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ized contents

검색결과 324건 처리시간 0.025초

Second TV를 위한 맞춤형 광고 서비스 (Personalized Interstitial Content Service for Second TV)

  • 이종설;신사임;임태범;이석필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229-234
    • /
    • 2008
  • The 'Anytime, Anywhere' services have been the biggest topic in the recent digital broadcasting research area. The related applications for the Anytime and Anywhere Services are as follows: the personalized broadcasting based on the PVR (Personal Video Recorder) for the Anytime Services, and the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he mobile devices supporting the wireless network and the Second TV and so on for the anywhere services. The personalized broadcasting has been researched on the one of the killer applications in the various broadcasting environment - the ground wave broadcasting, the satellite broadcasting, IPTV and CATV broadcasting suchlike. The applied contents of the personalized broadcasting have advanced from the main contents for the broadcasting to the interstitial contents like advertisements and coupons, the personalized interstitial broadcasting needs to develop the technology about the generation, storing and management of the interstitial metadata. but, the personalized broadcasting has the limitation that the TV environment is somewhat difficult to support the personalized broadcasting individually, because all family usually share the main TV at home. The Second TV is possible to solve the environmental limitation. This paper designs and develops the static set top box at home, the Second TV and their multimedia streaming techniques for the personalized broadcasting of the contents including the interstitial contents.

  • PDF

A Structure of Personalized e-Learning System Using On/Off-line Mixed Estimations Based on Multiple-Choice Items

  • Oh, Yong-Su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5권1호
    • /
    • pp.51-55
    • /
    • 2009
  • In this paper, we present a structure of personalized e-Learning system to study for a test formalized by uniform multiple-choice using on/off line mixed estimations as is the case of Driver :s License Test in Korea. Using the system a candidate can study toward the license through the Internet (and/or mobile instruments) within the personalized concept based on IRT(item response theory). The system accurately estimates user's ability parameter and dynamically offers optimal evaluation problems and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estimated ability so that the user can take possession of the license in shorter time. In order to establish the personalized e-Learning concepts, we build up 3 databases and 2 agents in this system. Content DB maintains learning contents for studying toward the license as the shape of objects separated by concept-unit. Item-bank DB manages items with their parameters such as difficulties, discriminations, and guessing factors, which are firmly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s in Content DB through the concept of object parameters. User profile DB maintains users' status information, item responses, and ability parameters. With these DB formations, Interface agent processes user ID, password, status information, and various queries generated by learners. In addition, it hooks up user's item response with Selection & Feedback agent. On the other hand, Selection & Feedback agent offers problems and content objects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user's ability parameter, and re-estimates the ability parameter to activate dynamic personalized learning situation and so forth.

개인화 검색 시스템 프레임워크 개발 (Development of a Personalized Search System Framework)

  • 김광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461-46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특징을 이용하여 각 콘텐츠에 적합한 특징들을 설계하고 수행할 수 있는 개인화 검색 시스템의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한국과학기술정보 연구원에서 제공하는 국내학술, 특허, 동향 정보 등 다양한 콘텐츠들을 이용하여 개인화 검색 시스템의 다양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콘텐츠 유형에 따라 OTT 서비스의 개인화추천서비스가 관계강화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A Study on the Effects of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ervice of OTT Service on the Relationship Strength and Customer Loyalty in Accordance with Type of Contents)

  • 김민주;김민균
    • 서비스연구
    • /
    • 제8권4호
    • /
    • pp.31-51
    • /
    • 2018
  • 본 기술의 발전과 인터넷 환경의 변화로 인터넷 기반의 동영상 제공 서비스인 OTT(Over-the-top) 서비스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이용자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맞춤형 정보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개인화추천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요가 커졌다. 본 연구는 OTT 서비스의 개인화추천서비스가 관계강화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나아가 콘텐츠 유형에 따라 개인화추천서비스가 가지는 의미의 차이를 확인하여 개인화추천서비스의 제공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OTT 서비스의 개인화추천서비스는 관계강화를 매개로 고객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고객이 주로 이용하는 콘텐츠의 형태 및 내용에 따라 개인화추천서비스가 관계강화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화추천서비스는 고객과의 관계 형성 및 몰입을 유도하여 관계를 강화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고 이는 고객충성도를 향상하며, 고객과의 소통이 활발한 콘텐츠일수록 개인화추천서비스의 제공이 충성도 향상에 크게 기여함을 알 수 있다.

