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10 concentration

검색결과 3,329건 처리시간 0.03초

The differences between copper sulfate and tribasic copper chloride on growth performance, redox status, deposition in tissues of pigs, and excretion in feces

  • Zheng, Ping;Pu, Bei;Yu, Bing;He, Jun;Yu, Jie;Mao, Xiangbing;Luo, Yuheng;Luo, Junqiu;Huang, Zhiqing;Luo, Chenggui;Wang, Shaohui;Chen, Daiwe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6호
    • /
    • pp.873-880
    • /
    • 2018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adding 130 mg/kg Cu from either copper sulfate (CS) or tribasic copper chloride (TBCC) on growth performance, mineral deposition in tissues, and the excretion in feces of pigs as well as changes in the mineral contents in tissues and feces when the supplemental Cu level was decreased from 130 mg/kg to 10 mg/kg. Methods: A total of 72 pigs ($32.6{\pm}1.2kg$) were randomly assigned to a CS diet or a TBCC diet with 6 pens per treatment. The trial lasted 102 d and included 3 phases (phase 1, 1 to 30 d; phase 2, 31 to 81 d; and phase 3, 82 to 102 d). The supplemental levels of Cu in the 2 treatments were 130 mg/kg in phase 1 and 2 and 10 mg/kg in phase 3.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igs fed the CS diet tended to have higher average daily gain than pigs fed the TBCC diet during d 1 to 81 (p<0.10). Compared with CS, TBCC increased the activities of aspartate transaminase (AST), ceruloplasmin, and superoxide dismutase in serum on d 30 (p<0.05). The TBCC decreased the Cu level in the liver on d 81 (p<0.05) and increased the Mn level in the liver on d 102 (p<0.05). The concentration of Cu in feces sharply decreased when the supplemental Cu level in diet changed from 130 mg/kg to 10 mg/kg in both diets (p<0.05). Conclusion: The result suggested that TBCC and C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growth performance but TBCC had higher activities of AST and antioxidant enzymes and lower liver Cu than CS when pigs fed diets with 130 mg Cu /kg diet.

Effects of Dietary Copper on Ruminal Fermentati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Fibre Characteristics in Cashmere Goats

  • Zhang, Wei;Wang, Runlian;Zhu, Xiaoping;Kleemann, David O;Yue, Chungwang;Jia, Zhiha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12호
    • /
    • pp.1843-1848
    • /
    • 2007
  • Thirty-six 1.5 year-old Inner Mongolian White Cashmere wether goats (body weight $28.14{\pm}1.33$ kg)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copper (Cu) concentration on ruminal fermentati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cashmere fibre characteristics. Wethers were fed a basal diet (containing 7.46 mg Cu/kg DM) that was supplemented with either 0 (control), 10, 20 or 30 mg Cu/kg DM. To ensure full consumption, animals were fed restrictedly with 0.75 kg feed (DM) in two equal allotments per day.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supplemental 10 mg Cu/kg DM in the basal diet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ruminal fluid pH value and total VFA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on all Cu treatment groups. (2) Cu supplementation had no influence on DM intake and digestibility of DM, CP and ADF (p>0.05); however, NDF digestibility of groups supplemented with 10 and 20 mg Cu/kg D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5). Apparent absorption and retention of copper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level of supplementation. (3) 20 mg Cu/kg DM treatment significantly (p<0.05) improved cashmere growth rate, but cashmere diameter was not affected by Cu supplementation (p>0.05).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cashmere goats with Cu at the rate of 10 to 20 mg/kg DM in the basal diet resulted in some changed rumen fermentation and was beneficial for NDF digestibility, while supplementation of 20 mg Cu/kg DM improved cashmere growth. Collectively, the optimal supplemental Cu level for cashmere goats during the fibre growing period was 20 mg/kg DM (a total dietary Cu level of 27.46 mg/kg DM).

