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tato virus Y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23초

Expression Patterns of CaMV 35S Promoter-GUS in Transgenic Poatoes and Their Clonal Progenies

  • Lee, Kwang-Woong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1호
    • /
    • pp.17-25
    • /
    • 1994
  • Two potato (Solanum tuberosum L.) cultivars were transformed by Agrobacterium tumefaciens harboring cauliflower mosaic virus (CaMV) 35S promoter and $\beta$-glucuronidase (GUS) gene. Expression patterns of the CaMV 35S promoter according to tissue types and developmental stages, and genetic stability of GUS gene were investigated in the clonal progenies of transgenic potatoes. Kanamycin-resistant shoot emerged from tuber disc after 4 weeks of culture, and root was induced 6 weeks after culture on the selection medium. Shooting frequency of cvs. Superior and Dejima were 43% and 27%, respectively. Mature transformants and their clonal progenies showed no phenotypical abnormality. GUS activity was expressed primarily at parenchymatous cells of phloem tissue around the vascular cambium in the stem and root, and higher activity was found at the apical meristem of shoot, root and adventious shoot bud. GUS activity was higher at tubers of young explants than at stored tubers. These facts indicate that expression level of the CaMV 35S promoter differed according to tissue types and developmental stages of the organs. The GUS gene was stably inherited to each clonal progeny and normally expressed.

  • PDF

Development of PVY resistant flue-cured $F_1$ hybrid variety 'KF120'

  • Kim, Jae-Hyun;Park, Yong-Hack;Chung, Youl-Young;Kim, Kwang-Chul;Shin, Seung-Gu;Kuem, Wan-Soo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69-74
    • /
    • 2009
  • 감자바이러스 Y(PVY)는 국내 황색종 산지에서 잎담배의 생육, 수량 및 품질에 있어서 매우 심한 피해를 일으키는 병으로서 이를 방제하기 위해서는 PVY 저항성 품종의 육성이 시급히 요구된다. KF120은 msKF117과 KF0007-7를 교배하여 육성된 $F_1$ hybrid 품종이다. msKF117은 NC82와 N. Africana를 교배하여 육성하였고, KF0007-7은 KF117과 NC82를 교배하여 육성하였다. KF120의 농경적 특성과 병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006 ~ 2007년 동안 생산력 검정시험을 수행한 결과 KF120은 KF109에 비하여 생육특성 및 수량성이 양호하였으며 수확엽수는 2매 정도 많았고 개화기는 2일정도 늦었다. KF120의 건조엽 수량은 KF109에 비하여 5% 정도 증수 되었으며 화학성분 및 물리성은 대등한 수준이었다. KF120은 KF109에 비하여 세균성 마름병과 역병에 대해서는 유사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PVY에 대해서는 높은 저항성을 보였다.

한국의 씨감자 검역 (Seed Potato Certification in Korea)

