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3초

아동상담에 대한 보육교사와 유아기 어머니의 인식 및 요구 (The Child Care Teacher's and Mother's Recognition and Need about Child Counseling and Therapy)

  • 문수경;이무영;박상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4호
    • /
    • pp.181-196
    • /
    • 2007
  •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child care teather's and parents's recognition and need about child counseling and to analyse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44 child care teachers and 260 mothers of the day care centers. The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Most child care teachers are aware of child counseling through lecture, pre-service education, and internet. Most mothers hear about child counseling through internet. They think that child counseling is very effective for young children, especially for negative experience and emotion. Most child care teachers think that they can administer child counseling. especially daycare centers. But mothers think that special facilities is the most appropriate place by child counseling. Child care teachers and mothers regard the credibility of human being as personal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child counseling. Counseling specialists are to be the most appropriate person for followed by child care teather's and parents. And they think that special training is needed for child counseling. but few of them receive special training. They perceive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 education in child counseling. but they rarely experience related education of child counseling. Especially, they feel lack of time and information. They also want to apply to child counseling children education after learning it through counseling association or by observing real situations in child counseling center using morning time or during weekends. Most mothers and child care teachers know play therapy, art therapy. bibliotherapy, sand play therapy.

대학생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구조분석 (Structural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Students' Happiness)

  • 최민수;조승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1호
    • /
    • pp.49-63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 correlation of factors that have an influence on th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ctors on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influencing factors of happiness. To this end, 430 freshmen in college were selected and tested on character, self-esteem, self-leadership, and happiness.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30 questions of Character Scale that Choi Min-Soo and Im Eun-Young(2013) developed and modified by Im Eun-Young(2015), a Self-Leadership Scale of Manz(1998) classified into behavioral strategy and cognitive strategy that Wang Ji-Seon(2011) translated and modified. a Self-Esteem Scale(SES) of Rosenberg(1986) that the researcher modified and used, and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of Hills and Argyle(2002) that Choi Yo-Won(2002) translated and the researcher modifi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for correlation with happiness, self-esteem was .86, self-leadership was .74, and character was .66, and for correlation with self-leadership, character was .70, self-esteem was .66, and correlation between character and self-esteem was .57. Secondly, for direct effect on happiness, self-esteem was .62, character as .20, self-leadership was .19, and for direct effect on self-leadership, character was .49 and self-esteem was .38. Thirdly, indirect effect of character on happiness through self-leadership was .94 and indirect effect of self-esteem on happiness through self-leadership was .73.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identified that character, self-esteem, and self-leadership of college students are the influencing factors on happiness, and that self-esteem is the biggest influencing factor on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among the thre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university students' personality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esteem and that university students' personality, self-esteem, and self-leadership altogether had a direct influence on happiness. Moreover, both personality and self-esteem of university students had an indirect influence on happiness through their self-leadership.

유치원 교육실습에서 교육일기 쓰기가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 교육신념 및 교사가 느끼는 조직건강에 미치는 효과 (An Effects of Student-teaching in Kindergarten through Educational Diary on Pre-service Teacher Efficacy, Teacher's Educational Belief and Organizational Health)

  • 김종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578-5587
    • /
    • 2011
  •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실습에서 피드백이 주어지지 않는 교육일기 쓰기가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효능감, 교육신념, 그리고 그들이 느끼는 실습유치원의 조직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충남의 한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4학년 34명을 대상으로, 이질통제집단전후검사 설계 방식에 의해 실험이 이루어졌고, 자료에 따라 $x^2$분석과 t-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교육실습 일기 쓰기가 교사효능감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교사신념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셋째, 예비교사들이 느낀 실습학교의 조직건강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실습 지도교사의 피드백이 기본 전제 조건인 반성적 저널쓰기를 실용성 차원에서 실습일기 쓰기로 대체할 수 있다는데 있다. 지도교사의 피드백이 없이 단지 교육 실습일기 쓰기만으로도 교사효능감은 증진된다는 것이다.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Creative Personality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 이유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교사효능감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보육실습과 교육실습의 경험이 있는 경기지역에 소재한 S대학, Y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165명이었다. 측정도구로는 하주현의 창의적 인성검사와 김순남에 의해 수정된 TEBI(Teaching Eefficacy Belief Instrument)교사효능감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일원변량분석, schaffer 사후검증, 적률상관계수,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배경변인(성적, 연령, 임원활동)에 따른 창의적 인성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에서 '연령'은 교사효능감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개인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창의적 인성 점수가 높은 예비유아교사들이 교사효능감도 대체로 높았으며 특히 개인 교사효능감에서 더욱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예언해주는 창의적 인성 요인은 자기 확신, 상상, 개방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일반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인식하고 이를 촉진하는 교육과정 운영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유아-교사 상호작용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n Youth Children's Self-Regulation)

  • 문혁준;최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69-176
    • /
    • 2019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유아-교사 상호작용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3~5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358명, 그들의 담임교사 28명이며,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유아-교사 상호작용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 중 유아-교사 상호작용이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에 비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행동조절보다는 정서조절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의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유아-교사의 상호작용을 확인하였으며 어머니의 훈육방식에 대한 교육, 그리고 교사의 상호작용에 관한 지속적인 교육과 예비 교사 대상의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한국 교사의 국제 교육개발협력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체계적 문헌고찰 (An Analysis of Korean Teachers' Educ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 Systemic Review)

  • 이현주;이정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320-334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 교사들의 국제 교육개발협력 연구에 대한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의 질적 협력을 강화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시대에 교사 및 교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systemic review)을 위해 8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고, 최초 검색된 논문은 2,945편이었으며 검색전략을 적용하여 최종 6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개발협력에 참여한 예비 및 현직 교사들은 개발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높은 관심도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 분야에 대한 지식과 교수효능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ODA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현지 분석과 역할 수행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과 유아교육에서는 개도국과 한국의 교육과정과 제도 등을 비교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육분야 ODA 관련하여 예비 현직 퇴직 교사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고, 교원들의 지속성 있는 교육개발협력 참여를 지원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SDGs 시대의 성공적인 교육개발협력을 위하여 한국 교사들의 전문성 강화, 현지에 대한 분석과 이해, 취약 계층의 보편적 교육에 대한 개발협력 방안이 필요하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교직수행능력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Self-Encouragement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ntry Motivation and Teaching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 이현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65-82
    • /
    • 2017
  •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202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교직선택동기(내재적, 외재적) 수준과 자기격려 수준에 따른 교직수행능력의 차이를 분석하고, 교직선택동기와 교직수행능력의 관계에서 자기격려가 매개효과를 갖는지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Baron과 Kenny(1986)의 절차에 따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여기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재적 교직선택동기 수준이 높고, 자기격려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교직수행능력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5). 그러나 외재적 교직선택동기 수준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내재적 교직선택동기와 교직수행 능력의 관계에서 자기격려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z=7.64, p<.001). 이 때,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의 전체효과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더해져 상당히 증가하였다. 셋째, 외재적 교직선택동기와 교직수행능력의 관계에서 자기격려는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z=4.24, p<.001). 즉, 외재적 교직선택동기의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직접효과는 사라지고 자기격려를 매개함으로써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유아교사양성 직전교육과정에서부터 교직선택동기에 따른 차별화된 상담과 생활지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자기격려가 긍정적 심리적 기제로 작용함으로써 개인의 부정적 심리적 특성을 완화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