개 정자의 동결융해 후 생존성 및 첨체의 변화 (Viability and Acrosomal Status Changes Following Post-thawing Canine Spermatozoa)

  • 이영락;이성림;강태영;최상용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1-59
    • /
    • 2003
  • 본 실험은 개의 인공수정에 사용할 정자의 보존에 있어서, 개 정액 동결시 동결속도와 응해온도에 따른 정자의 생존율, 운동성 그리고 intact acrosome의 비율을 조사하였던 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실험에서 실험견의 사출된 평균 신선정액의 농도는 3.44$\times$$10^{8}$ /ml로 정상범위에 들었으며, 정자의 형태학적 판정에서 정상적인 정자의 농도는 평균 59.45$\pm$3.45%로 상대적인 기형율은 약 30~40% 정도 나타났으며, 이는 정상적인 상태의 개 정액이라 할 수 있다. 2 개 정액의 동결속도는 동결하는 높이가 6, 10 및 17 cm 일 때 각각 최저온도는 -11$0^{\circ}C$, 7$0^{\circ}C$, -35$^{\circ}C$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때 최저온도로 감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각각 6분, 8분 20초 그리고 12분 50초로 결과적으로 분당 동결속도는 각각 19$^{\circ}C$/min, 8.9$^{\circ}C$/min 그리고 3$^{\circ}C$/min로 나타났다. 3. 정액을 동결속도와 융해온도에 따른 정자의 생존율, 운동성 그리고 intact acrosome의 비율은 동결속도가 3$^{\circ}C$/min일 때 가장 높았으며, 융해 온도는 37$^{\circ}C$일 때 효율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4. 동결의 방법에 있어서는 액체질소의 표면으로부터 17 cm 높이에서 동결하는 분당 -3$^{\circ}C$의 동결속도에서 동결하여 37$^{\circ}C$에서 2분간 융해하는 방법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생존성과 운동성은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첨체의 intact한 비율은 저조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갈황색 미치광이버섯 균사체 추출물 및 배양액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ymnopilus spectabilis Mycelium Extract and Supernatant of its Broth)

  • 손정아;석순자;이경진;이강효;박정식;박기문
    • 한국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85-95
    • /
    • 2007
  • 독버섯인 갈황색 미치광이버섯의 균사체 추출물(EGM) 및 배양여액 농축물(SGB)의 생리활성을 탐색하였다. 다당류 및 단백질, 페놀화합물, 총 ${\beta}-glucan$ 함량은 EGM의 경우 각각 80.14%, 5.04%, 3.50 mg/ml, 5.95%이었으며, SGB는 78.68%, 4.75%, 3.32 mg/ml, 3.28%로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EGM의 경우 100 mg/ml 처리 시 64.68%이었다. 환원력의 경우 EGM는 10 mg/ml 처리 시 0.54였으며, SGB는 100 mg/ml의 농도에서 0.87로 가장 높았고 10 mg/ml에서 0.57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linoleic acid의 자동산화 억제 실험에서 EGM의 경우 반응 30시간 이후에는 1 mg/ml 농도에서 합성항산화제인 butyl hydroxy toluene (BHT)나 vitamin E보다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암세포 성장억제는 EGM의 경우 10 mg/ml의 농도에서 모든 세포에서 약 59%이상의 억제율을 보였으며, SGB의 경우 자궁암 세포인 HeLa에서 45%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반면, 정상 간세포주인 NCTC에서도 76.76%의 억제를 나타내었다. 혈전용해 활성에서는 EGM의 경우 Streptokinase의 1,180 unit/g과 동일한 활성을 보였고, SGB는 1,011 unit/g을 나타내었다. ACE 저해활성에서 EGM의 경우 통상법에서는 $8.186{\pm}0.053%$이고, 전처리법에서는 $10.184{\pm}0.223$로 나타났으나, SGB의 경우 ACE 저해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보체 활성의 경우 100 mg/ml농도에서 EGM의 경우 51.48%, SGB의 경우 62.65%의 활성도를 보였으며, 10 mg/ml 농도에서는 각각 7.01% 및 17.74%를 나타내었다. 체내 uric acid 생성인자인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1 mg/ml 농도에서 EGM의 경우 9.53%, SGB의 경우 16.92%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딸기 수확 후 저장기간 연장 및 품질 개선을 위한 LPE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적정 처리농도 구명 (Determination of Optimal Concentration of LPE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for Postharvest Stability and Quality of Strawberry Fruit)

