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ival Rate on the Small Cyprinidae by PIT Tagging Application

소형 잉어과 어류의 PIT tag 적용을 위한 생존율 평가

  • Jang, Min-Ho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Yoon, Ju-Duk (Department of Bi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Do, Yuno (Department of Bi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Joo, Gea-Jae (Department of Bi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07.02.26
  • Accepted : 2007.10.01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e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 (PIT) telemetry is a useful method for investigating fish population dynamics, community structure and migration. It can be applied for small fishes (TL<100 mm) because of its tiny size and light weight. The survival rate of PIT tag was investigated on 4 small size cyprindae fish species, Carassius gibelio langsdorfi (n=34, standard length; $91.9{\pm}0.9mm$, body weight; $21.2{\pm}0.9g$), Hypophthalmichthys molitrix (n=16, SL; $75.1{\pm}0.9mm$, BW; $6.0{\pm}0.2g$), Pseudorasbora parva (n=30, SL; $51.4{\pm}1.1mm$, BW; $2.7{\pm}0.2g$) and Phoxinus phoxinus (n=37, SL; $70.6{\pm}1.4mm$, BW; $8.2{\pm}0.5g$) under age 1 for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We used three type tags including a small (length 11.0 mm, diameter 2.1 mm, weight 0.088 g), middle (20 mm, 3.5 mm, 0.102 g), large (30 mm, 3.5 mm, 0.298 g) size. After 30 days of tag insertion, survival rate of 117 individuals were 58.1% (large tag, 50.0%; middle tag, 57.5%; small tag, 61.4%). Survival rates varied between three types of tags because the abdominal cavity of each individual was different size. The death was due to surgical damage. If we apply tagging systems on field research of the Korean freshwater fish, the PIT tag will be effective method for analyzing fish ecology.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 (PIT) telemetry는 어류의 개체군 동태와 군집 구조, 이동을 연구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는 방법으로 가볍고 크기가 작기 때문에 한국에 서식하는 소형 어류(TL<100 mm)의 연구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PIT tag을 소형 잉어과 어류에 삽입한 후 생존율을 파악하여 tag의 적용성과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생존율 실험에 사용된 어류는 모두 잉어과 어류 4종으로 Carassius gibelio langsdorfi (n=34, 체장: $91.9{\pm}0.9mm$, 체중: $21.2{\pm}0.9g$),Hypophthalmichthys molitrix (n=16, 체장: $75.1{\pm}0.9mm$, 체중: $6.0{\pm}0.2g$), Pseudorasbora parva (n=30, 체장: $51.4{\pm}1.1mm$, 체중: $2.7{\pm}0.2g$)와 Phoxinus phoxinus (n=37, 체장: $70.6{\pm}1.4mm$, 체중: $8.2{\pm}0.5g$)이며, 1년생 이하의 작은 개체들만 이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tag은 소형 (길이 11.0 mm, 반경 2.1 mm, 무게 0.088 g), 중형 (길이 20 mm, 반경 3.5 mm, 무게 0.102 g), 대형(길이 30 mm, 반경 3.5 mm, 무게 0.298 g)의 3종류를 사용하였다. 어류 복강에 tag을 삽입한지 30일 이후 실험에 사용된 총 117개체의 생존율은 58.1%였다 (대형, 50.0%; 중형, 57.5%; 소형, 61.4%). Tag의 크기에 따라 생존율은 다양하였는데 이는 실험에 사용된 개체마다 복강의 크기다 달랐기 때문이다. 또한 외과적 수술과정에서 내부 장기의 손상으로 생존율이 감소하였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실험결과 국내에 서식하고 있는 소형 담수어류에도 PIT tag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이후 현장에서 적용한다면 어류 생태 연구에 있어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환경부

