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henomenological Study on Reading Therapy through After-school Picturebook Making Activity Program for Adolescents

청소년의 방과후학교 그림책 창작 프로그램을 매개로 한 그림책 치료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지상선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 현은자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Received : 2022.04.29
  • Accepted : 2022.06.18
  • Published : 2022.06.28

Abstract

This thesis was a phenomenological study of an after-school picture book making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a theoretical system for picture book making activity by analyzing the process of self-discovery and healing through the picture book making activity. The participants were six middle school students, the picture book making activity program was organized into five stages, and in-depth interviews of the study participants and their interpretation of picture books were describ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first, the making activity of picturebooks can construct one's own world through hyper-reality that is more excessive than the original. Second, it can be said that the fearful existence of a monster has developed awareness and insight to view its own problems from various angles through defamiliarization. These results might be that the making activity of picturebooks is a way of revealing one's existence to the world, and through this, the process of exploring and constructing the meaning of oneself and daily life. Discussion was made based on this about the creation of another world where the picturebook making activity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the stimulating effect of the subconscious mind through the defamiliarization device, and the establishment of self-existence in picturebook creation.

본 논문은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방과후학교 그림책 창작 프로그램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그림책 창작활동을 통한 자기내면 발견과 치유의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그림책 창작활동의 이론적 체계를 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6명의 중학생이며 그림책 창작 프로그램을 5단계 설계로 구성 적용하였고 연구참여자들의 심층 인터뷰와 자기 그림책 해석에 대한 내용을 서술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그림책 창작은 자기의 원본보다 더 초과적인 하이퍼 리얼리티(hyper-reality)를 통한 자기 세계를 구성할 수 있다. 둘째, 괴물이라는 두려운 존재는 낯설게 하기(defamiliarization)를 통해 자신의 문제를 다양한 각도에서 견지할 수 있으며 의식의 고양과 통찰력을 키웠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 창작이 자신의 존재를 이 세상에 드러내는 하나의 방식이고 이를 통해 자기와 일상생활의 의미를 탐구하고 구성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의 근거로 그림책 창작 활동이 원본과는 다른 또 다른 세계의 창조, 낯설게 하기 장치를 통한 잠재적 의식의 자극효과와 그림책 창작의 자기존재 정립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희, "공부방에 드리운 코로나19의 그늘," 가톨릭 평론," 제29권, pp.102-112, 2020.
  2. 이시효, "코로나19 이후 거주환경의 차이가 초등학생 의 학습, 게임, 놀이 시간에 미치는 영향 : 분석 부천 시 소사구 세 학교를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제30권, 제4호, pp.172-207, 2020. https://doi.org/10.19097/KASER.2020.30.4.172
  3. 교육부, 2021학년도 방과후학교 길라잡이, 서울: 서울특별시 교육청, 2020.
  4. 전하람,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이 교육기회 확대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제51권, 제4호, pp.47-68, 2020.
  5. 김혜숙,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 및 사교육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육연구, 제13권, 제3호, pp.87-114, 2012. https://doi.org/10.15753/AJE.2012.13.3.004
  6. 신현아, 장윤옥, "방과후학교의 유형과 학습몰입 정도에 따른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교육만족도 차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8호, pp.499-511,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8.499
  7. 윤유진, "방과후학교 참여가 학업성취 및 사교육 경감에 미치는 효과," 방과후학교연구, 제4권, 제1호, pp.37-61, 2017.
  8. 신혜은, "그림책과 삶 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연구," 제6권, 제3호, pp.36-69, 2011.
  9. E. Andreas and Alva Noe, "Out of Our Heads Why You Are Not Your Brain, and Other Lessons from the Biology of Consciousness," Minds & Machines, Vol.20, pp.155-159, 2010. https://doi.org/10.1007/s11023-010-9178-y