  • 최기영;김일섭;윤영식;최은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53-161
    • /
    • 2016
  • 본 연구는 딸기 '매향' 품종의 과실을 수확 한 후 LPE 용액에 침지처리 한 뒤 저장기간 동안 당도, 색도, 경도 및 생체중 변화를 조사하여 적정 LPE 처리 농도 및 적정 숙도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숙도 70%인 과실을 LPE 0(증류수, 대조구), 10, 50, $100mg{\cdot}L^{-1}$ 농도에 1분간 침지하거나, 딸기 꼭지에서부터 익은 비율로 숙도 0%, 50%, 70%, 100%로 등급화한 후에 LPE 0(증류수, 대조구), 2.5, 5, 10, $25mg{\cdot}L^{-1}$ 농도에 1분간 침지한 후 실온($20^{\circ}C{\pm}1$)에서 40분간 자연건조 한 뒤 $4^{\circ}C$ 저장고에 12일간 저장하였다. 저장 기간 동안 생체중, 종경도, 횡경도, 색도 및 당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숙도 70% 과실을 수확 후 LPE 0, 10, 50, $100mg{\cdot}L^{-1}$ 농도에 침지 후 저장하며 과실의 생체중을 측정하였을 때 처리 농도별 유의차가 없었다. 종경도는 저장 3일째에는 무처리구와 LPE $10mg{\cdot}L^{-1}$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저장 6일째부터 12일까지는 $10mg{\cdot}L^{-1}$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횡경도는 저장 9일째 10과 $50mg{\cdot}L^{-1}$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나 12일째에는 $10mg{\cdot}L^{-1}$ 처리구는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었고 50과 $100mg{\cdot}L^{-1}$에서 가장 낮았다. 색차계 $L^*$$b^*$ 값은 LPE 처리 농도별 저장 기간 별유의차가 없었고, $a^*$ 값은 저장 12일째에 LPE $10mg{\cdot}L^{-1}$ 처리를 포함한 모든 농도에서 무처리구에 비하여 높았다. 숙도 0%, 50%, 70%, 100%로 등급화한 후에 LPE 0(증류수, 대조구), 2.5, 5, 10, $25mg{\cdot}L^{-1}$ 농도에 침지한 후 저장하였을 때 과실 생체중은 LPE 처리농도별 유의차가 없었다. 종경도와 횡경도는 LPE 처리농도와 상관없이 숙도 0% >50%> 70%> 100% 순으로 높았다. LPE 농도 처리에 의한 영향은 종경도는 숙도 70% 과실의 경우 저장 3, 6, 12일째 모두 LPE $5mg{\cdot}L^{-1}$에서 가장 높았고 12일째는 LPE 처리구 모두 무처리구에 비해 높았다. 숙도 100% 과실의 경우 저장 12일째에 LPE $10mg{\cdot}L^{-1}$에서 종경도가 무처리구에 비해 높았지만 $25mg{\cdot}L^{-1}$에서는 종경도 및 횡경도 모두 가장 낮았다. 색차계 L, b 값은 LPE 처리와 관계없이 숙도 0% > 50% > 70% > 100% 순으로 높아 숙도에 따라 유의차가 있었다. 숙도100%에서 가장 낮은 $L^*$$b^*$값이 측정되었다. 숙도 50%와 70% 과실의 경우 저장기간 중 다른 처리구에 비해 $5mg{\cdot}L^{-1}$에서 $L^*$, $b^*$ 값이 가장 높았다. 숙도 100%의 경우 $25mg{\cdot}L^{-1}$에서는 가장 낮은 값을 보여 과숙이 유발된 것으로 판단된다. 색차계 $a^*$ 값은 $L^*$$b^*$와는 반대로 그 값의 증가는 숙도가 높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숙도 0, 50, 70, 100% 모두에서 LPE 처리 효과를 구분할 수 없었고, 당도는 처리별, 기간별 유의차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LPE는 저장 중인 딸기 과실의 생체중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경도 및 색도 변화에는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숙도 70% 과실은 타 숙도에 비해 저장성 증대효과가 크며, 숙도 70%일때 처리농도 LPE $5mg{\cdot}L^{-1}$에서 저장성 증대에 효과적 이였다.