  • 나용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63-170
    • /
    • 1977
  • 한국에서 감자의 여러 가지 감수요인중 가장 중요한 것은 각종병해인데, 이 가운데에서도 특히 바이러스 병인 모자이크병과 잎말림병에 의한 수량감소가 가장 큰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서는 무병 건전한 씨감자를 생산해서 농민에게 보급할 목적으로 1961년에 고랭지시험장에서 씨감자 검역사업이 시작되었다. 본고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춘작용 보급종 씨감지(남작품종)의 생산개황을 설명하였다. 1976년도에는 대관령에 있는 2개 씨감자 생산조합회원들에 의해 약 1마톤 (M/T)의 보급종 남작 씨감자가 생산되어 농수산부의 종자보급소를 통해 농민에게 공급되었고, 이들 보급종 씨감자의 검역은 국립농산물검사소 검사원들이 실시하였다. 보급종 씨감자는 단위수량에 있어서 농민들이 자 채종해서 재배하는 씨감자를 월등히 능가하지만, 1976년도의 경우 보급종씨감자의 절대생산량부족으로, 급량은 소요량의 1/5에 불과하였다. 한편 추작용 상품종인 "시마바라"의 보급종은 한국에서 생산되지 않고 있다. 바이러스병에 걸린 씨감자를 심으면 아무리 맥배 리를 잘해도 수량의 증대는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단위수량의 제고는 농민들이 보다 우량한 씨감자를 심어야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현재 씨감자 공급량을 2-3배로 증가해야 한다. 현재의 부족되는 보급종 씨감자의 공급량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씨감자의 재배면적확대와 씨감자 생포장에서의 단위수량증대가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에서는 씨감자생산에 적당한 고랭지가 많이 있으며, 고랭지 이외의 곳에서도 우량한 씨감자는 생산될 수 있다. 우량씨감자의 보급과 재배법의 개선은 감자의 단위량을 크게 증대시킬 것이다. 한편 고랭지시험장에서 생산되고 있는 원원종씨감자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최근에 개발된 몇가지 새로운 재배기술을 활용해봄직하다. 또한, 무병 건전한 신품종의 씨감자가 신속히 농민에게 보급될 수 있도록 현행 씨감자 검역제도는 개선되어야 한다.

  • PDF

채소류의 토마토 반점 위조 바이러스 발생과 병징 (I) (Occurrence and Symptoms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on Vegetables in Korea (I))

  • 조점덕;김정수;김진영;김재현;이신호;최국선;김현란;정봉남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213-216
    • /
    • 2005
  • 토마토 반점위조 바이러스(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가 2004년 경기도 안양지역에서 토마토, 고추 등을 포함한 14개 채소 작물에서 발생하였다. TSWV검정은 지표식물 검정, IC/RT-PCR, VC/RT-PCR 및 Total RNA를 이용한 RT-PCR방법을 이용하였으며, TSWV가 발생한 작물의 종류는 토마토, 방울 토마토, 고추, 시금치, 치커리, 적치커리, 적겨자, 용설채, 트레비소, 감자, 들깨, 참깨, 호박, 쌈추 이었다. 포장에서의 발생율은 토마토, 고추 등 주요 작물에서 $30\%$에서 $100\%$ 발생하였으며,병징은 대부분 전형적인 원형반점이었으며, 괴저, 위조 및 심한 모자이크 병징으로 진전되었다. TSWV가 발생한 포장에서 채집한 꽃노랑 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를 IC/RT-PCR 검정한 결과 감염율이 $90\%$이었다.

A Possible Role of Trehalose as a Regulatory Molecule in Plant Drought Resistance

  • Hwang, Eul-Won;Cho, Soo-Muk;Kwon, Hawk-Bi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23-127
    • /
    • 2004
  • In many organisms, trehalose has been Down as an energy source and a protectant against various environmental stresses such as desiccation, freezing, heat and osmotic pressure. Previously, we have isolated and characterized the genes encoding trehalose-6-phosphate synthase (ZrTPS1) and trehalose-6-phosphate phosphatase (ZrTPS2) from one of the most osmotolerant yeasts, Zygosaccharomyces rouxii. We have also generated transgenic plants by co-introduction of ZrTPS2 and ZrTPS2 into potato plant (ZrTPS2-2A-ZrTPS1 plant) in an attempt to metabolically engineer trehalose in the transgenic plant using the foot-and-mouth disease virus(FMDV) 2A system and to generate drought resistant crop plants. In this research, we assayed previously generated the ZrTPS2-2A-ZrTPS1 plant biofunctionally by drought treatment, and measured the amount of trehalose in the ZrTPS2-2A-ZrTPS1 transgenic plants. The ZrTPS2-2A-ZrTPS1 transgenic plant showed strong drought resistance in spite of little or no accumulation of transgenic in he transgenic plant compared with control plant.

