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ing Attitudes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4초

청소년의 이주민에 대한 편견: 부모의 영향 및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대처양식에 미치는 영향 (Adolescent Prejudice towards Immigrants: The Role of Parents and the Effect of Adolescent Prejudice on Self-Identity and Coping Styles)

  • 임지영;그레이스 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1-11
    • /
    • 2012
  • As the immigrant population is rapidly growing in South Korea, it is important for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adolescents to foster unprejudiced attitudes towards immigrants. This paper thus seeks to shed light on adolescent prejudice towards immigrants, by addressing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1) Does a mother's prejudice towards immigrants and parenting style influence their adolescent children's prejudice towards immigrants? (2) Does an adolescent's prejudice towards immigrants influence his/her self-identity? (3) Does an adolescent's prejudice towards immigrants influence his/her coping styles? The sample consisted of 288 pairs of Korean adolescents and their mothers. According to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a mother's prejudice towards immigrants significantly predicted her adolescent's prejudice towards immigrants, after taki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to account, whereas her parenting style did not. In addition, having a low level of prejudice towards immigrants among adolescents predicted high levels of self-identity (e.g. independence, proprioceptive, and mission orientation), and a greater use of positive coping skills (e.g. support-seeking and problem-solving). Overall, results showed that mother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haping their adolescent's prejudice towards immigrants. Results also provided evidence that prejudice towards immigrants may interfere with the healthy development of self-identity and coping style during adolescenc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for adolescents can be more effective, when it is provided in partnership with a parent education program that is designed to raise parental multicultural awareness.

청소년 가정환경요인이 폭력행동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Youth Home Environment on Violent Behavior and Suicidal Thoughts)

  • 김덕조;조성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00-30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가정환경 요인과 폭력행동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거제시 ${\bigcirc}$동의 청소년 남녀 430명을 대상으로 2014년 3월5일 부터 7월 2일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는 가족의 지지 정도에 따라 폭력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 모의 지지와 의사소통, 모의 민주적 양육태도는 자살생각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폭력행동은 자살생각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청소년의 폭력행동이 자살생각으로 이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 된다.

어머니가 지각한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 예측모형 탐색: 데이터마이닝 의사결정나무 분석 활용 (Mother's Perceived Infant Smartphone Over-immersion Prediction Model: Data Mining Decision Tree Analysis)

  • 정지숙;오정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97-105
    • /
    • 2020
  • 본 연구는 어머니가 지각한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대한 주요 예측요인을 밝혀내고 교육 및 실천현장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은 경상북도에 거주하는 만4세-7세 유아의 주양육자인 어머니로 총 410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데이터마이닝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위해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유아를 대상으로 보았을 때, 스마트폰 과의존을 가장 중요하게 예측하는 변인은 아버지의 여가활동 양육참여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아는 아버지의 여가활동참여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가장 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아버지의 여가활동 참여가 높더라도, 어머니의 과보호와 허용적 태도가 높은 경우 스마트폰 과의존은 다시 증가하였다. 여아의 경우, 스마트폰 과의존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 온정과 격려로 나타났다.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스마트폰의존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Smartphone Dependenc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 권혜민;김보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827-839
    • /
    • 2022
  • 스마트폰중독에 가장 취약한 집단으로 알려져 있는 초기청소년의 스마트폰의존에 대한 심각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 영향요인을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2018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1차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초등학교 4학년 2,607명과 중학교 1학년 2,590명이 최종적으로 분석에 활용되었다.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스마트폰의존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자아존중감, 공격성,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 부정적 양육태도로 나타났다. 한편 지역(규모), 경제수준, 건강상태, 학교생활만족도, 교사관계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의존도에는 유의하였으나 중학생에게는 유의하지 않았다. 중학생에게서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유의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초기청소년들의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수립 및 사회서비스제공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아버지의 양육태도척도' 개발에 관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ATERNAL PARENTING INVENTORY')

  • 이종일;윤창영;송수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9권1호
    • /
    • pp.34-46
    • /
    • 1998
  • 이 연구는 최근 자녀양육에 있어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아버지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자들은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총 57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예비형 설문검사도구를 구성하였다. 구성된 설문을 서울과 부산에서 무작위 표집한 만 12세 이상의 자녀를 둔 정상가정의 어머니 126명에게 작성토록 하여 척도화 가능한 요인을 추출하고 그 신뢰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능동적 참여’, ‘민주적 지도’, ‘적대’, ‘온정’, ‘교육열’의 5개 소척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들의 내적 일치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alpha}$계수는 각각 .82, .78, .65, .78, .61이었다. 또한 상기 5개 소척도, 총 29문항으로 구성된 최종적인 설문검사도구의 변별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국립서울정신병원에서 치료 중인 환자로 DSM-Ⅳ 기준에 의거하여 정신분열병과 제1형 양극성 장애로 진단받은 환자의 어머니를 각각 47명과 29명을 선정하였고, 대조군으로 만 18세 이상의 자녀를 둔 정상가정의 어머니 46명을 무작위 표집하였다. 변별타당도에서 ‘교육열’ 소척도를 제외한 소척도들은 정신분열병군 아버지와 대조군 아버지의 양육태도를 잘 구별하고 있었으며 특히‘적극적 참여’, ‘온정’ 소척도에서는 대조군과 나머지 두 군 모두를 잘 구별하고 있었다.

