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 Phenology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5초

벚나무의 계절현상과 이를 이용한 지역축제와의 관계 - 창원시 진해 군항제 사례 - (Relationship with the Phenology of Cherry Blossoms and Associated Festival : Case of Changwon Jinhae Gunhangje)

  • 도윤호;김성보;주기재;최기룡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46-453
    • /
    • 2013
  • 식물 계절현상을 이용한 축제는 생태계서비스의 한 형태로서 생태계와 인간이 문화적 요소를 통해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예이다. 봄철 식물의 계절현상을 이용한 대표적인 축제는 창원시 진해 군항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87년부터 2013년까지의 벚나무의 계절학적 자료와 군항제 개최시기 및 방문자수를 조사하여 식물계절학과 지역축제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행사기간 중 기상조건 (평균기온, 최저 최고기온, 강수량, 강수일수)과 행사시기특성(년도, 휴일수-토, 일요일 수, 행사기간일수, 행사시작일-개화일 차이)을 파악하여 군항제 방문객수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 시계열분석 결과 지난 26년 동안 벚나무의 발아일과 개화일의 주기성을 보이지 않거나 나타나더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방문객의 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으로는 기온, 일자(day), 강수요인이 추출되었다. 군항제기간의 기온이 방문객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벚나무의 개화시기와 행사기간이 불일치하더라도 방문객 수의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확실성이 떨어지는 개화시기를 맞춰 축제기간을 설정하기 보다는 행사기간을 고정하고 일부 유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행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는 것이 군항제의 성공적인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Plant Architecture and Flag Leaf Morphology of Rice Crops Exposed to Experimental Warming with Elevated CO2

  • Vu, Thang;Kim, Han-Y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55-263
    • /
    • 2011
  • Projected increases in atmospheric $CO_2$ concentration ([$CO_2$]) and temperature ($T_a$) have the potential to alter in rice growth and yield.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whether $T_a$ warming with elevated [$CO_2$] modify plant architecture. To better understand the vertical profiles of leaf area index (LAI) and the flag leaf morphology of rice grown under elevated $T_a$ and [$CO_2$], we conducted a temperature gradient field chamber (TGC) experiment at Gwangju, Korea. Rice (Oryza sativa L. cv. Dongjin1ho) was grown at two [$CO_2$] [386 (ambient) vs 592 ppmV (elevated)] and three $T_a$ regimes [26.8 ($\approx$ambient), 28.1 and $29.8^{\circ}C$] in six independent field TGCs. While elevated $T_a$ did not alter total LAI, elevated [$CO_2$] tended to reduce (c. 6.6%) the LAI. At a given canopy layer, the LAI was affected neither by elevated [$CO_2$] nor by elevated $T_a$, allocating the largest LAI in the middle part of the canopy. However, the fraction of LAI distributed in a higher and in a lower layer was strongly affected by elevated $T_a$; on average, the LAI distributed in the 75-90 cm (and 45-60 cm) layer of total LAI was 9.4% (and 35.0%), 18.8% (25.9%) and 18.6% (29.2%) in ambient $T_a$, $1.3^{\circ}C$ and $3.0^{\circ}C$ above ambient $T_a$, respectively. Most of the parameters related to flag leaf morphology was negated with elevated [$CO_2$]; there were about 12%, 5%, 7.5%, 15% and 21% decreases in length (L), width (W), L:W ratio, area and mass of the flag leaf, respectively, at elevated [$CO_2$]. However, the negative effect of elevated [$CO_2$] was offset to some extent by $T_a$ warming. All modifications observed were directly or indirectly associated with either stimulated leaf expansion or crop phenology under $T_a$ warming with elevated [$CO_2$]. We conclude that plant architecture and flag leaf morphology of rice can be modified both by $T_a$ warming and elevated [$CO_2$] via altering crop phenology and the extent of leaf expansion.

온도와 일장에 따른 국화의 식물계절과 출엽 예측 모델 개발 (Modelling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Photoperiod on Phenology and Leaf Appearance in Chrysanthemum)

