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T tag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9초

국립공원 내 파충류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PIT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 tag과 무선추적방법(radio telemetry)의 적용 (Application of PIT Tag and Radio Telemetry Research Method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Reptiles in Korea National Parks)

  • 이정현;이헌주;라남용;김자경;엄준호;박대식
    • 환경생물
    • /
    • 제27권2호
    • /
    • pp.146-154
    • /
    • 2009
  • 본 연구는 PIT tag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과 무선추적법(radio telemetry)을 오대산국립공원과 월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고 있는 파충류에 적용한 후, 이를 평가하여 효과적으로 국립공원 내 파충류 자원관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PIT tag은 현재까지 알려진 파충류 개체표시법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2006년 3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오대산국립공원과 월악산국립공원의 조사지역에 출현한 모든 137마리의 뱀류를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무선추적 연구는 월악산국립공원에서 서식하고 있는 황구렁이(Elaphe schrenckii anomala) 2마리를 대상으로 2007년 9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두 곳의 국립공원 지역에서 연구기간 동안 17마리가 재 포획되어 평균 12.40%의 재포획률을 보였으며, 재 포획된 개체들의 자료를 통하여 누룩뱀 (Elaphe dione)과 쇠살모사 (Gloydius ussuriensis) 성체의 SVL 증가를 성공적으로 확인하였다. 무선추적을 통하여 확인된 황구렁이 수컷의 행동권 면적은 MCP=389,600 $m^2$, Kernel 95%=471,800 $m^2$, 암컷은 MCP=162,500 $m^2$, Kernel 95%=208,700 $m^2$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립공원 내에서 보호와 관리가 필요한 종 혹은 멸종위기대상 종인 파충류를 대상으로 PIT tag과 무선추적을 적용한다면 공원 내 파충류의 효율적인 관리 및 보존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소형 잉어과 어류의 PIT tag 적용을 위한 생존율 평가 (Survival Rate on the Small Cyprinidae by PIT Tagging Application)

  • 장민호;윤주덕;도윤호;주기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71-377
    • /
    • 2007
  •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 (PIT) telemetry는 어류의 개체군 동태와 군집 구조, 이동을 연구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는 방법으로 가볍고 크기가 작기 때문에 한국에 서식하는 소형 어류(TL<100 mm)의 연구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PIT tag을 소형 잉어과 어류에 삽입한 후 생존율을 파악하여 tag의 적용성과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생존율 실험에 사용된 어류는 모두 잉어과 어류 4종으로 Carassius gibelio langsdorfi (n=34, 체장: $91.9{\pm}0.9mm$, 체중: $21.2{\pm}0.9g$),Hypophthalmichthys molitrix (n=16, 체장: $75.1{\pm}0.9mm$, 체중: $6.0{\pm}0.2g$), Pseudorasbora parva (n=30, 체장: $51.4{\pm}1.1mm$, 체중: $2.7{\pm}0.2g$)와 Phoxinus phoxinus (n=37, 체장: $70.6{\pm}1.4mm$, 체중: $8.2{\pm}0.5g$)이며, 1년생 이하의 작은 개체들만 이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tag은 소형 (길이 11.0 mm, 반경 2.1 mm, 무게 0.088 g), 중형 (길이 20 mm, 반경 3.5 mm, 무게 0.102 g), 대형(길이 30 mm, 반경 3.5 mm, 무게 0.298 g)의 3종류를 사용하였다. 어류 복강에 tag을 삽입한지 30일 이후 실험에 사용된 총 117개체의 생존율은 58.1%였다 (대형, 50.0%; 중형, 57.5%; 소형, 61.4%). Tag의 크기에 따라 생존율은 다양하였는데 이는 실험에 사용된 개체마다 복강의 크기다 달랐기 때문이다. 또한 외과적 수술과정에서 내부 장기의 손상으로 생존율이 감소하였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실험결과 국내에 서식하고 있는 소형 담수어류에도 PIT tag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이후 현장에서 적용한다면 어류 생태 연구에 있어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접착제 미 사용시 치면열구전색제로서의 유동성 복합레진 평가 (EVALUATION OF THREE FLOWABLE COMPOSITES AS PIT AND FISSURE SEALANTS WITHOUT USING BONDING AGENTS)