GUS Expression by CaMV 35S and Rice Act1 Promoters in Transgenic Rice

  • Kwang-Woong Lee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3호
    • /
    • pp.371-380
    • /
    • 1994
  • To determine the patterns and the levels of expression of the cauliflower mosaic virus (CaMV 35S) promoter and the rice actin 1 (Act1) promoter in rice, transgenic rice plants containing CaMV 35S-$\beta$-glucuronidase (GUS) and Act1-GUS constructs were generated and examined by fluorometric and histochemical analyses. The fluorometric analysis of stably transformed calluses showed that the activity of the rice Act1 promoter was stronger than that of the CaMV 35S promoter in rice cells. In a histochemcial study of the transgenic rices, it was shown that the GUS activity directed by the CaMV 35S promoter was localized mainly in parenchymal cells of vascular tissues of leaves and roots and mesophyll cells of leaves. These results are similar to those of potato, a dicot plant. In contrast, rice plant transformed with Act1-GUS fusion construct revealed strong GUS activity in parenchymal cells of vascular tissue, mesophyll cells, epidermal cells, bulliform cells, guard subsidiary cells of leaves and most cells of the root, suggesting that the rice Act1 promoter is more constitutive than the CaMV 35S promoter. It was also confirmed that in both types of transgenic rice little or no staining was localized in metaxylen tracheary elements of vascular tissue from leaves or roo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ice Act1 promoter can be utilized more successfully for expression of a variety of foreign gene in rice than the CaMV 35S promoter.

  • PDF

고구마 바이러스 무병묘의 세대간 생육 및 수량 변이 (Growth and Yield Variations among Generations in Field Cultivation of Virus-free Sweet Potato Plants)

  • 이승엽;이나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76-382
    • /
    • 2014
  • 고구마 바이러스 무병묘 재배에 따른 세대 간 수량변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안노베니', '연황미', '맛나미' 등 3품종의 무병묘 세대($TC_0$, $TC_2$, $TC_3$) 삽수를 $75{\times}25cm$로 정식하여 흑색비닐로 멀칭재배하였다. 정식 30일째 줄기신장은 대조구인 농가묘보다 무병묘 세대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TC_0$에서 가장 왕성하였다. 120일째 수확기 생육은 줄기길이, 원줄기 마디수와 곁가지수는 농가묘보다 무병묘 세대에서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무병묘 세대의 지상부 생체중이 농가묘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무병묘 세대간 그리고 품종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당괴근수와 평균괴근중은 농가묘보다 $TC_0$$TC_1$ 세대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 $TC_2$ 세대에서는 농가묘와 차이가 없었다. 무병묘 세대의 주당괴근중은 농가묘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무병묘 세대간에는 $TC_0$에서 가장 높았다. 무병묘 세대의 평균상저수량, 상저비율과 소형 고구마(40-200g) 비율도 농가묘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300g 이상 괴근비율은 $TC_0$ 세대에서 가장 낮았다. $TC_2$ 세대의 상저수량은 $TC_0$ 세대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농가묘와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품종간 상저수량은 '맛나미'에서 가장 높았으며, '안노베니', '연황미' 순이었다. 따라서 무병주의 수량과 품질 유지를 위해서 농가는 3년 주기로 교체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교체주기는 바이러스 재감염 정도에 따라 2-3년 주기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복숭아흑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의 생활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ife history of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Sulzer (Homoptera))

  • 심재영;박중수;백운하;이영복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39-144
    • /
    • 1977
  • 복숭아혹진딧물의 생활사를 야외에서 조사한 결과 1. 월동란은 3월하순-4월 상순에 부화하며, 부화율은 $95\%$였다. 2. 5월상, 중순에 겨울숙주로 이동하여 11월 상, 중순 사이에 월동란을 낳았다. 3. 1년간 빠른 개체군은 23세대, 늦은 개체군은 9세대를 영위하였다. 4. 성숙기간은 약 10.8일, 생식기간은 약 15.8일, 수명은 28.5일이었으며 모두 봄, 가을에는 그 기간이고 여름에는 짧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5. 암컷 한 마리당 총산자수는 약 50마리, 최다산자수는 118마리 이었으며, 1일 평균산자수는 3.2마리 이었으며 1일 최다산자수는 13마리었다.