  • 서범석;박하승;이규종;최덕환;이변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53-263
    • /
    • 2016
  • 단일식물인 국화의 생육은 온도, 일장, 일사량 등 기상 환경과 재배관리 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기상환경과 재배관리를 고려한 국화의 생육예측모델은 국화 재배 시 의사결정을 위한 도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화 생육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온도와 일장뿐만 아니라 에세폰 처리, 야간 전조처리리 등 재배관리 정보를 입력변수로 하여 국화 품종 백선의 출엽과 식물계절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은 국화의 생육시기를 유약기(Juvenile phase), 유약기 이후 발뢰기까지 기간, 발뢰기부터 개화기까지의 기간의 기간으로 구분하여 계산을 하도록 구성하였다. 유약기는 출엽속도의 온도 반응 곡선과 유약기의 종료를 결정하는 기준 엽수를 이용하여 추정하도록 구성 하였다. 한편 모주와 이식 후 식물체에 대한 에세폰 처리가 유약기 종료시점의 엽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가정하여 모델에 반영하였다. 유약기 이후에는 온도와 일장에 관한 함수를 이용하여 발육속도를 계산하여 발뢰기와 개화기를 예측하도록 하였는데 야간전조 처리는 임계일장 이상의 장일로 가정하여 모델에 반영하였다. 그리고 최종 엽수는 잎의 출엽이 발뢰 직전까지 진행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예측하였다. 위와 같이 구성된 모델의 계수는 온도반응 실험과 정식시기 실험 등을 이용하여 추정하였고 프로그램 언어인 Java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모델의 계수 추정에 이용한 자료(calibration 자료)뿐만 아니라 이와는 별개의 자료(validation 자료) 모두에 대하여 모델이 비교적 정확하게 발뢰기와 개화기를 예측할 뿐만 calibration에 비하여 validation의 정확도가 떨어지지 않았다. 한편 생육시기에 따른 출엽수와 최종엽수를 모델이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였으나 생육시기에 따라 다소 과소 또는 과대 예측을 하여는 경향을 보여, 온도 이외의 요인을 반영할 수 있는 실험을 통해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ripterygium wilfordii (Celastraceae): A new generic and species record for the flora of Vietnam

  • HAI, Do Van;QUANG, Bui Hong;BACH, Tran The;BINH, Tran Duc;CHOUDHARY, Ritesh Kumar;LEE, Joongku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19-325
    • /
    • 2021
  • Tripterygium wilfordii Hook.f. (Celastraceae), collected from Phia Oac-Phia Den National Park of Vietnam, is reported here as a new generic and species record for the flora of Vietnam. The genus Tripterygium differs from other genera of Celastraceae by its samara fruits, which become three-winged at maturity, and a scandent shrub. Taxonomic notes, descriptions, line drawing and photographs are provided, together with short notes on the distribution, ecology and phenology of Tripterygium wilfordii Hook.f. (Celastraceae).

Development of K-Maryblyt for Fire Blight Control in Apple and Pear Trees in Korea

  • Mun-Il Ahn;Hyeon-Ji Yang;Sung-Chul Y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40권3호
    • /
    • pp.290-298
    • /
    • 2024
  • K-Maryblyt has been developed for the effective control of secondary fire blight infections on blossoms and the elimination of primary inoculum sources from cankers and newly emerged shoots early in the season for both apple and pear trees. This model facilitates the precise determination of the blossom infection timing and identification of primary inoculum sources, akin to Maryblyt, predicting flower infections and the appearance of symptoms on various plant parts, including cankers, blossoms, and shoots. Nevertheless, K-Maryblyt has undergone significant improvements: Integration of Phenology Models for both apple and pear trees, Adoption of observed or predicted hourly temperatures for Epiphytic Infection Potential (EIP) calculation, incorporation of adjusted equations resulting in reduced mean error with 10.08 degree-hours (DH) for apple and 9.28 DH for pear, introduction of a relative humidity variable for pear EIP calculation, and adaptation of modified degree-day calculation methods for expected symptoms. Since the transition to a model-based control policy in 2022, the system has disseminated 158,440 messages related to blossom control and symptom prediction to farmers and professional managers in its inaugural year. Furthermore, the system has been refined to include control messages that account for the mechanism of action of pesticides distributed to farmers in specific counties, considering flower opening conditions and weather suitability for spraying. Operating as a pivotal module within the Fire Blight Forecasting Information System (FBcastS), K-Maryblyt plays a crucial role in providing essential fire blight information to farmers, professional managers, and policymakers.

온도기반의 Beta Distribution Model 을 이용한 후지 사과의 성숙기 예측 (Predicting Harvest Maturity of the 'Fuji' Apple using a Beta Distribution Phenology Model based on Temperature)

  • 최인태;심교문;김용석;정명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247-1253
    • /
    • 2017
  • The Fuji variety of apple, introduced in Japan, has excellent storage quality and good taste, such that it is the most commonly cultivated apple variety in Gunwi County, North Gyeongsang Province, Korean Peninsula. Accurate prediction of harvest maturity allows farmers to more efficiently manage their farm in important aspects such as working time, fruit storage, market shipment, and labor distribution. Temperatur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plant growth, development, and yield. This paper reports on the beta distribution (function) model that can be used to simulate the the phenological response of plants to temperature. The beta function, commonly used as a skewed probability density in statistics, was introduced to estimate apple harvest maturity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in this study. The model parameters were daily maximum temperature, daily optimum temperature, and maximum growth rate. They were estimated from the input data of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and apple harvest maturity. The difference in observed and predicted maturity day from 2009 to 2012, with optimal parameters, was from two days earlier to one day later.

