부품별 모듈 시스템을 통한 모델 다각화 전략의 초석이 되는 데이터베이스 개발에도 효과적으로 응용될 수 있다.

  • PDF

한의사의 간접구 이용실태에 대한 조사 연구 (Survey on the Status of Utilization of mediate Moxibustion by Korean Medicine Doctor)

  • 이은경;한승준;정명수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5-127
    • /
    • 2013
  • Objectives : We examined the use of the moxibustion through survey on Korean Medicine Doctors (KMDs) on preparation of universal moxa product standard by fully reflecting opinions of practitioners and the industry. Methods :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25 questions including use of indirect moxa, side effects, complaints and improveme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o on, and were responded by 1,588 KMDs. For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using SPSS 12.0 for windows,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0.05. Results : In this research, 91% of the responded KMDs was using moxibustion, and the proportion of using mediate moxibustion was shown as 63.2%. They used mediate moxibustion for side effects of direct moxa method such as risk of burn, ease of use, control of stimulation and so on. And it was mostly being conducted to women and 40 ages. Most respondents gave moxibustion treatments for the purpose of thermal stimulation on acupoint to musculoskeletal diseases. Most respondents were treating 1~2 pieces of moxibustion to patients by moxibustion points to those of 1~2 regions every time within 10 minutes. Regarding the frequency of side effects of mediate moxibustion, within 3% of respondents had experienced side effects, and the types were burn, flare and itchiness, odor and smoke. The dissatisfaction of mediate moxibustion products was moderate(2.00 out of 5 point scale), and went up public health doctors, the younger ages and the shorter clinical experience. Complaints on mediate moxibustion products were serious odor, poor attachment, risk of burn etc. Regarding ways to improve mediate moxibustion, the expansion of moxibustion's insurance cost carne out highest, followed by preparation of manual on efficacy, strengthening of training, acquiring evidence on efficacy, diversification of specifications, safety improvement, quality improvement of mediate moxibustion products. Conclusions: Many KMDs use for ease of use and give moxibustion treatments for thermal stimulation but they complain about safety, efficacy and quality of mediate moxibustion. After this it is considered that we have to elevate therapeutic effect through the improvement of mediate moxibustion products.

천연 인조 토끼털의 주관적 평가 및 물리적 성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e Evalu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Natural/Artificial Rabbit Hairs)

  • 이선아;김종준
    • 패션비즈니스
    • /
    • 제21권4호
    • /
    • pp.144-158
    • /
    • 2017
  • Fur garment has long been the conventional symbol for luxury, or conspicuous consumption. However, as fashion items began to diversify as part of overall fashion trend, fur items are now more about individual taste and style than just lavishness. Synthetic fur is especially emerging as a new promising fashion material, with a touch almost like natural fur at an affordable price. Along with the emergence of 'Vegan Fashion' trend, synthetic fur is establishing itself as a popular fashion textil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vestigate subjective evalu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natural and synthetic furs, whose results will further serve as basic data in developing synthetic fur materials. Sensory and emotional evaluations are carried out on natural and artificial furs. For analysis, factors such as weight, thickness, air permeability, gloss and compressibility were surveyed to observe how they influence the phys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subjective evaluation, natural and artificial fur samples do not differ in conspicuous ways in appearance. Experiments on physical properties, specifically warm/cool touch experiment, show that natural fur has a slightly higher warm sensation than artificial fur. Luster analysis by using a microscope revealed that there are subtle qualitative differences between natural and artificial fur. During the subjective evaluation, subjects found it hard to state distinct quantitative differences in luster. A survey as a means of assessing qualitative differences in gloss seems to be necessary to complement the evaluation.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potentially serve as resources for diversification of fashion product designs using synthetic fur.

클라우드 서비스 중개를 위한 가변성 기반의 서비스 명세 기법 (Variability-based Service Specification Method for Brokering Cloud Services)

  • 안영민;박준석;염근혁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664-669
    • /
    • 2014
  • 클라우드 컴퓨팅 패러다임이 성행하면서 IaaS, PaaS, SaaS 유형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나타나고 있다. 제공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다양화로 인해 클라우드 테넌트(사용자)의 요구사항에 적합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중개하는 기술인 서비스 브로커 기술이 최근 들어 관심을 받고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중개하기 위해서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의 체계적인 등록, 분석, 검색을 지원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명세 모델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다양한 유형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명세하기 위한 가변성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분석 모델(SAM)을 제시한다. SAM은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의 가변성 개념을 적용하여 클라우드 서비스를 명세할 때 기능, 품질, 가격 측면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가변점에 가변값을 바인딩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비스의 공통성과 가변성을 나타낸다. 또한, SAM을 이용하여 테넌트에게 클라우드 서비스를 중개하는 브로커로서의 가상 클라우드 뱅크의 구조를 제안한다.

사이버위협 관리를 위한 인터넷 위협 및 취약점 정보 수집기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rnet Throats and Vulnerabilities Auto Collector for Cyber Threats Management)

  • 이은영;백승현;박인성;윤주범;오형근;이도훈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21-28
    • /
    • 2006
  • 초창기 보안은 침입차단시스템에 국한되었지만 현재에는 안티바이러스, 침입 탐지 및 방화벽과 같은 관련 정보보안 솔루션들이 많아지면서 이기종의 정보보안제품들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통합보안관리시스템이 개발 운영되고 있다. 최근에는 통합보안관리체계를 넘어서서 웜 바이러스 해킹 등 아직 일어나지 않는 사이버 위협을 관리해 능동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위협관리시스템이 보안업계의 새로운 관심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정보보호제품의 변화에 따라 수집정보도 다양화되어가고 있으며 사이버 위협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정보보안제품들로부터의 수집되는 정량적인 이벤트 로그들뿐 아니라 Microsoft, linux, 오라클과 같은 범용 어플리케이션들의 취약점 정보, 웜 바이러스 등의 악성 코드 정보, 또한 국제적 분쟁으로 인한 사이버징후와 같은 보안 뉴스들의 정성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위협 관리를 위한 정보수집의 일환으로 정량적인 정보와 정성적인 정보를 수집하는 인터넷 위협 및 취약점정보 자동수집기를 설계, 구현하였다. 제안된 수집기는 사이버위협을 관리하는데 있어 정량적인 정보 뿐 아니라 정성적인 정보를 함께 수집함으로써 사이버위협 판단의 정확성을 높이고 아직 발생하지 않은 사이버 위협에 사전에 대응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 PDF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 기반의 스마트 의류 기획을 위한 요인 연구 (A Study of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Smart Clothing Based on the Consumer's Lifestyle)

  • 조하경;김진선;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13권1호
    • /
    • pp.11-20
    • /
    • 2010
  • 웰빙 트렌드의 도입,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IT 컨버전스에 대한 수요의 증가에 따라 최근 스마트 의류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세분화되어 개발, 연구되고 있으며, 스마트 의류의 시장 또한 세분화되어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소비자 측면의 세분화에 따른 스마트 의류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의류 기획에 있어 가장 밀접한 관련이 예상되는 의복 및 의복행동 라이프스타일과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라이프스타일의 유형을 분석하고,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니즈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상품 기획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스마트 의류의 수요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20대, 30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의복 및 디지털 기반의 라이프 스타일은 유행 추구형, 실용적 기능 추구형, 감각적 정보 추구형의 세 가지 타입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토대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소비자 니즈를 통한 스마트 의류의 기획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