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US DENSIFLORA

검색결과 1,895건 처리시간 0.024초

딥러닝 기반의 식생 모니터링 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the Feasibility of Deep Learning for Vegetation Monitoring)

  • 김동우;손승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5-96
    • /
    • 2023
  •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for forest vegetation monitoring using high-resolution aerial imagery captured by unmanned aerial vehicles(UAV) and deep learning technology. The research site was selected in the forested area of Mountain Dogo, Asan City, Chungcheongnam-do, and the target species for monitoring included Pinus densiflora,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acutissima. To classify vegetation species at the pixel level in UAV imagery based on characteristics such as leaf shape, size, and color, the study employed the semantic segmentation method using the prominent U-net deep learning model.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it was possible to visually distinguish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and Quercus acutissima Carruth in 135 aerial images captured by UAV. Out of these, 104 images were used as training data for the deep learning model, while 31 images were used for inference. The optimization of the deep learning model resulted in an overall average pixel accuracy of 92.60, with mIoU at 0.80 and FIoU at 0.82, demonstrating the successful construction of a reliable deep learning model.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 pilot case for the application of UAV and deep learning to monitor and manage representative species among climate-vulnerable vegetation, including Pinus densiflora,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acutissima. It is expected that in the future, UAV and deep learning models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vegetation species to better address forest management.

금강송의 기계적 성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Korean Red Pine (Geumgangsong, 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

  • 김동우;황성욱;이원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1호
    • /
    • pp.58-67
    • /
    • 2014
  • 울진산 금강송의 재질특성 조사의 일환으로 기계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종압축강도는 $36.2N/mm^2$로 국산 소나무재와 잣나무재보다 다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수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종압축강도는 수에서 60 mm 떨어진 지점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휨강도는 $76.5N/mm^2$로 나타났으며, 국산 소나무재와 잣나무재보다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수로부터 60 mm 떨어진 지점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전단강도는 높은 비중을 나타내었던 수 부근에서 $10.4N/mm^2$로 최대값을 나타내었으며, 80 mm 지점에서 $9.1N/mm^2$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표면경도는 횡단면이 $43.7N/mm^2$, 방사단면이 $12.0N/mm^2$, 접선단면이 $13.7N/mm^2$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슷한 비중을 나타낸 소나무의 표면경도 값과 유사하다. 금강송의 기계적 성질은 비슷한 비중을 가지는 소나무과 수종인 소나무 및 잣나무와 비슷하였다. 그리고 금강송의 기계적 성질은 평균연륜폭보다 비중에 의해 더욱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원 중부지역 산림내의 딱정벌레과(科) 분포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of Carabid Beetles(Coleoptera: Carabidae) in different forests of Central Kangwon-do)

  • 장석준;김종국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42-49
    • /
    • 2000
  • 임상이 서로 다른 임분에서 딱정벌레군집 구조를 해석하였다. 딱정벌레과의 전체 종수 및 개체수는 소나무림에서 10속 23종 1,1627개체, 잣나무림에서 11속 23종 418개체, 일본잎갈나무림에서 11속 25종 782개체, 참나무림에서 12속 25종 1,383개체 이었다. 소나무림에서 우점종들은 Synuchus cycloderus(19.8%), Synuchus nitidus(16.6%), Pterostichus pertirax(16.2%), 잣나무림 Pterostichus sp. 1(27.9%), Synuchus nitidus(24.4%), Synuchus cycloderus(10.2%), 일본잎갈나무림 Synuchus sp.1(40.0%), Synuchus nitidus(9.3%), Pterostichus sp.1(7.4%), 참나무림 Pterostichus sp.2(17.4%), Synuchus cycloderus(14.4%), Pterostichus pertirax(14.1%) 이었다. Shannon지수 (H') 및 균등도지수(J')는 소나무림 2.11, 0.64 잣나무림 2.25, 0.72, 일본잎갈나무림 2.23, 0.69, 참나무림 2.32, 0.72로 조사되었으며, 유사도지수는 잣나무와 참나무림에서 0.66으로 낮았으며, 소나무림과 일본잎갈나무림에서 0.83으로 가장 높았다.

  • PDF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의 침전·훈증처리를 통한 재선충밀도 및 압축강도성능에 관한 연구 (The Nematode Density and Compressive Strength Property of Pine Wilt Disease Damaged Trees by Soaking and Fumigating Treatment I)