수 종 목본식물의 화력학적 연구

  • 민병미;최재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4호
    • /
    • pp.477-487
    • /
    • 1993
  • 온대낙엽수림의 수 종 목본식물에서 생육초기의 기온과 개엽시기와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남한산성과 지역에서 1991, 1992 및 1993년 대관령 지역에서 1992년, 3월부터 5월까지 겨울눈의 파열 시기, 개엽이 완료된 시기, 개화 및 낙화의 시기를 관찰 조사하고 이것을 기상자료와 관련시켜 분석하였다. 남한산성 지역에서 개엽이 이른 종은 신갈나무, 진달래, 개벚나무, 노린재나무 등으로 4월 초순이었으며, 늦은 종은 굴참나무, 떡갈나무, 다릅나무 등으로 4월 하순이었다. 그리고 가장 빠른종인 진달래 (4월 8일)와 가장 늦은 종인 굴참나무, 다릅나무 및 떡갈나무 (5월 4일)의 차이는 27일 이었다. 두 지여간 동일 수종의 개엽시기를 비교하면, 남한산성의 것은 대관령 지역의 것보다 8~24일 빨랐다. 한편, 두 지역간 개화시기의 차이는 0~22일로 개엽시기의것보다 적었다. 겨울눈의 파열시기는 일적사온량지수(YDI)와 관계가 있지만 개엽이 완료되는 시기나 개화시기를 예측하는 데는 YDI보다 Nuttonoson의 온량지수(Tn)가 더욱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IS 및 원격탐사기법을 이용한 북한산 국립공원 주변부의 추이대 탐지 (Detection of the ecotone Mt.Pukhansan National Park with GIS and remote sensing technologies)

  • 박종화;명수정;박영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91-102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산 국립공원 경계선 일대의 추이대를 탐지하는 기법을 개발하여 추이대의 폭을 조사하고, 추이대의 폭과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1985, 1987, 1993년 5월 중순에 수신된 TM영상을 이용하여 계산한 정규식생지수(NDVI)를 도출하고, 버퍼링작업에 의하여 경계선으로 부터으 거리별 NDVI를 산출하여 추이대를 조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대상지의 추이대의 식생은 생물계절(phenology), 인접지역의 토지이용의 영향을 받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1993년에는 1985년에 비해서 추이대의 폭이 약 2배로 증대되어 탐방객의 과도한 이용 등으로 인하여 식생 피해지역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농작물의 기상재해 발생위험 판정기준 설정 및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준기상위험의 변화 전망 (An Agrometeorological Reference Index for Projecting Weather-Related Crop Risk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

  • 김대준;김진희;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62-169
    • /
    • 2016
  • 기준기상위험이란 한 지역의 평년기후조건이 작물재배에 미칠 수 있는 '농업기상학적 피해가능성'으로서, 동일 작물 재배 시 지역에 따른 재해위험을 비교하는 기준이 된다.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겨울 온도는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기상이변의 빈도 또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미래 기후조건에서 과수의 동해, 상해 등 저온에 의한 재해위험이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기후의 변화는 과수 생물계절도 변화시키므로 기상조건에 근거한 단순한 재해위험 전망은 기후변화적응의 실용측면에서 별 도움이 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주요 지역의 과거 및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배, 복숭아, 사과의 생물계절을 예측하고 생육단계별 기온과의 상호작용에 근거하여 저온 유래 기준기상위험을 계산함으로써 미래의 재해가능성을 전망하였다. 휴면해제일은 미래로 갈수록 늦어질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발아일과 개화일의 경우 빨라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대구, 전주, 목포의 경우 휴면해제일의 지연 정도가 미래로 갈수록 커졌으며 발아일과 개화일의 경우 서울, 인천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늦게 나타났다. 서울과 인천, 대구와 전주, 부산과 목포가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휴면기 동안에는 전 지역이 동해에 안전하였으나 휴면해제-발아기 동안에는 전 지역이 동해에 취약하였고, 발아기-개화기의 위험은 미래로 갈수록 대체로 낮아졌지만 지역에 따라 위험이 커지는 곳도 있었다.

식물의 희소성 평가를 위한 환경영향평가기법 개발 (Development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echniques for the Grading of Rareness in Plant)

  • 이유미
    • 환경영향평가
    • /
    • 제6권2호
    • /
    • pp.153-164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new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echniques for the grading of rareness in plant. 17 EISs which were submitted in 1996 were analyzed to know the problems in existent EIA techniques for the conservation of rare plants. Category of rare plant was reevaluated and evaluation technique for the grading of rareness in plant was develop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valuation technique of rareness in plant was not reflected in the current preparation provision for EIS. And t his fact also appeared in most of the EIS which were reexamined in this study. 2. The category of rare species which have been considered as the subject of protection in EIA have to be enlarged to more than legally protected species designated by MOE. 3. The taxonomic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species,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geographical characters, extent of threat and its possibility by man resulted from the habitat loss were investigated. Each item was endowed scores from 1 to 5 and all the scores were summed, and then this value was used to evaluate the order of conservation. 4. Conservation measures for the rare plants have to be applied according to the levels of rareness grade, and they are absolute conservation, in situ conservation, transplanting and ex situ conservation, post observation and none by the levels from A to E. 5. Considering the phenology of rare plants, investigation for the rare plants have to be made a1 least three times. 6. Size of the MVP(Minimum Viable Population), pollination ecology also have to be considered for the conservation of rare plants. And in the case of adopting ex situ conservation measure, the site and methods for the conservation of rare plants have to be proposed in detai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