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forming Art Center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초

공연시설의 공간구성별 동선체계에 관한 기초적 연구 - 오페라 전문극장을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the Circulation System by the Spatial Composition of Performing art Facilities - Focusing on Dedicated Opera House -)

  • 한수호;고재민;임채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83-188
    • /
    • 2006
  • In general, performing facilities consist of various functional groupings. The functional groupings should be arranged, in relation to each other, depending on the circulation of users in a space. The performing culture in Korea has been rapidly progressed in recent years. However, compared to the superior examples of foreign performing facilities, it still needs improvements and systematic research. In this study, the functional groupings of general performing facilities as well as the circulation patterns of users will be analyz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 circulation system for each spatial composition will be suggested for the performing facilities to be constructed in the future.

  • PDF

소도시 문예회관 계획에 대한 연구 - 홍성군 광천복지문예회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ning of Cultural Art Center in Small City)

  • 한종구;장동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8
    • /
    • 2009
  • The study performed literature survey and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cultural facilities for planning a reasonal architectural plan of being prearranged Gwangcheon cultural art center erection at the old central district of Gwangcheon-Eup(town) in Hongseong-Gun(County), Chuncheongnam-Do(province). It was verified that the law and regulations related with cultural art facilities did not make clear statement of the concept of cultural art center and classified it as a public performing place of a kind of performance facilities. The types of cultual facilities could be classified as performance facilities, libraries, regional cultural welfare facilities, cultural promotion and instruction facilities and they were studied respectively. The main functions of cultural art center was studied with art enjoyment function and art creation function. Through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cultural faciliti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12 cultural welfare facilities in Hongseong-Gun(county) however there was no cultural facilities in Gwangcheon-Eup(town) except 1 libraries. So the building of Gwangchoen cultural art center is needed. The location Propriety analysis is conducted and proved appropriated. On the basis of the above studies, the direction of planning, conception of Plan and facilities program were conceived and finally the architectural plans were proposed.

  • PDF

공연예술 활성화를 위한 CRM의 전략적 활용방안 (Possible Ways to Make a Strategical Use of CRM for Facilitating Performing Arts)

  • 김충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25-23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연예술 활성화를 위한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의 전략적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국내의 대표적인 공연장인 LG아트센터와 공연기획사인 크레디아를 중심으로 CRM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LG아트센터는 독자적인 공연장운영시스템(Theater Management System : TMS) 운영을 통해 고객중심의 편리한 매표방식과 축적된 고객정보를 바탕으로 한 성공적인 공연프로그램 기획이 가능하였다. 크레디아는 공연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도입이전 보다 회원이 많이 증가하였으며 회원관리 전담인력을 구성하여 체계적으로 관리가 가능하게 되었고 웹로그 분석(web-log analysis)으로 고객의 니즈에 부합한 다양한 상품들을 개발하여 공연티켓판매 뿐만 아니라 교차판매를 통한 수익증대와 고객만족을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회원제도와 포인트제도가 천편일률적인 형태로 운영되고 있어 회원별 등업 제도 실시와 등급별 포인트 적립을 통해 신규관객을 개발하고 우수고객을 유지할 수 있는 CRM의 전략적 적용이 요구된다.

융·복합 공연예술 창작과정의 특징 연구 - 파다프(PADAF)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on Process of Convergence Performing Arts - Focusing on PADAF -)