  • PDF

형질 전환된 포플러에 대한 nos-NPT II 유전자의 기관별 발현 특성 (Organ Specific Expression of the nos-NPT II Gene in Transgenic Hybrid Poplar)

  • 전영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1호
    • /
    • pp.77-86
    • /
    • 1995
  • 임목을 대상으로 삽입된 외래 유전자의 공간적, 시기별 발현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온실에서 생육 중인 형질전환된 2년생 잡종 포플러 (Populus alba X P. grandidentata) Hansen 클론을 대상으로 삽입된 외래 유전자의 발현정도를 각 기관별로 조사하였다. Agrobacterium binary vector pRT45, pRT102 및 pRT104에 의해서 형질전환된 3계통의 형질전환체 Tr15, Tr345, Tr665 모두는 선발가능한 표식 유전자로서 nos promoter-NPT II 유전자가 대상 식물체의 genome에 삽입되어 있으며, 그외에, pin2 promoter-CAT 유전자(pRT45), nos promoter-PIN2 유전자(pRT102), Cauliflower Mosaic Virus 35s promoter-PIN2 유전자(pRT104)가 3계통의 형질전환체에 제각각 삽입되어 있는 잡종 포플러이다. 이들 3계통의 형질전환 포플러 식물체의 DNA를 PCR 검정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해 본 결과 선발 가능한 표식 유전자인 NPT-II가 삽입되어 있음이 입증되었다 발현 정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NPT-ELISA 검정을 실시하였다. 삽입된 NPT II 유전자는 형질전환된 포플러의 잎, 엽병, 형성층 조직, 줄기의 목질부, 뿌리에서 발현되었으며, 발현 정도는 형질전환된 식물체의 계통에 따라서, 그리고 형진전환된 식물체의 부위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pRT45에 의해서 형질전환된 Tr15 형질전환체의 경우, 늙은 잎과 엽병에서 NPT II 유전자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었으며, 어린 잎과 뿌리 조직에서 가장 낮게 발현되었다. 삽입된 외래 유전자가 각 식물체간에, 각 기관에 따라서 각각 상이한 발현 정도를 나타내는 이와 같은 결과는 형질전환된 식물체에 대한 효과적인 선발과정이 요구됨을 의미함은 물론이고, 형질전환 식물체의 발달 과정에 따라서 삽입된 외래 유전자가 공간적, 시기적으로 각각 다르게 발현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

Pseudocercospora cymbidiicola에 의한 심비디움 검은잎마름병 (Sooty Leaf Blight of Cymbidium spp. Caused by Pseudocercospora cymbidiicola)

  • 한경숙;박종한;이중섭;정승룡
    • 식물병연구
    • /
    • 제13권2호
    • /
    • pp.126-129
    • /
    • 2007
  • [ $2005{\sim}2006$ ]년 경기도 안성시와 화성시의 심비디움 재배 농가로부터 잎 뒷면에 검은색 구름덩이 모양의 병반을 형성하고, 잎의 앞면에는 원형 내지 타원형의 황색병반을 나타내는 병징이 관찰되었다. 병징이 진전되어 병반이 합쳐지면서 잎 전체가 황색의 원형 병반을 이루고, 잎 뒷면에서도 검은색 구름덩이가 합쳐져 그을음모양(sooty spot)을 나타낸다. 병징이 오래되면 잎 조직은 기능이 저하되어 결국은 암갈색 내지 검은색으로 변하며 잎이 마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심비디움에 발생한 검은잎마름병의 병징을 관찰하고, 병반에서 분리한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Pseudocercospora cymbidiicola로 동정되었으며 병원성 검정 결과 자연상태와 동일한 병징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이 병을 Pseudocercospora cymbidiicola에 의한 심비디움검은잎마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