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line class form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3초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수학과 원격수업의 만족도 및 수학학습과의 연관성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Mathematics Online Class and its Relationship with Mathematical Learning in Corona-19)

  • 김홍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341-358
    • /
    • 2021
  • 2020년 처음 발생한 코로나는 사회 전반에 많은 변화를 초래했다. 이러한 변화에 있어 교육 역시 예외가 아니었다. 학교에서는 사상 유례없는 온라인 개학을 시행했고 학생들과 교사는 충분한 준비 없이 원격수업에 참여해야 했다. 원격수업과 관련하여 관련 자료 개발, 만족도 조사와 같은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나 실제 학교 현장을 기반으로 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0년부터 원격수업에 참여한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원격수업의 방식 및 만족도를 조사하고 원격수업 만족도와 수학학습과 관련된 하위요소들과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수학 교과에서는 원격수업이 대체로 실시간 쌍방향 수업의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학생들은 수학학습에 만족을 느꼈다. 하지만 원격수업을 지속해야 하는 것의 문제에 있어서 어느 정도 상반된 의견을 표명하였다. 또한, 통계분석 결과 원격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수학학습 의지, 전략, 수학에 대한 가치, 학습의욕 등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비대면 온라인 수업실행 및 평가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조사 (A survey of learners' satisfaction with non-face-to-face online class execution and evaluation)

  • 고은정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43-1552
    • /
    • 2022
  • Purpose: It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with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and use them as basic data for successful lecture design and operation. Method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lBM SPSS Statistics 21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were frequency analysis, non-face-to-face online class satisfaction, and test satisfaction were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Through the independent sample T test, a t-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n average difference in online class and test satisfaction according to grade. Results: The advantages of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were that repetitive learning was possible (57.7%), the disadvantage was that there was a lack of real-time communication (74.9%), and the most efficient teaching method was a mixed form of online and face-to-face classes (64.9%). The satisfaction level of online classes was 2.69 points for 'self-directed learning habits,' which was the highest compared to the overall average of 2.55 points, and 2.09 points for 'difficulty in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in online classes.'Non-face-to-face test satisfaction was 2.68 points for 'short test time gives fairness to test results,' higher than the overall average of 2.45 points, and 2.07 points for 'no difficulty accessing the test.'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he non-face-to-face test according to the grade, it was found that the third grade showed a more negative attitude than the second grade in terms of sexual fairness (p<0.05). Conclusions: Through the above results,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require various content development and some mixed classes considering the level of students, and instructors'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es for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are needed.

비대면 디자인 교육 평가 체계 구축에 관한 기초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online design education)

  • 박서연;반영환
    • Design & Manufacturing
    • /
    • 제16권2호
    • /
    • pp.7-1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method for online design education. Online education has established itself as the primary form in the educational field, however, there are unsatisfactory response from instructors and students due to rapid conversion of online education. Due to the transition of educational method, online class contents have become optimized and online educational experiences became accumulated. However, clear education criteria is essential. This study states importance of two parts: establishing an evaluation system based on design thinking for online design education and finding appropriate online platforms for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The research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for ensuring the efficiency of design education and are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future education field.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과 온라인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and Online Class Experiences)

  • 김윤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73-284
    • /
    • 2022
  • 본 연구는 D광역시 초등학교 3~6학년 담임교사 중 과학 교과 온라인 수업 경험이 있는 교사 4명을 대상으로 4개월간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교사들의 과학과 온라인 수업을 통한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와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연구대상자들의 지구과학단원의 온라인 수업 경험을 바탕으로 인터뷰,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온라인 수업관련 제작자료 및 교사일지 등 관련 문서들과 현장 수업을을 실시한 결과, 교사들은 기존의 대면수업에 비해 온라인 수업 준비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온라인 수업에서 활용되는 새로운 매체에 적응하는 과정에 어려움을 보였다. 또한 팬데믹 상황에서 제작된 과학자료 및 원활한 수업운영을 위한 수업플랫폼 제공을 요구하였다. 특히 실험단원의 경우, 계획된 교육과정이수 시수에 부담감이 있었으며, 팬데믹 상황에서 학생들의 밀도 있는 과학수업을 위해 개인별 실험도구의 필요성을 느꼈다. 더불어 효과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과 이를 위한 교사의 재량권 확대 및 융통성 있는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팬데믹 현상을 대비한 미래교육으로의 전환을 위해 새로운 수업형태로 대면수업과 온라인 수업의 장점을 결합한 블랜디드 러닝 학습체계 도입이 필요하며, 온라인 학습의 질과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수업형태 및 온라인 수업 경험에 대한 지속적인 교사연구가 요구된다.