  • 권호범;김명진;신철환;김지연;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44-25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동성 복합레진을 치면열구전색제로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다. 세 종류의 유동성 복합레진(Filtek Flow, Tetric Flow, Charmfil Flow)과 한 종류의 filled sealant(Ultraseal XT plus)가 사용되었다 주사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세 종류의 유동성 복합레진 및 filled sealant의 resin tag형성 양상을 비교하였다. 미세누출 평가를 위해 발거된 사람의 소구치 54개를 각각 18개씩 무작위로 세 군으로 배분하였다. 각 군마다 통상의 filled sealant와 한 가지씩의 유동성 복합레진을 교합면 열구에 도포하였다. 치아들을 thermocycling($5^{\circ}{\pm}2^{\circ}C$$55^{\circ}{\pm}2^{\circ}C$ 사이에서 30초씩 1200회 시행) 후 48시간 동안 1% methylene blue 용액에 보관하였다. 각각의 치아를 절단하여 미세누출 정도를 관찰하였다. 세 종류의 유동성 복합레진 및 filled sealant는 유사한 resin tag 형성양상을 보였다 세 종류의 유동성 복합레진은 각각 filled sealant보다 현저히 더 많은 미세누출을 보였다. 세 종류의 유동성 복합레진 간의 미세누출 정도는 유사하였다. 유동성 복합레진은 통상의 filled sealant와 비교해볼 때 보다 많은 미세누출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치면열구전색제로 적절하지 않다.

  • PDF

국내에 서식하는 잉어과 어류의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 (PIT) tag 적용에 따른 생존율 평가 (Survival Rate of the Korean Cyprinidae Subject to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 (PIT) Tagging)

  • 윤주덕;장민호
    • 생태와환경
    • /
    • 제42권1호
    • /
    • pp.134-138
    • /
    • 2009
  • 국내에 서식하는 5종의 담수 잉어과 어류(참갈겨니, 피라미, 누치, 납자루, 끄리) 173개체를 대상으로 PIT 태그를 체내 삽입 후, 30일 간 매일 생존율을 파악하여 태그의 적용성과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생존율 테스트 결과, 참갈겨니가 가장 높은 생존율을, 피라미가 가장 낮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전반적으로 개체의 전장이 길수록 생존 기간도 긴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사망률은 외과적 수술과정에서 내부 장기의 손상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본 실험결과 피라미를 제외한 국내에 서식하고 있는 소형 담수어류에도 PIT 태그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종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PIT 태그의 야외현장 적용을 위해서는 전장 150mm의 개체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PIT telemetry를 이용한 얼록동사리의 서식지 선택 연구 (Study on Habitat Selection of Odontobutis interrupta using PIT Telemetry)

  • 김준완;김규진;최범명;윤주덕;장민호
    • 생태와환경
    • /
    • 제55권4호
    • /
    • pp.294-304
    • /
    • 2022
  • 본 연구는 고유종인 얼록동사리(Odontobutis interrupta) 의 이동 패턴과 서식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PIT telemetry를 이용하여 금강 수계의 지류 하천인 용수천의 상류 지점(충남 공주시 반포면 공암리 공암교, St. 1)과 용수천 중류 지점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두만리 백룡교. St. 2)에서 2021년 3월부터 10월까지 수행되었다. 어류 채집은 족대(망목: 5×5 mm)와 통발(5×5 mm)을 이용하였고, PIT tag 삽입은 현장에서 즉시 수행하였다. 총 21회 모니터링에서 70개체가 115회 감지되었으며, 분석결과 얼록 동사리의 평균 총이동거리는 36.5 (±6.6) m로 확인되었으며, 전장에 따른 얼록동사리의 이동거리는 크기가 큰 개체일수록 더 멀리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얼록동사리가 감지된 지점의 평균 수심은 36.2 (±1.9) cm, 평균유속은 0.03 (±0.07) m s-1 , 평균 수변부로부터의 거리는 4.4 (±0.3) m로 나타났다. 또한, 감지된 돌 면적에 대해 방류 후 최초선택하는 돌의 면적과 이후에 선택하는 돌의 면적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방류 후 24시간 이전 감지를 제외한 나머지 감지에 대한 전장과 돌의 면적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따라서, 서식지 복원을 위해서는 개체크기별 다양한 서식조건(수심, 유속, 돌 등)을 제공하여 개체별 다양한 하상 구조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장흥댐에 설치되어 있는 어도와 담수어류의 이용 분석 (Freshwater Fish Utilization of Fishway Installed in the Jangheung Dam)

