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cture-book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초

그림책 감상을 통한 로봇 활용 놀이가 유아의 순서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obot-Used Play through Appreciation of Picture Books on Children's Sequential Thinking)

  • 안지수;남기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357-365
    • /
    • 2024
  • 본 연구는 그림책 감상을 통한 유아의 로봇 활용 놀이가 순서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각 유치원 만 5세 15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J유치원(실험집단)은 '그림책 감상 로봇 활용 놀이'를 지원하였으며, C유치원(비교집단)은 '그림책 감상 자유놀이'를 지원하였다. 두 집단의 놀이 경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순서적 사고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놀이지원 전과 후에 대한 점수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8.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사후점수를 ANCOVA(공분산분석)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그림책 감상을 통한 로봇 활용 놀이를 경험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순서적 사고의 총점과 하위 영역인 역학, 행동, 의도에서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 주도의 창의적인 놀이매체로서 로봇의 가치를 발견하고, 미래사회의 역량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순서적 사고 역량을 증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놀이연구로서 가치가 있다.

어린이집 1세반 영아와 그림책의 만남: 내부작용을 통한 의미생성의 관점에서 (The Encounter between Infants in a 1-Year-Old Daycare Class and Picture 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Meaning-making through Intra-action)

  • 이승연;김유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59-81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tra-action between infants and picture book reading in a daycare setting, aiming to gain new insight into infants' reading experience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2 infants from the Bluebird Class (1-year-old) at A Daycare Center.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context and flow of the infants' experiences,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during free play sessions, held three to five times a week, in the morning, from December 19, 2022, to February 17, 2023. Results: Firstly, infants engaged in the intra-action with symbols such as text, images, lines, colors, and latent narratives in picture books, spontaneously encountering meaning-making. Secondly, they explored the potential of materials such as their own bodies, the dacare classroom environment, and blocks, creating narratives through the process of 'becoming'. Thirdly, infants generated shared experiences by creating interactions within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the daycare clas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highlights a shift in perspective, recognizing infants as active readers who construct their own understanding. Additionally, it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cultivating an infant-centered environment and the meaningful role of teachers in supporting and facilitating such an environment.

어린이 그림책을 위한 주제명표 개발 연구: 『A to Zoo』를 바탕으로 (Developing Subject Headings for Children's Picture Books based on A to Zoo)

  • 박지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51-271
    • /
    • 2012
  • 주제명은 이용자가 어린이 그림책을 효과적으로 접근하도록 지원한다. 그러나 어린이 그림책은 다른 자료에 비해 표제나 목차와 같이 자료 자체에서 주제명을 선정하기가 어렵다. 또한 텍스트 외에 그림이 주는 정보량이 큰 편이다. 따라서 그림책의 주제접근을 위해서는 별도의 주제명 목록을 작성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어린이 그림책에 일반 도서용으로 개발된 주제명을 그대로 사용하기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주제명의 유형과 수준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그림책에 적합한 주제명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본 주제명의 선정을 위해서는 영미권에서 발행된 그림책 주제명표를 참고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우리 문화와 언어에 맞도록 기존의 표목을 수정 추가하였다. 또한 그림책의 주요 독자층인 어린이에게 적합한 표목을 선정하기 위해 초등국어사전과 같은 참고자료도 활용하였다. 그리고 시범적으로 구축된 주제명표를 어린이 그림책을 대상으로 한 권장도서 목록에 적용하여, 주제검색이나 브라우징, 도서 추천 등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어린이그림책일러스트레이션의 화면구도에 따른 인지효과 연구 (A Study on the Cognition Effect as to the illustration Layout in Children's Picture Books)

  • 유동관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263-272
    • /
    • 2005
  • 그림책화면에서 구도는 조형요소들의 놓여진 위치와 배열에 따라 어린이의 심리적 반응을 불러일으키고, 이야기내용에 따른 주제와 배경의 관계, 등장인물의 움직임 등을 전달하는 시각적 진술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어린이그림책의 화면구도가 시각적 심리적으로 어린이에게 어떻게 작용하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어린이의 지각발달과 지각경험이 어린이의 연령에 따라, 그리고 어린이마다 과거의 경험, 심리작용, 생리적 욕구, 감정상태, 성장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살펴보았으며, 시각적 심리적 지각은 4세에서 7세까지 전조작기에 해당하는 어린이를 발달심리학을 중심으로 선행연구자의 이론을 지각특성과 지각과정으로 접근하였다. 또한 실증조사를 통하여 분석한 내용을 조화롭고 효과적인 화면구도방식으로 유추하기 위하여 국내외에서 제작된 어린이그림책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가 제시한 결론은 일러스트레이터의 개성과 창의성이 바탕이 된 화면제작에 도움이 됨은 물론, 일러스트레이션을 배우는 학생들의 효과적인 표현방법연구와 실험에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 Reading Therapy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n the Enhanc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 최은실;변호승
    • 한국교육논총
    • /
    • 제41권1호
    • /
    • pp.1-2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소재의 B중학교 1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집단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실험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독서 활동 과정에서 일어난 참여자들 간의 긍정적인 상호 작용과, 참여자 개인이 등장 인물의 행동 및 상황에 정서적으로 반응하여 동일시와 카타르시스를 느끼고 통찰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심리적 변화라고 할 수 있다.

