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Construction Service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7초

해외건설시장 진출을 위한 건설사의 Pre-construction Service 핵심역량 분석 (An Analysis of Core Competence of Pre-construction Service of the Making Inroads into Oversea Construction Market (*for the Entry in the International Construction Business))

  • 변일우;김예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80-90
    • /
    • 2012
  • 2011년을 기준으로 국내 건설시장은 민간 부문과 공공부문의 발주 감소로 전반적인 건설 경기 침체가 되고 있는 실정이며 해외 건설의 경우는 플랜트에 편중된 시장 점유로 인해 전체 건설업에 대해서는 중국 및 인도 등에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 또한 선진국에 비해 고부가가치 기술경쟁력이 열위에 있는 상황에서 국내 건설사들의 경쟁력 강화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최근 국내 외에서 Pre-construction Service(이하 Pre-con Service)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대형 건축 및 플랜트 프로젝트 발주 시 이를 통한 발주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러나 국내 건설사들의 Pre-con 업무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부족과 업무 체계 정립이 미흡하여 Pre-con Service에 대한 대응 전략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사의 해외 건설 시장 진출을 위한 Pre-con Service의 핵심 업무를 규명하고 그 중요도와 현 역량 수준을 비교 분석하여 이에 따른 역량 향상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프리컨스트럭션 서비스 도입을 위한 BIM 기반 설계 최적화 및 시공성 검토 (BIM based Design Optimization and Constructability Improvement for Adoption of Pre-construction Service.)

  • 이창희;이정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87-188
    • /
    • 2017
  • Korean government is trying to adopt 'CM at Risk(CMR)' method to solve some problems of traditional project delivery method such as cost increase, delay, low quality. Pre-construction service(PCS) is a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of CMR and BIM is the best tool for efficient PCS execution. PCS is consisted of several main items such as Target costing, Cost trending, GMP, Design optimization, Constructability review and Productiv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e contractor's PCS application case result and to find improvement items.

  • PDF

초등 예비교사가 인식적 행위주체로서 고안한 생명과학 관련 지식 구성 활동의 인식적 목표 및 특성 탐색 (Exploring the Epistemic Goals and Features of Biology-Related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Shap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s Epistemic Agents)

  • 하희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7-5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인식적 행위주체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인식적 목표를 명시화하는 지식 구성 활동을 설계하여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생물학 강좌에 도입하였고, 이 활동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이 어떠한 유형의 인식적 목표를 어떻게 고안하였으며, 이 목표를 중심으로 정교한 수준의 인식적 특성을 지닌 지식 구성 활동이 형성되도록 촉진하거나 이를 제한한 요인을 탐색했다. 이를 위해 활동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실행 및 산출물을 녹음 및 수집했으며, 녹음 자료는 전사하여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이 고안한 인식적 목표의 유형은 '자연 현상에 대한 의미 형성하기', '실용적 선택안 제시하기', '문제 현상의 기작에 기반한 해결책 제시하기'로 도출되었다. 각 인식적 목표 유형은 예비교사들이 탐구하기로 선정한 자연 현상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어떠한 결론을 얻고자 하는가에 따라 서로 다르게 고안되었다. 예비교사가 인식적 목표를 명시화하는 활동 구조는 이들이 근거 기반의 지식 주장 정당화가 수반되는 지식 구성 활동을 고안하도록 촉진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예비교사가 고안한 지식은 지식의 본성 측면에서 주로 현상에 관한 기술에 그쳤으며, 현상의 기작에 관한 설명 구성은 자연 현상이 일어나는 기작에 대한 의미를 형성하고자 하거나 현상의 기작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계획할 때 나타났다. 그러나 예비교사들이 활용 가능한 시간적·물리적 자원의 한계에 따라 기작에 대한 설명 산출 과정에서 정교한 수준의 인식적 특성을 지닌 지식 구성 활동이 제한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인식적 행위주체성을 촉진하는 교수학습 전략의 고안 및 인식적 행위주체성을 중심으로 한 예비교사 교육에 대한 논의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공공부문 시공책임형 CM 사업의 시공이전단계 성과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Pre-Construction Phase of CM at Risk Project in Public Sector)

  • 박보성;김옥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97-105
    • /
    • 2021
  • 발주제도 혁신을 통한 국내 건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시작된 시공책임형 CM 사업이 공공부문에서 시범사업의 형태로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정식 발주제도로 나아가기 위한 관련 법령 제정까지는 시간이 필요해 보이며, 사업에 대한 성과분석도 아직까지 미진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4개의 시범사업의 사업이전단계사업관리(Pre-Construction Service)에 대한 성과분석을 통해 사업의 효과와 신뢰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Team Building, 설계도서 정합성, 공기검토, VE, BIM 활용 등 총 5개의 분야에 대해 성과분석을 진행했으며, 참여자 면담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확인하고 그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이루어질 발주제도 법제화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과학적 설명 구성 도구를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설명 수준 변화와 도구의 어포던스 탐색 (Changes in Explanatory Level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rough a Scientific Explanation Construction Tool and Exploration of Its Affordances)