  10. R. Schnell, 미디어 미학 [Medienaesthetik] (강호진, 이상훈, 주경식, 육현승 공저), 서울: 이론과 실천(원전은 2000년도에 출간), 2005.
  11. 탁정은, 비교해 보는 재미, 그림책 이야기, 서울: 한림출판사, 2006.
  12. J. Yontz-Orlando, "Bibliotherapy for mental health," International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Vol.2, No.2, pp.67-73, 2017. https://doi.org/10.5430/irhe.v2n2p67
  13. S. Degges-White and N. L. Davis, Integrating the expressive arts into counseling practice (2nd Ed.), New York, NY: Springer Pub. Co, 2017.
  14. 김현희 외, 독서치료. 서울: 학지사, 2001.
  15. 조난영, "그림책을 통한 가정폭력 가해자의 동일시 경험 연구," 독서치료연구, 제20권, 제11호, pp.185-110, 2019.
  16. 김현정,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7. 강명숙,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8. 이영숙,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불안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9. 이유진, 김유정,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美術治療硏究, 제27권, 제5호, pp.995-1014, 2020.
  20. 임성관, 민경애, 홍경심, 어린이를 위한 독서치료, 서울: 시간의 물레, 2015.
  21. 정봄, 동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방과후학교 아동의 정서지능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2. 한동경, 동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3. 하세가, 슈웨이, 그림책론, Tokyo: Chikumashobo, 1994.
  24. 윤경미, 최선남, "표현예술치료로서 그림책 창작과 정이 가지는 의미," 美術治療硏究, 제24권, 제3호, pp.801-821, 2017.
  25. C. Malchilodi, The soul's palette, Boston: Shambhala, 2002.
  26. 안진숙, 그림동화책 창작 프로그램에 참여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리터러시에 관한 질적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학위논문, 2019.
  27. 김민화, "학교-지역사회 연계 문화예술교육 사례 연구-원화전시와 낭독공연을 함께 한 그림책 창작 프로그램," 문화예술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pp.89-113, 2019. https://doi.org/10.15815/KJCAES.2019.14.4.89
  28. 권경선, 유아의 그림책 읽기에 대한 의미이해 : 해석학적 순환과정을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박사학위논문, 2021.
  29. 현은자, "그림책 해석의 영성적 접근: 은혜 개념을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8권, 제3호, pp.21-42, 2017.
  30.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연구, 응용 현상학의 한 지평, 서울: 한길사, 2014.
  31. 유혜령, "현상학적 질적 연구에 대한 오해와 이해 : 연구 논리와 연구 기법 사이에서 길 찾기," 현상해석학적 교육연구, 제10권, 제1권, pp.5-31, 2017.
  32. A. M. Hynes and M. Hynes-Berry, Biblio/Poetry. therapy, the interactive process: A handbook. St. Cloud,. MN: North Star Press of St. Cloud Inc, 1994.
  33. 지상선, "청소년 범죄자들의 내면아이 그림책치료 프로그램 연구," 矯正硏究, 제31권, 제1호, pp.63-90, 2021.
  34. https://www.goodreads.com/book/show/13145774-dans-moi, 2021.6.13.
  35. C. E. Hill, Introduction to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In C. E. Hill (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 practical resource for investigating social science phenomena(pp.3-20),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2.
  36. 이서, 오치규, "실버세대를 위한 그림동화책의 필요성과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387-397,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387
  37. 김옥, 강은주, "그림책 독서치료가 유아의 자아개념 및 긍정/부정적 언어표현에 미치는 영향," 독서치료연구, 제12권, 제1호, pp.43-70, 2020.
  38. J. Baudrillard, 시뮬라시옹 (하태환 역), 서울: 민음사(원본발간일 1985), 2001.
  39. 이강석, "영화 속 시뮬라시옹을 통한 영화 트렌드의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9호, pp.424-429,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9.424
  40. 이수정, "낯설게하기(Defamiliarization)"에 대한 이해와 교육적 의미," 교육철학연구, 제36권, 제2호, pp.145-168, 2014. https://doi.org/10.15754/JKPE.2014.36.2.007007
  41. Z. Shechtman, "Bibliotherapy: An indirect approach to treatment of childhood aggression,"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Vol.30, No.1, pp.39-53, 2017. https://doi.org/10.1023/A:1022671009144
  42. P. McCaw, it's a scary world out there: crafting picture books to help anxiety and fear, Hamline University, Saint Paul, Minnesota, 2016.
  43. 캐슬린 김, 예술법, 서울: 학고재, 2013.
  44. 조홍준, "하이데거 예술론에서 시간의 의미 : 「존재와 시간」, 「시간과 존재」 그리고 「예술작품의 근원」을 중심으로," 현대유럽철학연구, 제1권, 제50호, pp.31-63, 2018.
  45. 칸트, 실천이성비판(박정하 역),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철학사상(원본발간일 1788), 2003.
  46.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이기상 역), 김제: 까치(원본발간일 1927),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