  • PDF

전자그림책의 활용실태와 인식: 아이돌보미와 유아교육과 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Actual Utilization and Recognition of Electronic Picture Books: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In-Home Childcare Providers and ECE Students)

  • 오연주;김애경;한유미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8권4호
    • /
    • pp.1-11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related to electronic picture books a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high-quality in-home child care service programs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and actual conditions of electronic picture book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16 in-home childcare workers from the on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who participated in the workshop on electronic picture books and 161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wo Universities as a comparison group.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recognition of ICT competencies and satisfaction with electronic picture books. Second, both groups viewed electronic picture books are effective in preparing for the information age and very positive in providing electronic picture books. Third, the valuation of electronic picture books in both groups was higher than that of paper picture books.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valuing e-picture books by ICT compet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the job performance of in-home child providers, which will be expanded in the future, by examining ICT competencies, e-picture book actual utilization, and recognition between the in-home childcare providers and ECE students.

독서자료 분석제공이 독서활동에 미치는 영향 - 독서캠프 프로그램의 독서후 독서활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Effects of Reading Activity with Information Guide on the Analytical Reading Material)

  • 김승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89-112
    • /
    • 2003
  • 독서후의 독서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2학년까지 4개 학년을 대상으로 과제도서를 각 학년별로 한 권씩 선정하여 읽히면서 독서활동을 전개하였다. 독서활동은 4박5일 동안 독서캠프 활동을 할 때 과제도서에 대한 분석식 독서자료를 작성 제공하여 활용하는 독서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독서감상문 쓰기, 독서발표, 독서토론, 독서감상 만화 그리기 4분야 영역의 결과는 독서감상문 쓰기가 가장 도움이 컸다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독서토론 활동 분야가 높았다. 그리고 독서발표 분야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으나, 독서감상 만화 그리기 분야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용 그림책의 이용에 나타난 이중독자구조의 탐색 : 만 5세 유아 가정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Dual Readership Represented in the Use of Picture Books by Families of 5-year-olds)

  • 최나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3호
    • /
    • pp.99-11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ual readership represented in the use of picture book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 of 9 families including 5-year-ol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exercised their exclusive right to choose books for their children. They usually used online bookstores, libraries, or book rental shops by consulting other mothers or merchandisers. On the other hand, fathers and children seldom involved themselves in the selection of picture books. Second, children preferred interesting books, while mothers favored complete series of books, which were usually for educational purposes. Third, dynamic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was occurred during their daily routine of reading picture books together. Five-year-olds seemed to be transitioning into independent readers, and mothers showed that they were also readers of picture books when they appreciated and enjoyed them.

청소년의 방과후학교 그림책 창작 프로그램을 매개로 한 그림책 치료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Reading Therapy through After-school Picturebook Making Activity Program for Adolescents)

  • 지상선;현은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369-385
    • /
    • 2022
  • 본 논문은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방과후학교 그림책 창작 프로그램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그림책 창작활동을 통한 자기내면 발견과 치유의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그림책 창작활동의 이론적 체계를 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6명의 중학생이며 그림책 창작 프로그램을 5단계 설계로 구성 적용하였고 연구참여자들의 심층 인터뷰와 자기 그림책 해석에 대한 내용을 서술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그림책 창작은 자기의 원본보다 더 초과적인 하이퍼 리얼리티(hyper-reality)를 통한 자기 세계를 구성할 수 있다. 둘째, 괴물이라는 두려운 존재는 낯설게 하기(defamiliarization)를 통해 자신의 문제를 다양한 각도에서 견지할 수 있으며 의식의 고양과 통찰력을 키웠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 창작이 자신의 존재를 이 세상에 드러내는 하나의 방식이고 이를 통해 자기와 일상생활의 의미를 탐구하고 구성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의 근거로 그림책 창작 활동이 원본과는 다른 또 다른 세계의 창조, 낯설게 하기 장치를 통한 잠재적 의식의 자극효과와 그림책 창작의 자기존재 정립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