  • 조정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63-174
    • /
    • 2020
  • 본 연구는 융·복합 공연예술의 창작과정의 특징이 무엇인지 도출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연구대상으로는 2011년 제1회를 시작으로 2020년 현재까지 매년 꾸준히 개최되고 있는 국내 대표적 융·복합 공연예술축제인 파다프(PADAF-Play And Dance Art Festiva)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국내 대표적 융·복합 공연예술축제인 파다프를 통해 21세기 공연예술의 핵심적 특징인 융·복합 공연예술의 창작과정의 특징을 연구하기 위하여 과정 중심의 발견을 통한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선택하였다. 또한 사실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를 위하여 제8회와 제9회 파다프의 초기 준비 단계부터 폐막식까지 전 과정을 참여관찰 하였으며, 여러 차례에 걸쳐서 파다프 관계자 및 참여 아티스트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파다프를 통한 융·복합 공연예술 창작과정의 특징을 살펴봤을 때 창작자들은 서로 다른 이질적인 장르가 만나 변증법적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작업에 대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생각지도 못한 난관에 부딪혔지만 타 장르에 대한 이해, 융·복합을 통한 경험적 가치, 공동작업자로서의 공유 그리고 다양한 방식의 소통을 통해 난관들을 극복했다. 파다프를 중심으로 살펴본 융·복합 공연예술 창작과정의 특징은 프랑스 철학자 질 들뢰즈(1925-1995)의 '리좀(Rhizom)적 사고'와 '집단지성의 원칙'그리고 창작자들의 '실험적 창조를 위한 융·복합의 경험적 가치'이다. 도출된 창작과정의 특징은 융·복합 공연예술을 조금 더 이해하고 융·복합이라는 확장된 표현을 통해 소통하고자 하는 인간의 기본 욕구와 예술적 본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변화되고 있는 공연예술과 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미학적 방향성과 발전에 이바지하기를 바란다.

국내 공연문화시설의 공간구성분석에 관한 연구 - 시설의 용적분석을 중심으로 - (An Analytical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Performing Arts Centers in Korea - Centering on the Analysis of Facility Capacity -)

  • 홍성호;고재민;임채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7-43
    • /
    • 2007
  • In recent years, the cultural industry is considered to a major industry in the 21 century, and performing culture is growing rapidly in Korea. Also, rapid development in terms of quality and quantity can be found in the diversification of usage, a trend focusing on the space for performance, and an emphasis on the accessibility between the stage and auditorium. In addition, activ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the performing arts facilities, a relationship between the stage and auditorium, and a space programfor each space considering users. However, most of the current studies are conducted byviewing the facilities in a two-dimensional space. Similar to other cultural facilities, such as museums and galleries, performing arts facilities have been planned in the thinking that the ratio of capacity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area. Considering a dimensional capacity in the spatial composition of performing arts facilities is important, but it has been ignored until now. Therefore, in order to analyze performing arts facilities in the three dimensional approach, this study is conducted centering on the actual capacity and provides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planning a construction of future performing arts facilities.

  • PDF

현대공연장에 나타난 고전유형의 적용경향에 관한 연구 - 무대와 객석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lassic Styles in Contemporary Performing Art Centers - Focusing on Stage and Auditorium Space -)

  • 김성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180-18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lication tendency of the western classical style which appears in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centers. The types of space in performing arts center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times. There were somewhat fixed stage and auditorium types for each period ; the ancient times had the arena stage and round auditorium, the Renaissance the proscenium stage and the U-shaped auditorium, the Elizabethan period the thrust stage and polygonal auditorium, and the modern times the proscenium and apron stage, the horseshoe and fan type auditorium. Today since the purposes of performance are multiple, a variety of stage types are applied to each performing arts center. They use various spaces and performances of multiple purposes by moving and transforming the stage and auditorium according to the kinds of performance as a variation of the arena and proscenium stage. Recently there appear complex performing arts centers that can plan performing spaces of diverse sizes and forms to fit the functions of a performance in a large building. Since they put on performances in a large spa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nd of performance, the intentions and goals of the performance are well delivered to the audience.

공연예술 선택 특성과 서비스 품질이 사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이벤트 체험을 중심으로- (Effects in Response to Nature of Selection on Performance Type and Quality of Service Affects to Post Behavior -Focusing on Jeon-ju, Sori Arts Center's Event Program-)

  • 김범석;전인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106-120
    • /
    • 2015
  • 경제성장과 국민들의 소득수준이 증가 및 여가시간의 증대와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로 공연예술은 더욱더 각광을 받고 있다. 공연 콘텐츠가 이루어지는 장소인 공연장은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설립되어 왔으며, 2015년 현재, 전국에 232개의 문예회관이 운영되어 지고 있다. 본 연구는 문예회관 이용객을 대상으로 공연예술에 대한 선택 특성을 파악하고 공연장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분석을 통해 사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공연예술 선택 특성은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소리문화의전당의 서비스 품질의 조절 효과는 시설의 우수성과 직원의 친절도, 부가서비스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편의성과 부대시설은 미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공연을 관람하는 관객들이 만족하기 위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공연예술 선택 특성과 서비스 품질요인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한국소리문화의전당의 경쟁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전략을 얻었다고 사료되며, 지역의 대표적인 공연장인 한국소리문화의전당에 대한 심층 분석과 연구는 수도권은 물론, 다른 지역의 공연장이나 문예회관의 운영에 좋은 사례와 연구 자료가 될 것이라 판단된다.

