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besity related Factors for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of Vulnerable Populations - For children who use Community Child Care(CCC) centers -

취약계층 아동의 비만예방을 위한 비만관련요인 -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20.09.24
  • Accepted : 2020.10.27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self-efficacy, physical self-efficacy, and parental rearing attitudes considering obese children from the vulnerable class that utilized Community Child Care (CCC) centers. Methods In this study, sampling was conducted and 126 children from the vulnerable class who visited 11 regional children's centers located in A city, K province were chose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and ANOVA using the SPSS Window 22.0.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determin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besity factors of vulnerable children included dietary efficacy, parents' parenting attitude, family type, single-parent family, parental obesity. Parental obesity held the greatest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as 32% of the vulnerable children had at least one obese parent.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strategy in which children and parents can participate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arental attitude and family type of vulnerable children visiting Community Child Care (CCC) centers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 아동의 비만 형성에 대한 요인으로 식이 자기효능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므로 향후 취약계층 아동비만을 관리하는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K도 A시에 소재한 11개의 지역아동센터 방문하는 아동 중 취약계층 아동으로 본 연구에 참여하고자 부모와 아동이 함께 서면 동의한 대상자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ver.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취약계층 아동의 비만요인으로는 식이자기효능감, 부모의 양육 태도, 가족형태·편부모가정, 부모비만여부·한 부모비만이었고, 취약계측 아동의 이들 변수의 비만요인에 대한 설명력은 32%였다. 따라서 취약계층 아동의 비만형성을 예방하기 위해 아동의 식이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겠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향후 취약계층 아동들이 가지는 환경적요인 즉 부모양육태도, 가족형태 등을 고려한 아동과 부모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간호중재전략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우리나라 비만예방관리 정책현황 및 향후과제, Weekly Issue 통권 42호, 2017.
  2. 김영지, 유설희, 이민희, 김진호, 김수진. 한국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VI: 총괄보고서, 연구보고 16-R1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806, 2016.
  3. 김희순. 저소득 가정 아동의 건강불평등과 건강복지, 19(4):247-251.2013. https://doi.org/10.4094/chnr.2013.19. 4.247.
  4. 교육부. 학생건강검사 표본통계 발표, 2018.
  5.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아동종합실태조사, 정책보고서(2019-17), 2019.
  6. Chung, A., Backholer, K., Wong, E., Palermo, C., Keating, C., & Peeters, A. Trends in child and adolescent obesity prevalence in economically advanced countries according to socioeconomic position: a systematic review. Obesity Reviews, 17(3), 276-295, 2016. https://doi.org/10.1111/obr.12360
  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저소득층 아동 비만 및 저체중 문제의 진단과 대응방안, 연구보고서(2011-07), 2011.
  8. Craig LC, McNeill G, Macdiarmid JI, Masson LF, Holmes BA. Dietary patterns of school-age children in Scotland: Association with socioeconomic indicators, physical activity and obesity. The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103(3):319-334, 2010. http://dx.doi.org/ 10.1017/s0007114509991942.
  9. Mejia de Grubb MC, Levine RS, Zoorob RJ Diet and Obesity Issues in the Underserved. Prim Care. 44(1):127-140, 2017. doi: 10.1016/j.pop.2016.09.014.
  10. 조경미, 김은주. 학령기 빈곤가정 아동의 비만도와 문제행동 양상.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9(2):140-148, 2013. https://doi.org/10.4094/chnr.2013.19.2.140
  11. 김혜련, 이수형, 최중명, 오영인. 저소득 아동 비만 및 저체중 문제의 진단과 대응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 2011.
  12. 대한비만학회. 비만치료지침, 대한비만학회 진료지침위원회, 서울, 2018.
  13. 김혜련. 취약계층 빈곤 아동의 비만.저체중 양상과 아동기 건강형평성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55-66, 2012.
  14. Anselma, M., Chinapaw, M., & Altenburg, T. Determinants of child health behaviors in a disadvantaged area from a community perspective: a participatory needs assess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5(4), 644, 2018. https://doi.org/10.3390/ijerph15040644
  15. 송미정. 전주지역 일부 저소득층 중학생의 영양섭취실태 연구. 전북대학교보건대학원, 2013.
  16. 권오영. 지역사회 취약계층 아동집단에서 과일과 채소의 섭취수준과 그 관련요인.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2018.
  17. 한국 청소년 정책연구원.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연구 III. 한국 청소년 정책 연구원, 2011.
  18. 박지혜, 김은성, 전용관, 제갈윤석. 남자 고등학생들의 2년간 여가시간 신체활동 참여시간과 비만도가 인슐린 저항성 및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9(1), 403-411, 2010.
  19. 정선영.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12.
  20. Dietz, W. H. Overweight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0, 855-857, 2004. https://doi.org/10.1056/NEJMp048008
  21. 류현숙, 조인숙. 학령기 아동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관련 요인.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35(1), 223-234, 2018. https://doi.org/10.12925/jkocs.2018.35.1.223
  22. 박세정. 한국 청소년의 비만기준 : 체지방률 제시. 스포츠과학. 126, 38-43, 2014.
  23. 엄설희, 이강순. 비만아동의 라인댄스 참여가 체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7(3), 199-208, 2012.
  24. Buskirt, E.R. a brief overview with emphasis on exercise. Fed Proc, 33, 1974.
  25. 정민정, 김기봉. 우리나라 양산지역 학동전기 아동에서 비만 진단을 위한 체지발률의 절단 값.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4(2), 99-111, 2010.
  26. Guy, S., Parcel, E.E., Cheryl, L.P., & Henry, A.F. "Measurement of Self-Efficacy for Diet-Related behavior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school health, 65(1); 23-27, 1995. https://doi.org/10.1111/j.1746-1561.1995.tb03335.x
  27. Mathew, M.C., David, B.A. & Raymond, S.N. "Self-efficacy in weight management", Journal of consulting & clinical psychology, 59(5); 739-734, 1991. https://doi.org/10.1037/0022-006X.59.5.739
  28. 최수전. 초등학교 아동의 식이 자기효능감과 신체활동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29. 석창혁.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측정을 위한 검사지 개발. 영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대구, 2013.
  30. 김은혜. 신체활동 중심 전래놀이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16.
  31. 정원식. 가정환경 진단검사 실시요강. 서울: 코리안테스킹 센타, 1984.
  32. 홍희주.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과의 관계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충남, 2005.
  33. 이인자, 박지영, 김희순, 김완수, 황가희. 저소득가정 비만아동의 신체활동 증진 장애요인: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1(2), 327-340, 2017. https://doi.org/10.5932/JKPHN.2017.31.2.327
  34. 김현아. 정상체중군과 비만군 아동의 가족요인과 식습관, 사회인지적 요인 비교. 아동간호학회지, 10(3), 300-310, 2004.
  35. 김수현, 추진아. 지역사회 취약계층 아동의 건강행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6(3), 292-302, 2015. https://doi.org/10.12799/jkachn.2015.26.3.292
  36. 김미숙, 배화옥. 한국 아동빈곤율 수준과 아동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보건사회연구, 27(1), 3-26, 2007. https://doi.org/10.15709/HSWR.2007.27.1.3
  37. 유양, 박인숙, 문인숙. 학령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한국과 중국 아동의 비교. 아동간호학회지, 16(4), 334-343, 2010.
  38. 여성가족부, 나홀로 아동 안전현황조사, 여성가족부 보도자료, 2011.
  39. 박애리, 김유나. 어머니의 근로시간이 청소년의 비만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지 13(3), 55-77,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