자생식물 혼합 추출물이 SD 흰쥐에서의 행동양상 및 항산화 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tural Plant Mixtures on Behavioral Profiles and Antioxidants Status in SD Rats)

  • 서보영;김민정;김현수;박해룡;이승철;박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208-1214
    • /
    • 2011
  • 주간졸음증은 업무수행 능력을 감소시키고 사고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특히 교통사고의 주요 원인이 된다. 카페인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커피, 녹차, 콜라 등의 음료에 함유되어 있는 물질로써 정신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자살충동 및 우울증의 감소 등 특정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으며 졸음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로 이용된다. 그러나 산소 소모의 증가, 체내 에너지 손실 및 대사율 증가뿐 아니라 비장의 DNA 합성 감소, 체내 지질 산화 등의 많은 부작용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화, 민들레, 두릅, 냉이, 석창포, 과라나 등의 자생식물들을 이용하여 행동학적 분석을 통한 각성 효과뿐만 아니라 인체의 생리활성에 안전한 물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Open field test의 결과, 단회 투여 시 대조군에 비해 카페인 투여군에서 활동적인 행동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NP군에서 카페인 투여군과 같은 수준의 활동 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3주간 NP의 투여는 카페인의 투여에 비해 증가한 활동성의 결과를 보였다.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LDL-콜레스테롤 농도의 경우 각 군 간의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HDL-콜레스테롤 농도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카페인군과 NP군에서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카페인 투여군에 비해 NP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혈중 지질과산화 농도는 대조군(5.6 mM)에 비해 카페인군(11.7 mM)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낸데 반해 NP군(6.4 mM)은 대조군과 같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간세포의 DNA 손상정도에서는 대조군($18.4{\pm}2.1$)에 비해 카페인 투여군($23.8{\pm}3.1$) 에서 유의적으로 손상이 증가한데 반해 NP군($15.9{\pm}1.7$)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NP의 장기 투여는 DNA 손상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국화, 민들레, 두릅, 냉이, 석창포, 과라나 등의 자생식물 혼합추출물이 카페인과 비슷한 각성효과를 보이면서도 장기복용 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나 각성효능이 있는 기능성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사료된다.

부자 강심성분의 작용기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ositive Inotropic Mechanism of Aconiti Tuber)

  • 김명석;김용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15
    • /
    • 1981
  • 부자성분중 강심효과를 나타내는 부자부타놀분획의 작용기전을 심근수축기전이 있어서 중심적인 역활을 하는 칼슘이온과의 상호관계에서 검토하였으며 아울러 동물생체내 혈동력학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였다. 부자부타놀분획 적출 고양이 유두근표본의 수축력증가작용에 있어서 심근외칼슘과 상승적이었으며 부자부타놀분획 $10^{-4}g/ml$는 칼슘 0.06mM과 동등한 심근수측증강 효과를 나타내었다. 심근세포막의 칼슘통로 억제약물인 verapamil 존재하에서 저하된 유두근 수축력은 부자부타놀분획에 의하여 용량의존적으로 회복되었으며, 이로부터 부자부타놀분획의 강심작용기전의 일부는 심근세포막의 완만내향성 칼슘통로를 통한 칼슘유입을 측진하는 것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측하였다. 정상가토의 혈동력학에 있어서 부자부타놀분획은 디지탈리스배당체와는 달리 용량의존적으로 전신동맥압을 저하시키고, 경동맥혈류량을 증가시켰으며, 심박동수에는 크게 의미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 PDF

Effects of β-Glucan from Paenibacillus polymyxa and L-theanine on Growth Performance and Immunomodulation in Weanling Piglets

  • Hwang, Y.H.;Park, B.K.;Lim, J.H.;Kim, M.S.;Song, I.B.;Park, S.C.;Jung, H.K.;Hong, J.H.;Yun, H.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12호
    • /
    • pp.1753-1759
    • /
    • 2008
  • Forty weanling piglets ($5.6{\pm}0.5kg$ and 26 to 30 d of age) were used in a 28-d experimen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eta}$-glucan from Paenibacillus polymyxa and L-theanine on growth performance. Piglets were randomly allotted to four groups (n = 10, 2 animals per pen) provided with the basal feed (control), ${\beta}$-glucan 400 mg/kg feed, L-theanine 80 mg/kg feed or ${\beta}$-glucan plus l-theanine (combination of the above-mentioned concentrations). Body weight and feed consumption were recorded during four weeks. Subsequently,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beta}$-glucan and L-theanine were investigated for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cytokine production in vitro and in vivo on day 28.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owth performances among the treatment groups, ${\beta}$-glucan plus L-theanine had 5.6% greater ADG (p = 0.074) on day 21 to 28. ${\beta}$-Glucan alone or plus L-theanine increased interleukin (IL)-10 levels and decreased interferon (IFN)-$\gamma$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levels in cultured medium by LPS treatment (p<0.05). Plasma IL-10 levels were also increased in the piglets fed with ${\beta}$-glucan alone or plus L-theanine after LPS challenge ($25{\mu}g/kg$, i.p.), whereas plasma IFN-$\gamma$ and TNF-${\alpha}$ levels were decreased (p<0.05). The levels of IFN$\gamma$ in piglets fed with ${\beta}$-glucan plus L-theanine showed the greatest inhibition after LPS challenges. In conclusion, treatment of ${\beta}$-glucan alone or plus L-theanine might lessen inflammatory responses against Gram-negative bacterial infection via the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and enhancement of anti-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an optimal concentration of ${\beta}$-glucan and L-theanine for improved growth performance.

