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정희, "공부방에 드리운 코로나19의 그늘," 가톨릭 평론," 제29권, pp.102-112, 2020.
- 이시효, "코로나19 이후 거주환경의 차이가 초등학생 의 학습, 게임, 놀이 시간에 미치는 영향 : 분석 부천 시 소사구 세 학교를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제30권, 제4호, pp.172-207, 2020. https://doi.org/10.19097/KASER.2020.30.4.172
- 교육부, 2021학년도 방과후학교 길라잡이, 서울: 서울특별시 교육청, 2020.
- 전하람,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이 교육기회 확대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제51권, 제4호, pp.47-68, 2020.
- 김혜숙,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 및 사교육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육연구, 제13권, 제3호, pp.87-114, 2012. https://doi.org/10.15753/AJE.2012.13.3.004
- 신현아, 장윤옥, "방과후학교의 유형과 학습몰입 정도에 따른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교육만족도 차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8호, pp.499-511,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8.499
- 윤유진, "방과후학교 참여가 학업성취 및 사교육 경감에 미치는 효과," 방과후학교연구, 제4권, 제1호, pp.37-61, 2017.
- 신혜은, "그림책과 삶 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연구," 제6권, 제3호, pp.36-69, 2011.
- E. Andreas and Alva Noe, "Out of Our Heads Why You Are Not Your Brain, and Other Lessons from the Biology of Consciousness," Minds & Machines, Vol.20, pp.155-159, 2010. https://doi.org/10.1007/s11023-010-9178-y
- R. Schnell, 미디어 미학 [Medienaesthetik] (강호진, 이상훈, 주경식, 육현승 공저), 서울: 이론과 실천(원전은 2000년도에 출간), 2005.
- 탁정은, 비교해 보는 재미, 그림책 이야기, 서울: 한림출판사, 2006.
- J. Yontz-Orlando, "Bibliotherapy for mental health," International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Vol.2, No.2, pp.67-73, 2017. https://doi.org/10.5430/irhe.v2n2p67
- S. Degges-White and N. L. Davis, Integrating the expressive arts into counseling practice (2nd Ed.), New York, NY: Springer Pub. Co, 2017.
- 김현희 외, 독서치료. 서울: 학지사, 2001.
- 조난영, "그림책을 통한 가정폭력 가해자의 동일시 경험 연구," 독서치료연구, 제20권, 제11호, pp.185-110, 2019.
- 김현정,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강명숙,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이영숙,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불안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이유진, 김유정,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美術治療硏究, 제27권, 제5호, pp.995-1014, 2020.
- 임성관, 민경애, 홍경심, 어린이를 위한 독서치료, 서울: 시간의 물레, 2015.
- 정봄, 동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방과후학교 아동의 정서지능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한동경, 동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하세가, 슈웨이, 그림책론, Tokyo: Chikumashobo, 1994.
- 윤경미, 최선남, "표현예술치료로서 그림책 창작과 정이 가지는 의미," 美術治療硏究, 제24권, 제3호, pp.801-821, 2017.
- C. Malchilodi, The soul's palette, Boston: Shambhala, 2002.
- 안진숙, 그림동화책 창작 프로그램에 참여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리터러시에 관한 질적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학위논문, 2019.
- 김민화, "학교-지역사회 연계 문화예술교육 사례 연구-원화전시와 낭독공연을 함께 한 그림책 창작 프로그램," 문화예술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pp.89-113, 2019. https://doi.org/10.15815/KJCAES.2019.14.4.89
- 권경선, 유아의 그림책 읽기에 대한 의미이해 : 해석학적 순환과정을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박사학위논문, 2021.
- 현은자, "그림책 해석의 영성적 접근: 은혜 개념을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8권, 제3호, pp.21-42, 2017.
-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연구, 응용 현상학의 한 지평, 서울: 한길사, 2014.
- 유혜령, "현상학적 질적 연구에 대한 오해와 이해 : 연구 논리와 연구 기법 사이에서 길 찾기," 현상해석학적 교육연구, 제10권, 제1권, pp.5-31, 2017.
- A. M. Hynes and M. Hynes-Berry, Biblio/Poetry. therapy, the interactive process: A handbook. St. Cloud,. MN: North Star Press of St. Cloud Inc, 1994.
- 지상선, "청소년 범죄자들의 내면아이 그림책치료 프로그램 연구," 矯正硏究, 제31권, 제1호, pp.63-90, 2021.
- https://www.goodreads.com/book/show/13145774-dans-moi, 2021.6.13.
- C. E. Hill, Introduction to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In C. E. Hill (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 practical resource for investigating social science phenomena(pp.3-20),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2.
- 이서, 오치규, "실버세대를 위한 그림동화책의 필요성과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387-397,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387
- 김옥, 강은주, "그림책 독서치료가 유아의 자아개념 및 긍정/부정적 언어표현에 미치는 영향," 독서치료연구, 제12권, 제1호, pp.43-70, 2020.
- J. Baudrillard, 시뮬라시옹 (하태환 역), 서울: 민음사(원본발간일 1985), 2001.
- 이강석, "영화 속 시뮬라시옹을 통한 영화 트렌드의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9호, pp.424-429,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9.424
- 이수정, "낯설게하기(Defamiliarization)"에 대한 이해와 교육적 의미," 교육철학연구, 제36권, 제2호, pp.145-168, 2014. https://doi.org/10.15754/JKPE.2014.36.2.007007
- Z. Shechtman, "Bibliotherapy: An indirect approach to treatment of childhood aggression,"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Vol.30, No.1, pp.39-53, 2017. https://doi.org/10.1023/A:1022671009144
- P. McCaw, it's a scary world out there: crafting picture books to help anxiety and fear, Hamline University, Saint Paul, Minnesota, 2016.
- 캐슬린 김, 예술법, 서울: 학고재, 2013.
- 조홍준, "하이데거 예술론에서 시간의 의미 : 「존재와 시간」, 「시간과 존재」 그리고 「예술작품의 근원」을 중심으로," 현대유럽철학연구, 제1권, 제50호, pp.31-63, 2018.
- 칸트, 실천이성비판(박정하 역),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철학사상(원본발간일 1788), 2003.
-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이기상 역), 김제: 까치(원본발간일 1927),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