  • PDF

부모양육태도가 신입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융복합시대에 스마트 폰 의존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arenting Styles on Satisfaction to College Life : The Mediating Effect of Dependency on the Smart Phone in the Era of Fusion and Convergence)

  • 박순진;최서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21-12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양육태도와 스마트 폰 의존도변인들이 신입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대학생들이 학교생활에 만족할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며, 이를 기초로 실천적인 전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와 관련된 변인들 간의 관계와 스마트 폰 의존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경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양육태도는 스마트 폰 의존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고, 스마트 폰 의존도는 대학생활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양육태도는 스마트 폰 의존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스마트 폰 의존도는 대학생활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스마트 폰 의존도는 긍정적 부정적 양육태도와 대학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부모의 긍정적 부정적 양육태도, 스마트 폰 의존도, 대학생활만족도와 같은 변수들의 관계를 밝히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학교생활에 보다 더 만족할 수 있는 시사점을 논하였다.

육아휴직 후 직장에 복귀한 간호사의 적응과정 (Adaptation Process of Nurses Who Return to Work after Parental Leave)

  • 정효주;정향인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3-45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nerate a grounded substantive theory of the adaptation process of nurses who return to work after taking parental leave. Method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13 participants were conducted between June and September 2014.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1~3 times; interviews were continued until the data became satura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method. Results: The core category of experience of the process of adaptation as a nurse who returned to work after parental leave was 'trying to regain one's previous position'. Participants used five interactional strategies: 'preparing in advance', 'initiating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keeping a positive attitude', 'understanding parenting helpers', 'Taking burden off one's min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adaptation process of nurses returning to work after taking parental leave. The importance of improving nurses' attitudes to their co-workers who take parental leave is highlighted along with the necessity of providing a family-friendly work environment.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supportive policies and programs for nurses who return to their work after parental leave.

부모의 유머스타일과 아동의 정서성 및 또래유능성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s' Humor Style, Children's Emotionality, and Peer Competence)

  • 황혜신;오연경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2호
    • /
    • pp.199-211
    • /
    • 2014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types of humor styles of preschool children,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humor styles, their children's emotionality, and peer competence. For this purpose, the data on parents' humor styles and their children's emotionality and peer competence were collected from 203 children 3-5 years of age who were enrolled in 3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young children in the Seoul area, and from their parents. Basic statistical calculations including averages, standard deviations, and variances of the collected data were calculated for the analysis of the humor style of the fathers and mother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humor styles and children's emotionality and peer compet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turned out that both fathers and mothers use social humor most frequently, and fathers use more humor in general than mother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humor styles and children's emotionality and peer competence showed that children's emotionality has to do with their mothers' humor styles, whereas children's peer competence has more to do with their fathers' humor styles. Finally this study found that parents' humor style has an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and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청소년 자녀의 생활시간 사용에 부모의 양육태도가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 to Using Life Time of Adolescent Children)

  • 박정윤;전유진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0권4호
    • /
    • pp.35-47
    • /
    • 2016
  • This research aimed to observe adolescent children's use of time and to discover the parent-related factors that affect adolescent children's use of time. The subjects included 2,092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2,108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e used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e tested sociodemographic factors, parents characteristics, and time usage, and we studied these factors using SPSS version 23.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subordinate scope of the child-rearing attitude of parents, affection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M = 1.83) and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M = 2.02). Inconsistency had an effect on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M = 1.99), and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M = 2.12). Excessive expectations had an effect on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M = 2.40) and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M = 2.55). Over-involvement had an effect on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M = 2.68)and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M = 2.80). Finally, giving reasonable explanations had an effect on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M = 1.51)and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M = 1.68). Secondly, in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M = 463.35) and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M = 378.75). Further, studying hours during weekdays had an effect on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M = 456.15) and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M = 460.86). Free activity hours during had an effect on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M = 390.54) and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M = 387.11). Sleeping hours during holidays had an effect on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M = 544.85) and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 (M = 511.74). Studying hours during holidays had an effect on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 = 484.86) and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 (M = 511.74). Free activity hours during holidays had an effect on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M = 518.68) and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M = 509.73). Thirdly, by observ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related factors on adolescent children's use of time, grade(${\beta}$ = -.284), gender(${\beta}$ = -.208), over-involvement(${\beta}$ = -.380), supervising(${\beta}$ = -.217), and (${\beta}$ = .243) in terms of the child-rearing attitudes of parents was found to affect study hours($F=2.595^{**}$). The education level of fathers(${\beta}$ = -.144) results in(${\beta}$ = 1.991) and longer free activity hours for children($F= 4.116^{***}$). This research can be used to study the influence of parents'child-rearing attitudes on adolescent children's use of time and to suggest the role of parents in adolescents' ability to manage time effectively using practical.

취약계층 아동의 비만예방을 위한 비만관련요인 -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 (Obesity related Factors for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of Vulnerable Populations - For children who use Community Child Care(CCC) centers -)

  • 박선희;최은숙;이선희;성정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641-65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 아동의 비만 형성에 대한 요인으로 식이 자기효능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므로 향후 취약계층 아동비만을 관리하는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K도 A시에 소재한 11개의 지역아동센터 방문하는 아동 중 취약계층 아동으로 본 연구에 참여하고자 부모와 아동이 함께 서면 동의한 대상자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ver.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취약계층 아동의 비만요인으로는 식이자기효능감, 부모의 양육 태도, 가족형태·편부모가정, 부모비만여부·한 부모비만이었고, 취약계측 아동의 이들 변수의 비만요인에 대한 설명력은 32%였다. 따라서 취약계층 아동의 비만형성을 예방하기 위해 아동의 식이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겠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향후 취약계층 아동들이 가지는 환경적요인 즉 부모양육태도, 가족형태 등을 고려한 아동과 부모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간호중재전략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