발병 조건에 따른 살균제들의 배추 뿌리혹병 방제효과 (Control Efficacy of Fungicides on Chinese Cabbage Clubroot under Several Conditions)

  • 엄민용;조수정;장경수;최용호;김진철;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17권2호
    • /
    • pp.155-160
    • /
    • 2011
  • 배추 뿌리혹병에 대한 효율적인 살균 활성 검정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배추 품종, 기주 식물의 생육 시기, 접종원 농도, 토양 종류 등의 발병 조건에 따른 살균제 fluazinam, ethaboxam 및 cyazofamid의 배추 뿌리혹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온실에서 실험하였다. 배추의 생육 시기에 따른 살균제들의 방제효과는 파종 7일 및 14일 유묘에서는 21일 유묘보다 더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토양종류에 따른 살균제의 방제효과는 원예용 상토보다 혼합토양에서 더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무처리구의 뿌리혹병 발생은 배추가 커질수록 증가하였으며, 혼합토양보다 원예용 상토에서 병 발생이 더 많았다. 그러나 배추품종에 따른 살균제들의 방제효과 차이는 거의 없었다. 한편 P. brassicae 포자 농도가 100배 증가하여도 무처리구의 뿌리혹병 발생은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살균제들의 배추 뿌리혹병 방제효과는 크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살균제 fluazinam, ethaboxam 및 cyazofamid는 토양 종류, 배추 생육시기 및 접종원 농도 등의 발병 조건에 따라 배추 뿌리혹병에 대하여 다양한 방제효과를 보였으며, 이들 중 포자 농도가 살균제의 방제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었다.

Porcine Somatotropin Improves the Efficiency of Digestible Protein Use for Protein Deposition by Growing Pigs

  • Lee, K.U.;Boyd, R.D.;Austic, R.E.;Ross, D.A.;Beermann, D.H.;Han, In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7호
    • /
    • pp.1096-1103
    • /
    • 1999
  • A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impact of recombinant porcine somatotropin (pST) on the efficiency of absorbed nitrogen use for protein deposition in growing pigs. Three levels of dietary crude protein (9.0, 11.5, 14.0% CP) were used. Each had either a sub-optimum or near optimum lysine: CP concentration (Low-lysine, 3.8 g/100 g CP and High-lysine, 5.5 g/100g CP) in order to achieve different metabolic efficiencies for nitrogen deposition (ca. 45 vs. 60%). Twelve crossbred female pigs $(59{\pm}4kg\;BW)$ were placed in metabolism cages and fitted with bladder catheters. Each pig received an excipient injection daily for the first 10-d, a pST (5 mg/d) injection for the second 10-d, and then excipient for the last 10-d. Pig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six dietary treatments (2 pigs/diet) and fed 4 times per d at $92g/kg\;BW^{0.75}$ $(3{\times}maintenance)$. Means for the excipient period were compared to means for the pST period. Urinary nitrogen (N) output declined in pST-treated pigs (p<0.01) irrespective of dietary protein content or lysine level. Nitrogen retention increased by an average of 11% (p<0.01) with pST treatment (726 vs. $803mg\;N/kg^{0.75}\;BW/d$). Forty-eight percent of the absorbed N was retained with Low-lysine diets, but this increased to 53% with pST injection (+11%, p<0.01). Pigs fed High-lysine diets retained 62% of absorbed N which increased to 69% with pST (+11% p<0.01). the addition of lysine improved N use by 27% (High vs. Low, p<0.01), but the effect of lysine and pST was additive (+40%). Therefore, pST improves N retention and the efficiency of apparently absorbed N use in growing pigs (>60kg). It does so with diets having the potential for either low or high efficiencies of N use (48% and 62%). More work is needed to determine if the partial efficiency of N use improves in direct proportion to pST dose since the improvement in protein deposition is a function of pST d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