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cedural justice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4초

치위생(학)과 학생이 지각한 비대면 시험의 공정성, 시험 불안 및 학교 신뢰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justice of non-face-to-face exam, trust, and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 김형미;김창희;김정희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7-50
    • /
    • 2023
  • 연구배경: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이 지각한 비대면 시험의 공정성과, 시험 불안 및 학교 신뢰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치위생학과 학생 2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항목은 일반적 특성과 평가에 대한 의견, 비대면시험의 공정성(분배 공정성, 절차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 학교 만족도, 학교 신뢰도 등으로 구성하였다. 통계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 구조모형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비대면 시험에서 학교만족도와 신뢰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호작용 공정성(β=.401, p<.001)과 분배공정성(β=.232, p=.002)이 높을수록 학교에 만족하였으며, 학교 만족도(β=.606, p<.001)와 절차공정성(β=.299, p<.001)이 높을수록 학교를 신뢰하였다. 학교신뢰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호작용공정성(β=.243, p=.010), 분배공정성(β=.141, p=.010)이었다. 학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호작용 공정성(β=.592, p=.010), 분배 공정성(β=.208, p=.010)이며, 학교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교만족도(β=.56, p=.010), 상호작용 공정성(β=.332, p=.010), 절차 공정성(β=.229, p=.010), 분배 공정성(β=.116, p=.010)이었다. 결론: 비대면 시험에 대한 정보를 학교 또는 교수들이 충분히 제공하며, 시간을 들여 노력했을 때 정당한 성적을 받을 수 있도록 올바른 절차로 시행해야 학교를 신뢰하고 학교에 대해 만족할 수 있다. 학생들이 학교를 신뢰할 수 있는 공정한 비대면시험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채용 공고에 제시된 유리/불리 다양성 단서에 대한 남성과 여성 구직자의 반응 차이 (How Male and Female Job Seekers Differently React to Favorable/Unfavorable Diversity Cue on Job Postings)

  • 이태경;이혜원;서자경;유정;손영우
    • 감성과학
    • /
    • 제26권2호
    • /
    • pp.67-84
    • /
    • 2023
  • 지금껏 시행된 성별 다양성 정책의 목적은 주로 남성 중심으로 제도화된 차별적인 문화와 그로 인한 여성의 과소 활용을 해소하기 위함이었다. 따라서 그동안의 성별 다양성 연구는 여성을 소수집단으로 전제하고 이들을 우대하는 성별 다양성 정책을 펼친 경우에만 집중되었다. 하지만 주류집단과 소수집단의 개념은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사회에는 여성 중심적 직업군 역시 상당수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남성이 수혜자가 되는 다양성 정책에 대하여 남성과 여성 구직자가 각각 어떠한 반응을 보이는지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 329명(남성 156명, 여성 173명)을 대상으로 2(성별: 남성, 여성) × 2(다양성: 유리, 불리)의 참가자 간 실험 설계로 진행되었다. 참가자들은 가상 기업의 신입사원 채용 공고에 제시된 다양성 단서를 보고, 해당 기업에 대한 조직 공정성 및 조직 매력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먼저 구직자들은 채용 공고에 제시된 다양성 단서가 본인에게 유리(vs. 불리)할 경우 성별에 따라 조직의 분배공정성 및 절차공정성을 다르게 인식하였다. 구체적으로 남성 구직자보다 여성 구직자가 채용 공고에서 본인에게 유리(vs. 불리)한 다양성 단서를 접하게 되었을 때 조직의 분배공정성 및 절차공정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또, 다양성 단서와 조직 매력도의 관계를 조직 공정성 인식이 매개하였고, 이 매개효과가 성별에 의해 조절되었다. 이때 여성의 경우에는 다양성 단서와 조직 매력도의 관계에서 조직의 분배공정성 및 절차공정성 인식을 통한 매개효과가 둘 다 유의하였으나, 남성의 경우에는 조직의 절차공정성 인식을 통한 매개효과만이 유의하였다. 이 결과는 같은 내용이나 수준의 다양성 관리라 하더라도 개인의 사회적 지위나 소속집단에 따라 다르게 인식되며, 이로인해 차별화된 태도 및 행동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북한이탈주민의 범죄신고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법적 냉소주의 모형, 절차적 정당성 모형 및 법행동 모형을 중심으로 - (The Theoretical Factors of North Korean Refugees' Willingness to Report Crime: Based on the Legal Cynicism, the Procedural Justice, and the Behavior of Law Theory)

  • 홍성주;김주희;황의갑
    • 시큐리티연구
    • /
    • 제59호
    • /
    • pp.161-188
    • /
    • 2019
  • 범죄신고는 형사사법의 실효성을 높이는데 있어서 중요한 내용이기에 일반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사회 소외계층에 해당하는 북한이탈 주민들의 범죄신고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국내에 입국한 수도권 거주 800명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범죄피해의 신고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법적 냉소주의 모델과 절차적 정당성 모델을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들이 형사사법기관의 활동에 대해 느끼는 법적 냉소주의와 공정성 인식 수준이 북한이탈주민의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범죄피해의 신고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검증하여 기대했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도널드 블랙이 법행동 이론에서 제시한 종적분화, 횡적분화, 문화, 조직, 사회통제 등 다섯 가지 유형별로 도출한 사회조건을 기반으로 한 가설 대부분은 범죄피해의 신고의지에 유의미한 연관성이 발견되지 않거나, 상충된 결과를 보였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소외되었던 북한이탈주민에 주목하여 범죄신고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주민들의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법적 냉소성을 감소함으로써 범죄신고 의지를 고양하는 방안에 대하여 논하였다.