비대면 온라인 환경에서 SW기반 메이커교육의 효과성 비교: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흥미도의 관점에서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SW-based maker education in online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 김태령;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571-578
    • /
    • 2021
  • 본 연구는 SW기반 메이커교육을 비대면 온라인 환경에서 블렌디드 러닝 전략에 따라 다르게 적용한 후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흥미도의 관점에서 비교한 것이다. 먼저 온라인 교육을 위한 SW 메이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시간 쌍방향을 포함하는 라이브세미나형 수업과 온라인콘텐츠와 질의응답으로 이루어진 지원제공형 수업으로 각각 적용하였다. 사전, 사후로 나누어 두 전략에 따른 학생들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자기효능감 부분에서는 라이브세미나 형태가 긍정적 효능감과 전체 평균 변화 부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학습동기 부분에서는 라이브세미나 형태가 자신감 부분에서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흥미 부분에서는 지원제공형 형태가 도구적 흥미와 긴장 부분에서 유의하게 높은 평균을 보여주었다. 비대면 온라인 학습에서 기존 대면상황과 같은 메이커 활동의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학생 간 공유 시간 증대와 통합적인 학습 환경, 탐색시간과 학습 자료의 충분한 제공이 필요하다.

디지털 시대적 흐름에 따른 온라인 디자인 수업의 교육과정 개선방향 제안 (Proposal for an improvement direction of curriculum of online design class in accordance with the stream of digital times)

  • 이인숙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3-24
    • /
    • 2015
  • 2001년 국내 사이버대학의 출범과 함께 시작된 온라인 디자인 교육은 현재까지 다양한 과목의 온라인 수업이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디지털기술의 발전 및 사이버대학 성장과 함께 원격교육 개념이 점차 보편화되면서 앞으로도 양적, 질적 확장이 계속될 전망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양적 성장과 발전가능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온라인 디자인 수업은 디지털 시대적 흐름에 따라 디자인과 디자이너의 개념 및 역할이 바뀌어 가고 있는 상황에도 여전히 기존 오프라인 대학 디자인학과와 크게 다르지 않은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온라인 디자인 교육은 디지털기술과 콘텐츠 그리고 디자인이 합쳐진 형태로 디지털 기술 트렌드에 따라 영향을 받는 등 복합적인 요인들을 고려해야 하며 사이버 교육이니 만큼 온라인의 장점 및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여 진행해야 함에도 현실은 여러 여건상 그렇지 못하고 있다. 디지털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이제 온라인 디자인 교육도 변해야 하고 향후 미래 디지털 시대 흐름과 온라인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온라인 디자인 교육과정의 개발 및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 연구를 통해 디지털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디자인과 디자이너의 개념 및 역할과 온라인 수업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본 후 국내 사이버대학 디지털디자인 관련학과 교육과정 현황 분석을 통해 향후 디지털시대에 적합한 온라인 디자인 수업 교육과정의 개선방향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학습자의 경험 분석을 통한 플립 러닝의 재해석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Flipped Learning by Analyzing Learners' Experiences)

  • 이예경;윤순경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53-62
    • /
    • 2017
  • This paper explored how university students viewed flipped learning from their own perspective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5 students from a Computer Graphics course at a mid-scale university in Seoul were interviewed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collected data about their learning experiences, emotions, and reflections about flipped learning in general and its components such as online materials, in-class activities, and instructor guidance. Research findings indicated that students were not so much conscious about the unfamiliarity of the class, the increased work load, nor the online lectures. They rather prioritized 'what they could actually learn' from the course, and thus defined flipped learning as a method which enabled students to constantly check and fill in the gaps in their learning through team-based activities and prompt feedback from the professor. A combination of students' positive attitude and active participation in team-based activities,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department which supported interactivity and collaboration, the professor's emphasis on learning-by-doing and student-centered learning appeared to form their notions of flipped learning. The use of technology did not appear to heavily impact students' conceptions of flipped learning. Researchers suggest that pedagogical beliefs of the professor, culture surrounding the learner, and the good match between the course content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central for designing a successful flipped learning class.

