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y consumption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5초

남해에 출현하는 고등어 (Scomber japonic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in the South Sea of Korea)

  • 윤성종;김대현;백근욱;김재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6-31
    • /
    • 2008
  • The feeding habits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were studied based on an examination of the stomach contents of 512 specimens collected between November 2005 and October 2006 in the South Sea of Korea. The specimens ranged in fork length (FL) from 23.4-37.5 cm. Chub mackerel is a piscivore and consumes mainly Teleosts such as Engraulis japonicus. Its diet also includes amphipods, crabs, Euphausia, chaetognaths and shrimp. Smaller individuals (<26 cm FL) consume mainly crabs. The proportion of these prey items decreases with increasing fish size, and this decrease paralleles the increased consumption of fish. The prey size increases with S. japonicus size.

한국 남해에 출현하는 전갱이(Trachurus japonicus)의 위내용물 조성과 영양단계 (Diet composition and trophic level of jack mackerel, Trachurus japonicus in the South Sea of Korea)

  • 김도균;성기창;진수연;서호영;백근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7권2호
    • /
    • pp.117-126
    • /
    • 2021
  • Diet composition and trophic level of Trachurus japonicus were studied using 417 specimens collected by trawls, set nets and purse seine fisheries from March 2019 to February 2020 in the South Sea of Korea. The size of T. Japonicus ranged from 7.0 to 49.8 cm in total length. T. japonicus were a carnivore that fed mainly on euphausiids and pisces. In eddition, T. japonicus fed on small quantities of cephalopods, crabs etc. T. japonicus showed ontogenetic changes in feeding habits. The proportion of euphausiids decreased inversely proportional to body size whereas the consumption of pisces gradually increased. As body size of T. japonicus increased the mean number of prey per stomach and the mean weight of prey per stomach tended to increase, but the mean number of prey per stoma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s a result of the feeding strategy analysis, T. japonicus were specialized feeders with pisces and euphausiids as their dominant prey. The trophic level ranged between 3.57 ± 0.54 and 3.91 ± 0.65, and increased asymptotically with size of specimens. The average trophic level of the T. japonicus was 3.79 ± 0.61.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의 식성 (Feeding habits of Favonigobius gymnauchen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72-379
    • /
    • 1998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 피밭에서 채집된 날개망둑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날개망둑의 주요 먹이생물은 단각류 (특히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게류 및 요각류였으며, 그 외, 복족류, 이매패류, 주걱벌레붙이류, 등각류 등이 소량씩 위내용물 중에서 발견되었다. 날개망둑이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점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날개망둑은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및 요각류를 비교적 고르게 먹었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요각류를 먹는 비율은 점차 낮아진 반면, 갯지렁이류. 게류를 먹는 비율은 증가하였다. 한편 옆새우류는 조사된 모든 크기에 걸쳐 가장 선호된 먹이생물이었다. 계절에 관계없이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게류 및 요각류가 주요 먹이생물이였으나, 봄과 가을에는 요각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다른 계절에 비해 높았으며, 여름에는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및 게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다른 계절에 비해 높았다.

  • PDF

한국 서해에 출현하는 붕장어(Conger myriaster)의 식성 (Feeding Habits of Whitespotted Conger, Conger myriaster in the West Sea of Korea)

  • 강다연;김도균;성기창;진수연;정재묵;강수경;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77-182
    • /
    • 2023
  • 한국 서해에 출현하는 붕장어(Conger myriaster)의 식성을 알아보기 위해 총 158개체의 붕장어를 분석하였으며, 채집된 붕장어의 항문장(Preanal length)은 8.2~40.1 cm (±17.3 cm)의 범위를 보였다. 공복률은 30.4%를 보였으며, 위내용물이 발견된 붕장어는 110개체였다. 총 21개의 먹이생물이 출현하였으며, 그중 4개는 과까지, 1개는 속까지, 16개는 종까지 분류되었다. 붕장어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54.4%의 상대중요도 지수비(%IRI)를 나타낸 어류(Pisces)였다. 어류 중에서도 멸치(Engraulis japonicus)가 우점하였다. 어류 다음으로 중요한 먹이생물은 새우류(Macrura)로 39.6%의 상대중요도지수비를 차지하였고, 새우류 중에서는 마루자주새우(Crangon hakodatei)가 가장 우점하였다. 붕장어의 성장에 따른 먹이생물 변화를 분석한 결과, 성장함에 따라 새우류의 섭식비율은 감소하였고 어류의 섭식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성장함에 따라 개체당 평균 먹이생물의 중량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순천 상내리 갯골에 출현하는 민물두줄망둑(Tridentiger bifasciat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ridentiger bifasciatus in the Tidal Creek at Sangnae-ri, Suncheon, Korea)

