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vegetation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in Taeanhaean National Park. As a result, vegetation communities were 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thunbergii-Pinus densiflora community, Camellia japonica community, Carpinus turczaninowii community, Carpinus turczaninowii-Pinus thunbergii community, Kalopanax septemlobus community,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and sand dune and coastal wetland vegetation including Vitex rotundifolia community, Elymus mollis community, Calamagrostis epigeios community, Ischaemum anthephoroides community, Zoysia sinica community, Suaeda maritima community, and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Landscape types in actual vegetation map were Pinus thunbergii community (3.92%), Pinus densiflora community (1.40%),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0.05%), sand dune and coastal wetland vegetation (0.11%), field (0.46%), seashore (0.24%), thinning area (0.08%), bareground (0.16%), and sea (93.58%). Area of Pinus thunbergii community among vegetation type was $14.797km^2$ (3.92%) and the largest. Stratification structure and species composition of Pinus thunbergii community distributed in the seashore were different as a result of disturbance and human use. On the other hand, we assumed that succession will take place to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that is Quercus serrata and Quercus dentata in undisturbed Pinus thunbergii community. Meanwhile, Erechtites hieracifolia was occupied in understory of Pinus thunbergii community around the seashore and Diodia teres was invaded to sand dune vegetation. They may affect on natural species negatively. Therefore, monitoring and management plans are necessary.
본 연구는 태안해안국립공원에 분포하는 식생 현황 및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식생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확인된 식물군락은 산지 상록활엽수림인 동백 나무군락, 산지 낙엽활엽수림인 소사나무군락, 소사나무 - 곰솔군락, 음나무군락 및 모감주나무군락, 산지침엽수림인 곰솔군락, 곰솔 - 소나무군락 및 소나무군락, 저층습원식생인 갈대군락, 해안사구식생인 순비기나무군락, 갯그령군락, 갯쇠보리군락, 통보리사초군락 및 갯잔디군락, 염습지식생인 해홍나물군락, 식재림인 아까시나무군락이었다. 현존식생도에 나타난 경관유형은 곰솔군락 (3.92%), 소나무군락 (1.40%), 아까시나무군락 (0.05%), 사구식생 (0.11%), 경작지 (0.46%), 해변 (0.24%), 간벌지역 (0.08%), 나지 (0.16%), 바다 (93.58%) 등이었다. 식생유형에서는 곰솔군락이 $14.797km^2$ (3.92%)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였다. 인간 간섭과 이용의 정도에 따라 해안과 내륙에 분포하는 곰솔 군락은 층위구조와 종 조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교란 빈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떡갈나무 및 졸참나무가 잠재적 식생을 형성하여 천이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해안에 분포하는 곰솔군락 하층에는 붉은서나물이, 기지포와 삼봉사구에는 갯그령군락과 통보리사초군락이 우점하고 있으며, 그곳을 중심으로 백령풀이 침입하여 넓게 분포하고 있다. 외래식물인 붉은서나물과 백령풀은 확산속도가 빠르게 나타나고 있어 해안식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모니터링 및 관리방안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