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justice, test anxiety, and school reliability s non-face-to-face tests of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67 dental hygiene students. The survey items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opinions on evaluation, the fairness of non-face-to-face tests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school satisfaction, and school reliability. For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sample t-tests, one-way ANOVA, and structural modeling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Among factors that directly affected distributive justice and reliability towards non-face-to-face tests, the higher the interactional justice (β=0.401, p<0.001) and distributive justice (β=0.232, p=0.002) levels, the higher the schoo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school satisfaction (β=0.606, p<0.001) and procedural justice (β=0.299, p<0.001) levels, the higher the perceived reliability of the school. Factors that indirectly affected school reliability included interactional justice (β=0.243, p=0.010) and distributive justice (β=0.141, p=0.010). Interactional justice (β=0.592, p=0.010) and distributive justice (β=0.208, p=0.010) were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satisfaction. Moreover, factors that influenced school reliability were distributive justice (β=0.56, p=0.010), interactional justice (β=0.332, p=0.010), procedural justice (β=0.229, p=0.010), and distributive justice (β=0.116, p=0.010). Conclusions: Students will trust and be satisfied with schools when schools and professors sufficiently provide information on face-to-face tests and ensure proper procedures to achieve reasonable grades as rewards for exerted time and effort.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s a reference base for developing a variety of content for fair, non-face-to-face tests, thereby allowing students to trust their schools.
연구배경: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이 지각한 비대면 시험의 공정성과, 시험 불안 및 학교 신뢰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치위생학과 학생 2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항목은 일반적 특성과 평가에 대한 의견, 비대면시험의 공정성(분배 공정성, 절차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 학교 만족도, 학교 신뢰도 등으로 구성하였다. 통계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 구조모형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비대면 시험에서 학교만족도와 신뢰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호작용 공정성(β=.401, p<.001)과 분배공정성(β=.232, p=.002)이 높을수록 학교에 만족하였으며, 학교 만족도(β=.606, p<.001)와 절차공정성(β=.299, p<.001)이 높을수록 학교를 신뢰하였다. 학교신뢰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호작용공정성(β=.243, p=.010), 분배공정성(β=.141, p=.010)이었다. 학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호작용 공정성(β=.592, p=.010), 분배 공정성(β=.208, p=.010)이며, 학교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교만족도(β=.56, p=.010), 상호작용 공정성(β=.332, p=.010), 절차 공정성(β=.229, p=.010), 분배 공정성(β=.116, p=.010)이었다. 결론: 비대면 시험에 대한 정보를 학교 또는 교수들이 충분히 제공하며, 시간을 들여 노력했을 때 정당한 성적을 받을 수 있도록 올바른 절차로 시행해야 학교를 신뢰하고 학교에 대해 만족할 수 있다. 학생들이 학교를 신뢰할 수 있는 공정한 비대면시험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