디자인과 경영 콘텐츠학습 태도를 기반으로 한 기업 경영자 교육의 효과 연구 (Effect of Design & Business Content Class on the Improvements of Learning Attitude for Corporate Learning Program)

  • 조윤형;이상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55-165
    • /
    • 2014
  • 본 연구는 기업의 경영자 교육 효율 재고를 위해 학습태도 모형을 실증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분류된 학습자의 성격강점과 학습 친화력 강화와 학습태도 개선의 인과 관계를 검증하였다. 최근 기업들은 온 오프라인 경영자 재교육을 통해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려고 시도하고 있다. 연구자는 디자인과 경영분야 교과목을 접목하여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경영자 교육에 함의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은 공히 학습자 성격강점이 친화력강화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친화력강화도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학습태도 개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은 모두 학습자 성격강점이 학습태도 개선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친화력 강화 변인이 매개변수 역할을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의과대학 온라인 교육의 발전을 위한 제언 - COVID-19에 따른 온라인 교육 현황과 만족도 조사 사례를 바탕으로 -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Online Education at the College of Korean Medicine -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Online Education and Satisfaction Surveys due to COVID-19 -)

  • 위효선;양인준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162-168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online classes and evaluatio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attending the College of Korean Medicin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students enrolled in Dongguk University's College of Korean Medicine.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four areas asking about online lectures, laboratory practice, clinical practice, and evaluation experience. The items were composed of multiple-choice, a 5-point scale, and subjective type. After distributing the Google form address through SNS and LMS, only those who agreed to the questionnaire were responded anonymously. 149 out of 457 enrolled students responded. 98.7% of students experienced online lectures, and more frequently experienced real-time online lectures (98.6%) than recorded lectures (43.5%). Overall satisfaction with online lectures was 3.99 on average. 80.5% of the students experienced the online experiment and practice class,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it was 3.29 on average. 1.3% of students experienced online clinical practice. 86.6% of students experienced online evaluation, and when asked about the fairness of the test, the average score was 3.99. Satisfaction with online lectures and evaluations is generally high, so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n effective learning tool in the future. However, it seems that facility improvement and technical training of instructors are necessary. In experimental and practical education, the satisfaction level is lower than that of online lectures, so it seems necessary to develop a new online program and to prepare a safe offline education system.

Featured Student Profiles: An Instructional Blogging Strategy to Promote Student Interactions in Online Courses

  • LIM, Taehyeong;DENNEN, Vanessa P.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23권1호
    • /
    • pp.67-96
    • /
    • 2022
  • Although blogs have been used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with optimistic expectations, the distributed nature of blogs can pose some challenges. Currently, we do not have a robust collection of tested blogging strategies to help students interact more effectively with each other when blogs are used as a primary form of engagement in an online class. Thu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test an early iteration of an instructional blogging strategy, "Featured Student Profiles," which is designed to help students become acquainted with each other better and encourage them to visit and comment on each other's blogs. Sixteen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an online course in which student blogs are the primary medium of peer interactions, participated in the study. Using a design case approach, seven students participated in interviews and all student blog interactions were analyzed. Thematic analysis was applied to analyze the interview data and identify salient themes of students' blogging experiences overall under the study strategy. The findings indicated that students took the most direct and efficient path they experienced to complete the blog task. Their peer interaction patterns varied, but several shifted from random to targeted relationships as the semester progressed. Although all students perceived the strategy as a positive approach to peer awareness, there was no clear evidence of its effect on student inter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