  • 윤석락;박정환;박한민;김종갑;변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3호
    • /
    • pp.200-207
    • /
    • 2009
  • 침전 및 훈증처리한 소나무 재선충병 피해목을 목재 재료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소나무재선충의 밀도 및 종압축강도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침전처리 후 소나무와 해송 모두 목초액 및 살선충제 처리의 경우 21일째에, 바닷물 침전의 경우에서는 30일째에 재선충의 밀도가 매우 낮아졌다. 재추출된 재선충을 피해가 없는 정상재에 인위적으로 접종한 경우 6개월경과 후까지 감염되지 않았으며, 소나무와 해송의 평균 기건밀도는 각각 $0.47g/cm^3$, $0.54g/cm^3$, 종압축강도는 각각 $304kgf/cm^2$, $363kgf/cm^2$이었다. 훈증처리 후의 소나무재선충은 수종에 관계없이 3개월까지는 검출되었으며, 그 이후에 출현하는 재선충은 유사 선충으로 판명되었다. 24개월이 지난 소나무와 해송의 평균 기건밀도는 각각 $0.54g/cm^3$, $0.52g/cm^3$, 종압축강도는 각각 $353kgf/cm^2$, $370kgf/cm^2$ 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피해목의 목재재료로서의 활용성은 일부 검증되었으며 보다 정확한 검증을 위하여 추후 기타 조직, 물리 및 역학적 성능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태안해안국립공원 식생 현황과 공간분포 특성 (Vegetation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in Taeanhaean National Park)

  • 이선미;명현호
    • 생태와환경
    • /
    • 제48권2호
    • /
    • pp.122-128
    • /
    • 2015
  • 본 연구는 태안해안국립공원에 분포하는 식생 현황 및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식생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확인된 식물군락은 산지 상록활엽수림인 동백 나무군락, 산지 낙엽활엽수림인 소사나무군락, 소사나무 - 곰솔군락, 음나무군락 및 모감주나무군락, 산지침엽수림인 곰솔군락, 곰솔 - 소나무군락 및 소나무군락, 저층습원식생인 갈대군락, 해안사구식생인 순비기나무군락, 갯그령군락, 갯쇠보리군락, 통보리사초군락 및 갯잔디군락, 염습지식생인 해홍나물군락, 식재림인 아까시나무군락이었다. 현존식생도에 나타난 경관유형은 곰솔군락 (3.92%), 소나무군락 (1.40%), 아까시나무군락 (0.05%), 사구식생 (0.11%), 경작지 (0.46%), 해변 (0.24%), 간벌지역 (0.08%), 나지 (0.16%), 바다 (93.58%) 등이었다. 식생유형에서는 곰솔군락이 $14.797km^2$ (3.92%)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였다. 인간 간섭과 이용의 정도에 따라 해안과 내륙에 분포하는 곰솔 군락은 층위구조와 종 조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교란 빈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떡갈나무 및 졸참나무가 잠재적 식생을 형성하여 천이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해안에 분포하는 곰솔군락 하층에는 붉은서나물이, 기지포와 삼봉사구에는 갯그령군락과 통보리사초군락이 우점하고 있으며, 그곳을 중심으로 백령풀이 침입하여 넓게 분포하고 있다. 외래식물인 붉은서나물과 백령풀은 확산속도가 빠르게 나타나고 있어 해안식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모니터링 및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소나무림(林)과 신갈나무림(林)의 흉고직경급(胸高直徑級) 분석(分析)과 천이(遷移)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DBH Analysis and Forest Successio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Forests)

  • 송호경;장규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2호
    • /
    • pp.223-232
    • /
    • 1997
  • 본 연구는 강원도와 경상북도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소나무 군락과 신갈나무 군락을 대상으로, 1991년부터 1994년 사이에 Mueller-Dombois & Ellenberg의 방법에 의하여 162개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조사하였으며, CCA ordination과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흉고직경급 분석에서 소나무 군락은 신갈나무 군락 또는 굴참나무 군락으로 천이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신갈나무 군락은 전체적으로 신갈나무 우정림으로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신갈나무-생강나무 군락은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피나무가 교목층에 공존하는 삼림으로 유지될 것으로 추정되며, 신갈나무-분비나무 군락은 낙엽활엽수인 신갈나무와 상록침엽수인 잣나무와 분비나무 등이 교목층에 혼재되어 균형을 이룰 것으로 추정된다. 2. 주요 수종과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소나무 군락에서 신갈나무는 해발고가 보통이고 전질소, 유기물함량, C.E.C. 등의 양료가 보통인 곳에 분포하며, 소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등은 해발고가 낮고 전질소, 유기물함량, C.E.C. 등의 양료가 적은 곳에 분포하고 있었다. 3. 신갈나무 군락에서는 신갈나무, 당단풍 등이 $Mg^{{+}{+}}$, $Ca^{{+}{+}}$, C.E.C 등의 양료가 중간인 사면부에 분포하고, 분비나무, 주목, 잣나무 등이 해발고가 높고 $Mg^{{+}{+}}$, $Ca^{{+}{+}}$, C.E.C 등이 적은 능선부에 분포하며, 서어나무, 젓나무 등이 해발고가 중간이고 $Mg^{{+}{+}}$, $Ca^{{+}{+}}$, C.E.C 등의 양료가 중간인 곳에 분포하고 이엇다. 또한 음나무, 까치박달나무, 만주고로쇠 등이 습하고 $Mg^{{+}{+}}$, $Ca^{{+}{+}}$, C.E.C 등의 양료가 많은 계곡부에는 분포하고, 소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건조하고 해발고가 낮은 능선부에는 분포하고 있었다.