조직공정성이 임상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침묵의 매개효과,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거부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ilence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anager's Negative Feedback Rejection Inclination)

  • 송은정;김미정;고명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369-37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공정성이 임상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침묵의 매개효과와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거부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 재직 중인 간호사 220명이다. 본 연구결과 절차공정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체념적 침묵의 매개효과가 있었고, 상호작용공정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친사회적 침묵과 체념적 침묵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거부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절차공정성이 체념적 침묵을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와 상호작용공정성이 친사회적 침묵, 체념적 침묵을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유의하였다. 따라서 조직공정성이 조직침묵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거부성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조직공정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호텔기업의 고용형태를 조절효과로-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Customer Orientation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Type)

  • 권나경;이상재;김혜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237-246
    • /
    • 2014
  • 본 연구는 기업의 경영성과를 올리기 위한 방안으로 조직공정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통해 호텔기업과 같은 서비스 산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서울에서 근무 중인 호텔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총 321명의 자료가 실증분석에 적용되었다. 조직공정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직공정성의 하위변수인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은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절차공정성은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도출해 냈다. 또한 호텔산업의 특성상 비정규직의 채용이 늘어남에 따라 정규직과의 조직공정성에 대한 인식차이가 고객지향성에 대한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차이분석한 결과 정규직 종사원의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정규직은 유의하지 않은 결과로 나타나 가설은 채택되었다. 하지만 상호작용공정성은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고용형태에 따라 다를 것이다 가설은 기각되었다.

조직공정성 인지도와 구성원 혁신행동의 관계 및 성별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innovative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 안관영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29-236
    • /
    • 2012
  • This paper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innovative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sponses from 412 employees in small business, showed that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innovative behavior(process innovation, operation innovation, service innovation). In moderating effects, distributive justice more positively related with innovative behavior(process innovation and operation innovation) in male-group than in female-group. But interactional justice more positively related with innovative behavior(operation innovation and service innovation) in female-group than in male-group.

The Effects of Service Recovery and Perceived Justice on Customer Relationship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 Ryou, Eun-Jeong
    • 패션비즈니스
    • /
    • 제19권3호
    • /
    • pp.59-72
    • /
    • 201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how the service recovery of the beauty shops and customers' perceived justice affect the customer relationship. A survey based questionnaire method was employed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a convenient sampling of 232 female customers of hair beauty shops in Seoul and Busan. The data were analysed by using SPSS 21.0, including a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of regression analyses. The first result showed that all dimensions of service recover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justice. Especially, behavioral recovery of beauty shops was the major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perceived justice. Second, distributive justice and interactive justi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However, procedural justice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Finally,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and strongly associated with both trust and commitment. These results provide empirical proposition that the recovery strategies for complaint handling of the beauty service shop are related closely to relationship marketing.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Collectivism and Job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 Kim, Hyeong-Gi
    • 융합경영연구
    • /
    • 제4권3호
    • /
    • pp.25-32
    • /
    • 2016
  •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factors that reduce the high turnover rat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gainst the backdrop of their poor work environment including long hours, work overload and low wage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three sub-factors of justice on the collectivistic tendency and those of the job burnout on their turnover intention. To conduct this study, a survey was carried out childcare teachers of the Seoul and Metropolitan Area. Total of 283 valid femal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tilized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both procedural justice and interpersonal justice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collectivistic tendency and decrease the turnover intention. The interpersonal justice decreases the job burnout, whereas the distributive justic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s the job burnout. Also, the collectivistic tendency reduces the turnover intention. The job burnout increases the turnover intention, which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Hence, increasing the interpersonal justice and the collectivistic tendency could be an option for dealing with the issue.

Determinants of Sustainability Performance in Pharmaceutical Distribution Industry

  • KIM, Yong-Ha;KIM, Young-Taek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12호
    • /
    • pp.91-100
    • /
    • 2020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key factors that determine sustainability in terms of suppliers based on the transactions between suppliers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buyers (medical institutions) in the pharmaceutical distribution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ransaction justice factors were derived from three main components: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personal, five hypotheses were set up. The respondents from the data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re sales staff of pharmaceutical companies. Total of 319 questionnaires are collected and used to verify the hypotheses through the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s. Results: Justice of transactions perceived by the salesperson of pharmaceutical companie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commitment. Among them, procedural justice was found to have greatest relative influences. In addition, relationship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stainability performance. Thus, all hypotheses were adopted.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guidelines for fair trade between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medical institution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will have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d sustainability through transactions with buyers from the viewpoint of suppliers.

패션매장에서의 고객참여에 관한 연구 (Customers' Voluntary Participation in Fashion Stores)

  • 이수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1438-1449
    • /
    • 2008
  • The current research investigates customers' voluntary participation, using a sample of 446 consumers who visit fashion retail stores.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o test a social exchange CVP model, including three antecedents of customers' perceived justice through mediators of service satisfaction and brand commitment. In support of the proposed model, I identify fully mediated relationships from interactional justice to the three CVP via service satisfaction and brand commitment and partially mediated relationship from distributive justice to the three CVP through brand commitment. No mediated relationship found for procedural justice neither through service satisfaction nor brand commitment to the CVP behaviors. The results generally support that the significantly indirect effects of perceived justice to the three CVP and satisfaction and commitment are the important mediators in between. The concept of justice can be interpreted in light of the normative value of social exchange relatio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