T-DMB 개인 맞춤형방송 서비스를 위한 전자콘텐트안내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Electronic Content Guide (ECG) Technology for Personalized T-DMB Service)

  • 박민식;김현순;이한규;홍진우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182-192
    • /
    • 2008
  • The personalized service becomes an important role in consuming the mobile broadcasting contents due to the lack of television watching time in the mobile environment. The paper discusses the technology development of ECG (electronic content guide) for personalized broadcasting service such as contents tracking, time shifting and contents scraping according to user preference.

  • PDF

개인형 IPTV 서비스를 위한 ATOM 스키마 확장 연구 (Extension to ATOM Schema for personalized IPTV Services)

  • 표신지;김문철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663-664
    • /
    • 2008
  • With advent of IPTV services and availability of various web contents, users can enjoy various contents via internet. In order to effectively provide a large amount of web contents to users, personalized IPTV services are required to the user's sides. In this paper, we extend the current ATOM schema for personalized IPTV services and propose a IPTV service framework based on IPTV personalization.

  • PDF

TV-Anytime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sonalized Data Broadcasting Service using TV-Anytime Metadata)

  • 김용호;이한규;최진수;홍진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2B권6호
    • /
    • pp.655-660
    • /
    • 2005
  • 디지털방송이 시작되고, 방송 매체가 다양해지면서 시청자가 볼 수 있는 방송 채널과 프로그램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 많은 방송 채널중에서 시청자가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찾기 위해서는 기존의 프로그램 가이드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TV-Anytime Forum(TVAF)에서는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청자가 원하는 발송 콘텐츠를 원하는 시간에 소비할 수 있는 맞춤형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규격화하였다. 방송 콘텐츠 중에서 특히 데이터방송 콘텐츠는 일반 AV 콘텐츠와는 다른 구조를 갖고 있으며, 따라서 데이터방송을 위한 새로운 메타데이터의 구조나 전승서버와 단말에서의 동작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TV-Anytime(TVA)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맞춤형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학습 상태에 기반한 맞춤형 난이도 측정을 위한 척도 설계 (A Design for the Personalized Difficulty Level Metric based on Learning State)

  • 정우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67-75
    • /
    • 2020
  • 난이도는 학습자가 컨텐츠를 선택하는 중요한 기준 중 하나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난이도 기준은 컨텐츠 제공자가 획일적으로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는 학습자의 다양한 수준과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을 지원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학습자와 컨텐츠의 지식을 정형화하고 일반화한 후, 이를 실험하기 위한 객체 모델과 맞춤형 난이도 척도를 설계하였다. 또한, 이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현한 도구를 이용하여 100개의 음악 교육 컨텐츠와 20명의 학습자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했다. 실험 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학습 상태와 컨텐츠에서 정의한 지식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맞춤형 난이도를 계산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제안한 접근법은 학습 상태와 컨텐츠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 기술에 기반 한 개인화된 교육 시스템 개발 (Develop of a Personalized Learning System based on Data Stream Technology)

  • 조성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49-56
    • /
    • 2005
  • 가상교육 시스템이 동적 콘텐츠 전달 기술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같은 수업에 속한 모든 학생들은 똑같은 콘텐츠를 접하게 된다. 본 논문은 데이터 스트림 기술을 이용하여 설계되고 구현된 개인화된 학습 시스템을 소개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학습자의 학습수준과 능력에 따라 강의 콘텐츠를 변경할 수 있는 기술과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동적 콘텐츠 전달기술과 학습자 수준 테스트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화된 학습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시 고려 사항에 대하여 설명한다.

  • PDF

수정된 SCORM 표준을 적용한 목표지향 개인화 이러닝 시스템 설계 연구 (The Study on Goal Driven Personalized e-Learning System Design Based on Modified SCORM Standard)

  • 이미정;박종선;김기석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31-246
    • /
    • 2008
  • This paper suggests an e-learning system model, a goal-driven personalized e-learning system, which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An e-learning system following this model makes the learner choose the learning goal. The learner's choice would lead learning. Therefore, the system enables a personalized adaptive learning, which will rais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Moreover, this paper proposes a SCORM standard, which modifies SCORM 2004 that has been insufficient to implement the "goal driven personalized e-learning system." We add a data model representing the goal that motivates learning, and propose a standard for statistics on learning objects usage. We propose each standard for contents model and sequencing information model which are parts of "goal driven personalized e-learning system." We also propose that manifest file should be added for the standard for contents model, and the file which represents the information of hierarchical structure and general learning paths should be added for the standard for sequencing information model. As a result, the system could sequence and search learning objects. We proposed an e-learning system and modified SCORM standards by considering the many factors of adaptive learning. We expect that the system enables us to optimally design personalized e-learn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