공연예술콘텐츠의 가치와 융합적 구조 -공연예술실황영상을 중심으로- (The Value of Performing Arts Content and Convergence Structure -Focused on Performing Arts Live Video-)

  • 허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41-255
    • /
    • 2016
  • 본 연구는 공연예술의 제작 유통 과정을 콘텐츠진흥법상 기술 산업과의 융합형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2000년대 이후 영역 간 콘텐츠 생산과 공유방식은 공연예술의 제작 유통구조를 전환시키고 있다. 최근 나타나고 있는 공연예술실황영상은 공연예술의 시공간적 경계를 뛰어넘어 예술 창작과 소통의 영역을 확장하여 기존 체계를 변화시키고 있다. 현재성과 공간적 제한성을 전제로 출발되었던 공연예술은 실황영상화를 통하여 시공간의 경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플랫폼을 창출하고 있다. 공연예술은 기술 산업 영역과 융합하여 보편적 접근성을 확대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으며, 문화적 형평성이라는 공공 공연장의 공공적 가치를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고급예술로 불리어지는 오페라, 클래식, 발레 등의 공연예술이 영상산업과 어떤 방식으로 결합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서 공연예술콘텐츠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산재근로자에 대한 임상요인과 개인 미술치료의 효과 (Clinical Factors and Effects of Individual Art Therapy on Industrial Injured Workers)

  • 양정혜;안정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93-302
    • /
    • 2021
  •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의 임상요인과 개인 미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2017년 1월부터 2019년 7월까지 산재근로자를 10명을 연구대상으로 11회기의 미술치료를 개별적으로 시행하였고 다차원심리검사 S형을 사용하여 개인 미술치료 사전. 사후 임상요인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5개의 임상요인의 평균이 2.80에서 4.20까지 분포하여 산재근로자의 심리적 고통이 상당함을 알 수 있었다. 이변량 상관관계분석 결과 모든 요인들 간의 통계적인 범위내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술치료 시행 전후의 다차원심리검사 결과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wilconxon의 부호순위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5개의 하위요인 중 우울, 분노와 불안의 Z값이 -2.405(p=.016), -2.148(p=.032), -2.102(p=.036)로 나타나 개인 미술치료 수행 후 연구참여자의 우울, 분노와 불안이 다소 완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산지역 무대예술전문인 현황과 공연작품 제작 시스템에 의한 공연문화 활성화 방안 (Performing Work Subject to the Busan Area Theatre Arts professionals Activation Plan)

  • 장준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75-187
    • /
    • 2013
  • 국민 문화 향수권 보장을 목적으로 국 공립문화회관이 전국에 건립되어지면서 지역을 대표하는 공연문화 서비스 제공의 장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 국민의 지적수준 향상에 따른 여가활동 등으로 공연예술분야가 관심의 대상이 되면서 시설건립 치중에 비해 작품에 대한 질적, 양적 수준이 문제가 되고 있어 전문인에 의한 공연장 시설지원과 운영, 공연문화 활성화 정책의 일환으로 무대예술전문인제도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무대예술전문인으로 양성된 이들은 수효와 공연작품 제작 참여 기회를 상실 하면서 제 기능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무대예술전문인을 주체로 하는 수준 높은 공연작품을 제공하여 국민의 문화 관람 충족에 따른 공연문화 활성화 방안으로 전국 시 구 군의 무대예술전문인을 주체로 하는 공연작품 제작 지원 시스템을 제안하며, 시스템의 정착을 전제로 부산지역의 6개 공연장을 운영사례로 살펴보고, 공연문화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