References

  1. 강영훈.채병수.양홍준. 2001. 담수어를 이용한 금호강수계의 수질판정. 한국환경과학회지, 10 : 225-231
  2. 김석범. 2001. 도시하천에서의 어류 서식처 증진 방안.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80
  3. 김소영.김익수.장미희.장광엽. 2000.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의 분석에 의한 한국산 미꾸리과 어류(Cobitidae)의 계통. 한어지, 12 : 223-229
  4. 김익수.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서울, pp.465
  5.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0. 한강의 어도 및 어류서식환경 개선방안 워크샵. 서울시정개발연구원, pp. 43
  6. 송호복.박갑만. 2006. 한국산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잉어과)의 종내 집단간 분자유전 변이. 한어지, 18 :78-86
  7. 송호복.백현민.이춘원. 2005. 담수어류의 종생물지수를 이용한 강릉 남대천의 수환경 평가. 환경영향평가, 14 : 237-245
  8. 신현옥.태종완.강경미. 2004. 음향텔레메트리 기법에 의한 참돔의 인공어초 지역에 대한 반응행동 추적. 한국수산학회지, 37 : 433-439
  9. 신현옥.태종완.강경미. 2005. 음향텔레메트리 기법에 의한 인공어초 지역에서의 조피볼락의 이동범위 및 일주행동 측정. 한국수산학회지, 38 : 129-136 https://doi.org/10.5657/kfas.2005.38.2.129
  10. 안광국.염동혁.이성규. 2001. 생물보전지수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의 신속한 생물평가 기법을 이용한 갑천 수계의 평가. 환경생물, 19 : 261-269
  11. 양홍준.김구환.금지돈. 2001. 낙동강하구의 어류상과 댐의 어도에서 어류의 이동. 육수지, 34 : 251-258
  12. 염동혁.안광국.홍영표.이성규. 2000. 어류군집을 이용한 금호강의 생물보전지수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IBI) 평가. 환경생물, 18 : 215-226
  13. 이완옥. 2001. 토종 담수어류의 생산방류와 생태계 복원. 수산탐구, 6 : 35-40
  14. 이희정.박중연.이정호.민광식.전임기.유미애.이원호.2000. 미토콘드리아 ribosomal RNA 유전자 염기서열분석에 의한 한국산 연어아과 어류의 유전적 계통도. 한국수산학회지, 33 : 103-109
  15. 채병수.서보근. 2003. RAPD 분석에 의한 가시고기속(Pisces: Gastrosteidae) 개체군의 계통연구. 한어지, 15 : 12-18
  16. Bubb, D.H. and M.C. Lucas, T.J. Thom and P. Rycroft. 2002. The potential use of PIT telemetry for identifying and tracking crayfish in their natural environment. Hydrobiologia, 483 : 225-230 https://doi.org/10.1023/A:1021352217332
  17. Gibbons, J.W. and K.M. Andrews. 2004. PIT tagging: simple technology at its best. Biosciences, 54 : 447-454 https://doi.org/10.1641/0006-3568(2004)054[0447:PTSTAI]2.0.CO;2
  18. Jang, M.H. and M.C. Lucas. 2005. Reproductive ecology of the river lamprey. J. Fish Biol., 66 : 499-512 https://doi.org/10.1111/j.0022-1112.2005.00618.x
  19. Jang, M.H., G.I. Cho and G.J. Joo. 2005. The impact of unregulated fishing on the size distribution of a fish population in a temperate upland stream pool. J. Freshwater Ecol., 20 : 191-193 https://doi.org/10.1080/02705060.2005.9664952
  20. Jang, M.H., K. Ha, D.H. Bubb and M.C. Lucas. 2004. Habitat availability,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spawning lampreys in the Yorkshire Derwent system. Report of a joint project by the University of Durham with the Environment Agency, pp. 71
  21. Lucas, M.C. and E. Baras. 2001. Migration of Freshwater Fishes. Blackwell Science, Oxford, UK, pp. 352
  22. Morhardt, J.E., D. Bisher, C.I. Handlin and S.D. Mulder. 2000. A portable system for reading large PIT tags from wild trout. N. Am. J. Fish. Manage., 20 : 276-283 https://doi.org/10.1577/1548-8675(2000)020<0276:APSFRL>2.0.CO;2
  23. Quintella, B.R., N.O. Andrade, R. Espanhol and P.R. Almeida. 2005. The use of PIT telemetry to study movements of ammocoetes and metamorphosing sea lampreys in river beds. J. Fish Biol., 66 : 97-106 https://doi.org/10.1111/j.0022-1112.2005.00584.x
  24. Roussel, J.M., A. Haro and R.A. Cunjak. 2000. Field-test of a new method for tracking small fishes in shallow rivers using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 (PIT) tech-nology. Can. J. Fish. Aquat. Sci., 57 : 1326-1329 https://doi.org/10.1139/cjfas-57-7-1326
  25. Zydlewski, G.B., A. Harom K.G. Whalen and S.D. McCormick. 2001. Performance of stationary and portable passive transponder detection systems for monitoring fish movements. J. Fish Biol., 58 : 1471 -1475 https://doi.org/10.1111/j.1095-8649.2001.tb0230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