  • 윤주덕;김정희;주기재;서진원;;장민호
    • 생태와환경
    • /
    • 제44권3호
    • /
    • pp.264-271
    • /
    • 2011
  • 댐이나 보와 같은 하천내 구조물의 건설시 어도의 설치는 어류의 이동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탐진강에 건설되어 있는 장흥 다목적댐에는 어류의 상류로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 엘리베이터식 어도에 포함되는 트럭식 댐체어도가 방류구 옆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어도는 효율적으로 어류를 포집하기 위한 트랩이 함께 설치된다. 본 연구에서는 장흥댐에 설치되어 있는 어도 트랩의 어류 이용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PIT telemetry 방식을 적용, 총 15종 254개체의 어류에 tag을 삽입하여 모니터링을 하였다. 붕어, 떡붕어, 돌고기, 갈겨니, 피라미, 눈동자개 6종 36개체가 감지되어 14.2%의 감지율을 나타냈다. 붕어가 43개체 중 19개체가 감지되어 44.2%로 가장 높은 감지 비율을 보였고 돌고기는 14.3%의 비율을 나타냈으며, 갈겨니와 피라미는 각각 5%와 7.7%의 감지 비율을 나타냈다. 일부 개체들은 한번에 어도내로 이동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꾸준히 신호가 감지되었다. 이동한 개체들과 이동하지 않은 개체들 사이에 크기 (전장, 체장, 체중)는 차이가 없었으며(Mann-Whitney U test, p>0.05), 주로 댐에서 방류가 이루어지는 시간에 트랩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Mann-Whitney U test, p<0.001). 시간대별 분석에서는 주로 야간시간대보다 주간시간대에서 더 높은 감지빈도를 보였다(Mann-Whitney U test, p<0.001).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어류가 트랩으로 이동하는 데는 방류시간과 같은 외적인 요소와 각 종별 생태적 특성(산란기, 주행성, 야행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어류의 어도 이용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류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방류량과 더불어 방류시간, 방류시간대를 적절하게 변화시키는 전략적 방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새기형(鰓畸形, Branchial Anomalies) - 대한 소아외과학회 회원을 주 대상으로 한 전국 조사 - (Branchial Anomalies in Korea - A Survey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박우현;권수인;김상윤;김성철;김신곤;김우기;김인구;김재억;김현학;박귀원;박영식;박주섭;송영택;안우섭;오남근;오수명;유수영;이남혁;이두선;이명덕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2권2호
    • /
    • pp.119-128
    • /
    • 1996
  • The survey on branchial anomalies was conducted by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A total of 173 cases were reported, which were managed by 36 members and cooperators during the three years from January 1, 1993 through December 31, 1995.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173 cases of branchial anomalies. The presenting symptoms were cervical mass in 101 cases, pit with or without discharge in 71, cervical abscess in 47 and respiratory difficulty in 3.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ith cervical abscess was 52 months. Seventy(79%) of 89 patients with branchial anomalies and a cystic mass had their first clinical manifestations by 1 year of age, while 40(51%) of 78 patients with only a branchial cyst had their first clinical manifestation in first year of life. Radiologic studies were carried out in 77 patients (43%). The preferred diagnostic modalities were ultrasonography(47 patients), simple neck radiogram(19) and CT scan(17). Preoperative diagnosis was correctly made in 156(91%) of 173 patients. Seventeen patients were incorrectly diagnosed as thyroglossal duct cyst in 5 patients, cystic hygroma in 4, dermoid cyst in 3, and lymphadenopathy in 3. There were no remarkable difference in sex and laterality of presentation but bilateral lesions were found in 9(5%) patients and unusual locations of the anomalies were the manubrium, left subclavicular area, median cervial area, preauricular and parotid area. There were 78(45%) patients with cyst, 52(30%) patients with sinus, 35(20%) patients with fistula and 8(5%) patient with skin tag. Embryological classification was possible in only 64(37%) patients. The 2nd branchial anomaly was present in 50(78%), the 1st branchial anomaly in 10(18%), and the 3rd or 4th branchial anomaly in 4(6%). Histopathological study of the lining epithelium(N=134) is recorded that 45% were lined with squamous epithelium, 17% with respiratory epithelium, 6% with. squamous and respiratory epithelium, 14% with inflammatory change. Lymphoid tissue was common(62%) in the wall of the lesions. Twelve(7%) of 158 patients ha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ing wound complication, recurrence and facial nerve pals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