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ed Potato Certification in Korea

한국의 씨감자 검역

  • La Yong-Joon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Franckowiak J. D. (Crop Improvement Research Center, Office of Rural Development) ;
  • Brown W. M. (UNDP/FAO Plant Protection Project,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Office of Rural Development)
  • 나용준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
  • ;
  • Published : 1977.09.01

Abstract

Potato diseases, especially mosaics and leaf roll, appear to reduce potato yield in Korea more than any other factor. A seed potato certification program was established at the Alpine Experiment Station (AES) in 1961 to produce high quality seed potatoes for distribution to Korean farmers. The present program for production of certified seed of Namjak (Irish Cobbler), the only variety recommended for spring plantings, is outlined. In 1976, approximately 10,000 MT of certified grade Namjak seed was produced by members of two Seed Producers Cooperatives in the Daekwanryeong area for distribution by the Office of See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SPD). The seed was inspected and certified by officers of the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Inspection Office (NAPIO). Although the quality of the certified seed is far superior to that used by many farmers, the supply planted less than 1/5 of the 1977 potato crop. Certified seed of Shimabara, the variety recommended for autumn plantings, is not produced in Korea. The yield response of virus infected seed to improved cultural practices is poor. Therefore, an increase in potato acreage and yields appears to be possible only if more good quality seed is used by Korean farmers. A two or three fold increase in seed supply would be desirable. The volume of seed could be increased by expanding the production area and by improving yield in seed fields. More land is available in the alpine area and good seed potatoes could be grown in other parts of Korea. Planting better quality seeds and using better cultural pracitces would improve seed yields. Several techniques could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lite seed produced at AES. Changes in seed potato certification program should be made so that healthy seed stocks of new varieties can be released rapidly.

한국에서 감자의 여러 가지 감수요인중 가장 중요한 것은 각종병해인데, 이 가운데에서도 특히 바이러스 병인 모자이크병과 잎말림병에 의한 수량감소가 가장 큰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서는 무병 건전한 씨감자를 생산해서 농민에게 보급할 목적으로 1961년에 고랭지시험장에서 씨감자 검역사업이 시작되었다. 본고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춘작용 보급종 씨감지(남작품종)의 생산개황을 설명하였다. 1976년도에는 대관령에 있는 2개 씨감자 생산조합회원들에 의해 약 1마톤 (M/T)의 보급종 남작 씨감자가 생산되어 농수산부의 종자보급소를 통해 농민에게 공급되었고, 이들 보급종 씨감자의 검역은 국립농산물검사소 검사원들이 실시하였다. 보급종 씨감자는 단위수량에 있어서 농민들이 자 채종해서 재배하는 씨감자를 월등히 능가하지만, 1976년도의 경우 보급종씨감자의 절대생산량부족으로, 급량은 소요량의 1/5에 불과하였다. 한편 추작용 상품종인 "시마바라"의 보급종은 한국에서 생산되지 않고 있다. 바이러스병에 걸린 씨감자를 심으면 아무리 맥배 리를 잘해도 수량의 증대는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단위수량의 제고는 농민들이 보다 우량한 씨감자를 심어야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현재 씨감자 공급량을 2-3배로 증가해야 한다. 현재의 부족되는 보급종 씨감자의 공급량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씨감자의 재배면적확대와 씨감자 생포장에서의 단위수량증대가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에서는 씨감자생산에 적당한 고랭지가 많이 있으며, 고랭지 이외의 곳에서도 우량한 씨감자는 생산될 수 있다. 우량씨감자의 보급과 재배법의 개선은 감자의 단위량을 크게 증대시킬 것이다. 한편 고랭지시험장에서 생산되고 있는 원원종씨감자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최근에 개발된 몇가지 새로운 재배기술을 활용해봄직하다. 또한, 무병 건전한 신품종의 씨감자가 신속히 농민에게 보급될 수 있도록 현행 씨감자 검역제도는 개선되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