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s manufacturer approval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초

항공기 부품제작자증명 인증절차에 관한 고찰 (A Study on Certification Procedures for Aircraft Parts Manufacturer Approval)

  • 이강이;이백준;정하걸;유창경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073-1079
    • /
    • 2014
  • 항공기 부품은 새로 개발되는 항공기의 설계를 구성하는 일부일 뿐만 아니라, 형식증명을 받은 항공기의 감항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국은 1965년부터 부품제작자승인 제도를 수립 시행하여 운용 중인 항공기의 감항성 유지는 물론 전 세계의 항공기 부품 시장의 확대에 기여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부품제작자승인, 유럽의 유럽부품승인, 그리고 우리나라의 부품등제작자증명 제도를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써 국제적 안전성 기준에 부합하고 부품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

부품등제작자증명(PMA) 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ts Manufacturer Approval(PMA) for Parts Certification)

  • 정봉구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9-33
    • /
    • 2012
  • Until now, The Market of aviation parts had led by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parts because of aviation industry's nature required higher reliability and safety. But recently, The interest about PMA parts in aviation market is increasing continuously with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economic stagnation, oil price rise, development of the manufacture technique and newly rising market of Asia-Pacific region. So, this paper introduces the trend and the requirements of FAA PMA / EASA EPA in order to enhance understanding for certification for aviation parts.

부품승인(PMA/EPA) 제도와 항공부품시장 동향 (Status of Aviation Part Market and PMA/EPA)

  • 정봉구;진영권
    •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
    • 제7권2호
    • /
    • pp.106-114
    • /
    • 2009
  • 그 동안 항공부품시장은 높은 신뢰성과 안전성을 요구하는 항공산업의 특성로 인해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부품이 주도하여 왔다. 그러나 제조기술의 발전, 경기침체, 유가상승 및 아시아-태평양 신흥 시장의 부각 등의 환경적 변화로 인해, 최근, 항공시장에서의 PMA 부품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실제로 2006년 이후 FAA PMA 승인부품은 매년 40,000 개씩 증가하고 있으며, PMA 부품 보급률(아시아-태평양 시장)은 2007년 2.5%에서 2017년 8%까지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항공부품 승인제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새로운 PMA 시장을 살펴보기 위해 FAA PMA/EASA EPA의 절차상 요건과 PMA 부품시장 현황을 소개하였다.

  • PDF

항공기 부품제작자증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rts Manufacturer Approval in Civil Aviation Law)

  • 이강이;진영권;이종희;이광희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17권
    • /
    • pp.133-152
    • /
    • 2003
  • 항공기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항공기, 엔진, 프로펠러는 물론이고 항공기용 부품소재 및 장비품에 대해서도 법적인 인증이 요구된다. 미국을 비롯한 항공선진국에서는 항공기용 부품에 대해서는 부품제작자증명을 받도록 하고, 표준화된 장비품 등에 대해서는 기술표준품 형식승인을 받도록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이에 대한 법적인 인증제도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부품제작자증명 제도를 분석하고 국내항공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항공기용 부품의 인증에 필요한 법적인 요건을 개발하여 항공법 개정안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항공산업체의 인증시스템 구축을 지원하였다.

  • PDF

수송류 항공기용 금속계 제동패드의 역설계 절차 (Reverse Engineering Procedure of Metal Brake Pad for Part 25 Aircraft)

  • 김민지;김경일;김경택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621-628
    • /
    • 2023
  • 본 연구는 항공기용 부품 및 장비품 중 치명성 부품인 수송류 항공기용 금속계 제동패드의 부품등제작자증명 및 부가형식증명을 위한 원 부품 등과 개발품의 설계 동일성 입증을 위한 역설계 절차를 도출하였다. 역설계 절차에 대한 규정은 우리나라의 경우 부품등제작자증명 지침에 의해 규정되며, 미국의 경우 AC No; 21.303-4에 규정되어 있다. 제동패드의 역설계 절차는 각 구성품별 샘플 수량, 치수공차, 기계적 물성 측정, 자재, 무게 및 부피특성 등의 동일성 확인 항목을 선정하여 각각의 세부 절차를 정의하였다. 아울러 우리나라 및 미국의 연방항공규정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수송류 항공기용 제동장치의 기술표준품 표준서 및 비행시험과 관련된 규정의 제정이 필요하다.