  • 김종욱;임성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4호
    • /
    • pp.497-512
    • /
    • 2023
  • 과학적 설명 구성은 과학의 본질적 실행임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과학적 설명의 형식적 구조에 익숙하지 않으며 좋은 과학적 설명을 평가하는 기준 역시 지니고 있지 못한 경우가 많다. 그에 따라 본 연구는 과학적 설명의 개념을 명료히 하고 과학적 설명 구성을 안내할 수 있는 과학적 설명 구성 도구를 제안하고 이 도구가 예비교사들의 응결 현상에 대한 설명 수준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총 네 단계의 설명 구성 수준 중 상당수의 예비교사는 사전에 기술(description) 수준에 머물렀으나 이 도구의 활용을 통해 연관적(associative) 수준 이상의 설명을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도구는 예비교사들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 틀을 정립하고 논리적 설명과 미시적 해석을 이끄는 어포던스를 지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과학적 설명에 대한 형식과 준거를 이해하고 이를 자신의 설명 구성에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앞으로 다양한 주제와 분과 영역에서 예비교사들의 과학적 설명 수준 향상을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며, 나아가 예비교사들에게 실제적인 환경 속에서 학생들이 과학적 설명을 구성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수업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지구에 대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의 존재론적 사고 (Earth Science Pre service Teachers' Ideas about the Earth on the Ontological Categories)

  • 정진우;권정희;김윤지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1-118
    • /
    • 2008
  •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earth conception the nine pre service teachers who are majoring in earth science education and classifying a special feature from the ontological categories. Open ended questionnaires and semi structured interviews which meant to contribute to identifying ontological categories of concepts involving study area were designed. Pre service teachers' ontological category about earth conception most showed to dynamic and proto process. In the results show that many pre service teachers recognize simply the conception to a material, a condition and a conversion of the state changing. Most of the pre service teachers show their intermediate understanding level about the earth inne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of the drawing tasks and interviews. The main alternative conceptions show them through a definition of the plate, a wording definition between lithosphere and asthenosphere, a feature of the plate boundary, a heat convection in the earth inner, the earth inner heat source, the earth inner structure, a physical feature of the mantle.

  • PDF

예비 초등 교사의 도형 분석 능력 신장을 위한 GSP 작도의 활용 (Using GSP Construction Improving Figure Analysis Abilit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 노은환;강정기;김민정;정상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7권2호
    • /
    • pp.127-15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예비 초등 교사의 도형 문제 해결에 있어 필요한 교수 역량을 다양한 문제 해결 능력, 핵심 요소를 추출하는 능력, 그리고 학생의 어려움을 예상하는 능력의 관점에서 그들의 현 실태 파악과 더불어, 교수 역량의 강화 방안으로 GSP 작도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예비 초등 교사들이 문제 해결에서 오류를 보이기도 하고, 지식에 초점을 둔 핵심 요소를 추출하는 경향이 강하며, 학생들의 어려움을 특정한 한 가지에서 찾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GSP 작도를 통해서 여러 가지 다양한 성질을 부분적으로 탐구하는 것은 가능하나, 통합된 관점에서의 문제 분석 및 개념 간 연결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발견했다. 더불어 GSP 작도를 통한 시각적 확인 및 탐구 이후, 문제 해결의 방법이 좀 더 다양해졌으며, 학생의 어려움을 예상하는 초점이 다른 방향으로 전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GSP 작도가 예비 초등 교사의 교수 역량 강화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도록 돕는 몇 가지 시사점을 추출할 수 있었다.

예비교사들의 실수 e에 대한 이해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real number e)

  • 최은아;이홍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495-51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실수 e의 다양한 의미와 맥락을 살펴보고, 실수 e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 정도를 조사하였다. 먼저 실수 e의 역사적 발생과 수학적 의미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검사지를 개발하여 예비교사 28명에게 적용하고, 그 중 8명에게 반성 및 탐구 활동을 수행하였다. 실수 e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당수의 예비교사들이 실수 e의 형식적 정의와 그 표현과의 관계를 인식하지 못하였으며, 실수 e의 표현을 극한 표현에 편중되어 이해하고 있었다. 실수 e의 무리수 속성과 작도 불가능성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적절한 판단을 내렸으나, 그 근거에서는 다소 미흡한 면모를 드러내었다. 또한 실수 e의 연속 복리 맥락과 지수함수 맥락에는 높은 이해도를 나타낸 반면에, 기하적 맥락과 자연로그 맥락을 미흡하게 이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예비교사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으로, 예비교사들에게 실수 e의 다양한 표현과 속성, 맥락에 대한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실수 e의 다양한 측면이 잘 조직된 관계망 속에서 통합 지도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STEAM 수업에서의 멘토교사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수 역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entoring Experience in STEAM Classes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for STEAM Education)

  • 한혜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1호
    • /
    • pp.1-2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STEAM 수업에서의 멘토교사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 교수 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사범대학과 연계된 중학교 자유학기제 수학탐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23명의 예비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수행되었다.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수 역량의 변화 및 멘토교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STEAM 교수 역량 검사와 수업 일기 및 간담회 자료 분석 결과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STEAM 수업에서의 멘토교사 경험은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지식, 교과내용지식, 교수학습방법, 수업상황 및 환경 역량 함양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특히,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STEAM 수업에서의 현장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이해 향상과 더불어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수업에서의 학습과제의 인지적 수준 분석 (An analysis on the level of cognitive demands of mathematical tasks set up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권성룡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8권2호
    • /
    • pp.61-75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가 수학수업에서 활용한 과제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G교육대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2개반 학생들 중 4주간의 교육실습에서 수학수업을 배정받아 수업을 한 학생들 중 자신의 수업동영상, 수업계획서, 동영상 전사자료를 제출한 50명의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예비교사가 수학수업시간에 활용한 과제의 출처, 과제의 수정여부, 수정방법, 과제의 인지적 요구 수준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