  • 예상진;정재묵;김현지;박주면;허성회;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60-167
    • /
    • 2014
  • The feeding habits of Tridentiger bifasciatus were studied using 733 individuals collected in the tidal creek at Sangnae-ri, Suncheon, Korea, using a push net, monthly, from April 2011 to March 2012. The standard length (SL) of the specimens ranged from 1.5 to 8.2 cm. The stomach content analysis indicated that T. bifasciatus consumed mainly amphipods, such as Corophium sp., while copepods, polychaetes, and shrimps were other important prey species. In addition T. bifasciatus ate small quantities of crab larvae, fish, gastropod larvae, and insects. T. bifasciatus is a generalist that feeds on various zoobenthos, including fish. T. bifasciatus underwent an ontogenetic dietary shift. Smaller individuals (1-2 cm SL) fed mainly on amphipods. The proportion of amphipods decreased as body size increased, whereas the consumption of polychaetes increased gradually. The seasonal variation in the diet composition of T. bifasciatus was significant. Insects were common prey during summer, while the amounts of other prey, including polychaetes, were similar during spring, autumn, and winter.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붕장어 (Conger myriaster)의 식성 (Feeding Habits of Conger myriaster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65-672
    • /
    • 1998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 피밭에서 채집된 붕장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붕장어의 주요 먹이는 어류, 새우류 및 게류였다. 그밖에 옆새우류, 복족류, 두족류, 갯지렁이류, 곤쟁이류, 쿠마류, 등각류 등이 위내용물 중 발견되었다. 붕장어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점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붕장어는 새우류, 어류, 게류 그리고 옆새우류를 고르게 먹었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옆새우류와 새우류의 점유율은 점차 감소하였고, 어류의 점유율은 점차 증가하였다. 붕장어는 계절에 따른 환경 생물의 조성과는 관계없이 특정 생물을 먹이로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어류는 다른 환경 생물에 비해 잘피밭 환경에서 출현량이 많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연중 지속적으로 선택되는 먹이생물이었다.

  • PDF

부산 주변 해역에 출현하는 황돔(Dentex tumifron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Yellowback Seabream, Dentex tumifrons, in the Coastal Waters of Busan, Korea)

  • 김하원;박주면;백근욱;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5-40
    • /
    • 2012
  • 부산 연안해역에서 2004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1회 채집된 황돔($Dentex$ $tumifrons$) 317개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황돔의 표준체장(SL)은 10.2~27.8 cm 범위였다. 황돔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새우류(Macrura)를 주로 섭식하는 육식성어종(carnivore)이었다. 새우류 다음으로 어류(Pisces)가 중요한 먹이생물이었다. 그 다음으로 집게류(Anomura), 단각류(Amphipoda), 게류(Brachyura), 극피동물(Echinodermata), 두족류(Cephalopoda) 순으로 섭식하였다. 그 외, 갯지렁이류(Polychaeta), 갯가재류(Stomatopoda), 이매패류(Bivalivia), 패충류 (Ostracoda), 곤쟁이류 (Mysidacea) 등을 섭식하였지만 그 양은 매우 적었다. 가장 작은 크기군인 10~13 cm의 크기군에서는 새우류가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로 나타났다. 13~16 cm 크기군에서는 새우류의 비율이 감소한 반면, 집게류, 극피동물, 게류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새우류, 집게류, 극피동물, 게류의 비율이 감소한 반면, 어류의 비율은 계속 증가하였다. 어류는 체장 25 cm 이상의 크기군에서는 위내용물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부산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성대 (Chelidonichthys spinos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Bluefin Searobin (Chelidonichthys spinosus) in the Coastal Waters off Busan)

  • 허성회;박주면;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1-56
    • /
    • 2007
  • 2005년 1월에서 12월까지 부산 주변해역에서 채집한 출현하는 성대(Chelidonichthys spinosus) 646개체의 위 내용물을 분석하였다. 성대의 주 먹이생물은 대롱수염새우 (Solenocera melantho), 둥근돗대기새우(Leptochela sydniesis), 꽃새우(Trachthysalambria curvirostris) 같은 새우류(Macrura)였으며, 게류(Brachyura)와 어류(Pisces) 등도 섭이하였다. 체장 25cm 이하의 비교적 작은 개체는 둥근돗대기새우, 게류, 어류 등을 주로 섭이하였고, 25 cm 이상의 큰 개체는 대롱수염새우, 꽃새우 같은 큰 크기의 새우류를 주로 섭이하였다. 성대의 먹이생물 크기는 성대의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남해에 출현하는 삼치(Scomberomorus niphoni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허성회;박주면;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5-41
    • /
    • 2006
  • The feeding habits of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were studied based on the examination of stomach contents of 445 specimens collect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04,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The size of Spanish mackerel ranged from 26.1 to 105.4 cm in fork length (FL). Spanish mackerel was a piscivorous fish which mainly consumed teleost fishes such as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and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ts diet also included small quantities of shrimps, stomatopods, cephalopods, crabs, polychaetes, amphipods, cumaceans and copepods. Smaller individuals (<60 cm FL) consumed small fishes such as Engraulis japonicus and crustaceans. The portion of these prey items decreased with increasing fish size, and this decrease was paralleled with increased consumption of lager fishes such as Scomber japonicus and Cololabis saira. The prey siz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fish size.

여수 연안에서 서식하는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의 식성 (Feeding Habits of Hexagrammos otakii off the Yoesu Coast of Korea)

  • 정진호;김희용;문성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705-713
    • /
    • 2022
  • The feeding habits of Hexagrammos otakii were studied by analyzing the stomach contents of 508 specimens collected from July 2009 to December 2010 off the Yeosu coast of Korea. The total length of the H. otakii specimens ranged from 10.7 to 41.5 cm. H. otakii was found to be a bottom-feeding carnivore that mainly consumed brachyura, amphipoda, but also sonsumed cephalopoda, pisces, anomura, polychaeta, and gastropoda. It was shown through relative importance analysis that the benthic share was 58.1% for brachyura, 24.5% for amphipoda, 7.5% for caridea, and 7.3% for pisces. Brachyura was the main prey item for H. otakii, occupying 35% of the stomach contents. The proportion of brachyura and amphipoda decreased with the growth of H. otakii, and their decrease paralleled the increased consumption of pisces. The shift in feeding habits to larger prey organisms with increasing fish size seems to be one of survival strategies to maximize net energy g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