항공기용 발전기의 설계 적합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liance Evaluation for Design of an Aircraft Generator)

  • 김유광;박근영;이강이;진영권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3-32
    • /
    • 2003
  • In this paper, the design data of an aircraft generator have been reviewed to evaluate the compliance with the airworthiness standards, and the technical procedure to ensure safety and reliability of an alternate-current generator by the tests and computations have been developed.

  • PDF

수송류 항공기용 금속계 제동패드의 다이나모시험 절차 (Dynamometer Test Procedure of Metal Brake Pad for Part 25 Aircraft)

  • 김민지;김경일;김경택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821-82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및 미국의 항공기 기술기준과 기술표준품 표준서를 분석하여 수송류 항공기용 금속계 제동패드의 비행시험 인증을 위한 합치성 증명 시 요구되는 다이나모시험절차를 도출하였다. 제동장치의 설계개조는 중대한 변경으로 분류되어 부가형식증명 및 부품등제작증명이 동시에 요구된다. 다이나모시험 항목은 미국의 제동장치 기술표준품 표준서인 TSO-C135a 규정에 따라 비행시험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비행시험 시 요구되는 주요 시험항목 중 설계착륙-정지 시험, 가속-정지 시험 및 최대 하중상태의 착륙-정지 시험을 선정하였다. 다이나모시험 조건은 항공기 제조사가 제공하는 주요 사양에 따라 정해지며, 제동패드의 조건, 감속도 및 시험횟수 등은 TSO-C135a 규정에 따라 정의하였다.

항공기 및 부품 생산승인을 위한 품질시스템 평가기준 개선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in Quality System Evaluation for Production Approval of Aircraft and Parts)

  • 이강이;한재훈;이정삼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18-126
    • /
    • 2023
  • 세계 각국의 항공우주산업체는 SAE AS9100 품질경영시스템을 구축하고, 제3자에 의한 인증을 획득하여 제품 생산에 적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항공기에 대한 제작증명, 부품등제작자증명, 기술표준품 형식승인을 받기 위해서는 AS9100과 유사한 감항당국의 품질시스템 평가기준에 따라 법적인 평가를 다시 받아야 한다. 이러한 일부의 중복성을 배제하고, 산업 발전과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생산승인 품질시스템 평가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항공우주품질그룹(IAQG)의 SAE AS9100 품질경영시스템, 미국 연방항공청(FAA)의 생산승인 품질시스템, 우리나라의 항공기 인증시스템 평가 프로그램(ACSEP) 요구조건을 비교 분석하고, 감항당국의 평가기준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항공기 설계변경의 범위 및 영향성에 따른 안전성 인증방법에 관한 고찰 (A Study on Certification Methods due to Scope and Influence of Design Changes for the Aircraft)

  • 이강이;고준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5권7호
    • /
    • pp.566-573
    • /
    • 2017
  • 항공기의 설계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형식증명을 받아야 한다. 형식증명을 받은 항공기의 설계가 중대하게 변경되는 경우, 형식증명을 새로 받거나 개정형식증명 또는 부가형식증명을 신청하여야 한다. 국제민간항공기구, 미국 및 유럽의 인증 규정에서 부가형식증명 대상이 되는 설계변경에 대하여 매우 추상적으로 정의하고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설계변경에 관한 세계 각국의 인증절차와 인증사례를 분석하여 부가형식증명 대상이 되는 "광범위하지 않은 중급 설계변경"을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기술집약형 항공엔진 정비산업과 부품인증제도에 관한 고찰 (Study on Technology Intensive MRO and PMA for Aircraft Engine)

  • 이강이;박주환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88-193
    • /
    • 2017
  • 미국과 유럽은 대형 항공기 산업을 선도하고 있으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물동량이 증가하면서 운송산업과 정비산업이 크게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일본과 중국은 중소형 항공기 분야에서 설계 제작국에 진입하였으며, 후발국가의 정비산업도 경쟁이 더욱 가속되고 있다. 향후 10년간 세계의 항공기 정비산업은 연평균 3.4%로 성장하고, 엔진 정비산업은 7%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논문을 통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술집약형 항공엔진 정비산업 육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