  • PDF

Comparison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Three Conifer Trees; Pinus densiflora,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 Lee, Jeong-Ho;Lee, Byung-Kyu;Kim, Jong-Hee;Lee, Sang-Hee;Hong, Soon-Kw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4호
    • /
    • pp.391-396
    • /
    • 2009
  •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effects of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three coniferous species, Pinus densiflora,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were investigated. Gas chromatography mass analysis of the essential oils revealed that the major components and the percentage of each essential oil were 16.66% $\beta$-phellandrene and 14.85% $\alpha$-pinene in P. densiflora; 31.45% kaur-16-ene and 11.06% sabinene in C. japonica; and 18.75% bicyclo [2,2,1] heptan-2-ol and 17.41% 2-carene in Ch. obtusa. The antimicrobial assay by agar disc diffusion method showed that $2.2{\mu}g$ of Ch. obtusa oil inhibited most effectively the growth of Escherichia coli ATCC 33312 and Klebsiella oxytoca ATCC 10031, whereas the C. japonica oil gave weak antimicrobial activity.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MIC) values for bacterial strains were in the range of 5.45-21.8 mg/ml depending on essential oils, but most Gram-negative bacteria were resistant even at 21.8 mg oil/ml. P. densiflora oil showed the most effective antifungal activity and the MIC values for Cryptococcus neoformans B42419 and Candida glabrata YFCC 062CCM 11658 were as low as 0.545 and 2.18 mg/ml, respectively. Cryp. neoformans B42419 was the most sensitive to all essential oils in the range of 0.545-2.18 mg/ml. Our data clearly showed that the essential oils from the three conifers had effective antimicrobial activity, especially against fungi.

질소와 인 시비가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자작나무 묘목의 양분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 and P Fertilization on Nutrient Use Efficiency of Pinus densiflora, Larix leptolepis, and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Seedlings)

  • 신정아;손요환;홍성각;김영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04-309
    • /
    • 1999
  •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자작나무 묘목을 대상으로 온실 내에서 질소와 인 비료를 사용하고, 묘목 생체량, 잎, 줄기, 뿌리 등의 부위별 양분 농도, 그리고 양분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대부분의 경우 시비가 묘목의 생체량 변화에 미치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비 후 묘목 내 부위별 질소와 인 농도는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시비가 묘목을 양분 과다 이용상태에 이르게 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양분이용효율은 지상부와 지하부 생체량에 대한 묘목 내 양분 함량의 비로 계산하였는데, 시비 후 질소와 인의 이용효율은 소나무와 자작나무에서 감소하였으나, 일본 잎갈나무에서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수종별 양분이용효율은 자작나무에서 가장 높고, 소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순으로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xtracts from Pinus densiflora Siebold et Zuccarini Sawdust Inhibit the Mycelial Growth of Lentinus edodes (Berk.) Sing., Edible Mushroom

  • Hong, Seong-Cheol;Choi, Myung-Suk;Lim, Bu-Kug;Lee, Jong-Yoon;Rinker, Danny L.;Yang, Jae-Kyung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349-354
    • /
    • 2004
  • The extracts of Pinus densiflora sawdust by n hexane, ethyl acetate and methanol solvent were investigated to identify their mycelial growth inhibition against Lentinus edodes. The yields of n hexane soluble fraction, ethyl acetate-soluble fraction, and methanol soluble fraction from P. densiflora sawdust were obtained 1.36%, 2.21% and 4.03% using organic solvent, respectively. The mycelial growth inhibition of L. edodes was the greatest for n hexane extract, ranging from 36.5% to 47.6% at concentrations of 125 ppm to 1,000 ppm, with the values for all concentration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ne another. After direct extraction of P. densiflora sawdust using n hexane, ethyl acetate and methanol, each extract was separated into three fractions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then the fractions were isolated on the values of $R_f$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The mycelial growth inhibition against L. edodes was recognized in the fractions II (33.5%) and III (37.6%) of n hexane extract, the fraction II (21.4%) of ethyl acetate extract and the fraction II (26.4%) of methanol extract. The fractions III of n-hexane extract showed the highest growth inhibition among the nine fractions of the organic solvent extract.

군락내 공간적 분석에 의한 세 종간 상관관계 (Three Species Associations with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in Community)

  • 허만규;허홍욱;김창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1호
    • /
    • pp.17-23
    • /
    • 2000
  • 소나무(Pinus densiflora), 쥐똥나무(Ligustrum obtusifolium), 그리고 오리나무(Alnus japonica)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생태적, 유전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 가운데, 소나무와 쥐똥나무의 생태적 공간관계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쥐똥나무와 오리나무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Moran의 I값과 표준편차(SND: standard normal deviate)값에 의하면 소나무는 18 m에서 집단구조를 형성 한 반면, 쥐똥나무는 12.5 m간격으로 집단구조가 형성되어 있었다. 오리나무는 명확한 집단구조가 결여되어 있었다. 소나무와 쥐똥나무의 두 종간의 공간구조에 있어, 유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형성 된 것은 소나무의 수관이 비교적 좁고, 적절한 피음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쥐똥나무의 생육에 기여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오리나무와 쥐똥나무의 경우, 광합성과 관련한 수광경쟁에서 비교적 넓은 오리나무의 수관 때문에,두 종간의 동소적 관계가 방해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