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ursing satisfaction

Search Result 3,48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간호학생의 응급환자간호 임상실습 온라인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Online Clinical Practicum Program on Emergency Nursing Care for Nursing Students)

  • 김원경;박정민;송지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31-142
    • /
    • 2021
  •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팬데믹으로, 전국의 대학들이 온라인 플랫폼을 사용한 비대면 강의를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응급환자간호 임상실습 교육에 맞는 온라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학생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해보고자 시도 되였다. 본 연구는 양적자료와 질적자료를 분석한 방법론적 연구로, G광역시 N대학교 성인간호학교수 3인이 G광역시 종합병원 간호부장과 응급실 수간호사들에게 자문을 구하여 학생들의 교과목과 관련된 요구도 조사 후에, 4학년을 대상으로 응급환자간호 임상실습 온라인 프로그램을 ADDIE모형에 따라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4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1주에 영상 4시간, 과제 2가지로 구성하였고, 실시간 쌍방향 화상집담회도 포함되었다. 총 96명 학생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SPSS/WIN 22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교과목 만족도 부분에서 '학습목표 연계성'이 총 6.0만점에 평균 5.58±0.98로 가장 점수가 높았다. 응급간호 학습성취도에서는 'BLS 수행 '이 평균 5.47±0.74로 가장 점수가 높았으며, '낙상예방 간호수행'(5.39±0.77), '응급환자 기록수행'(5.30±0.70), '감염예방 간호수행'(5.27±0.736) 순이었다. '3학년때 시행한 대면임상실습경험과 이번학기 비대면임상실습수업 경험을 비교하여 내가 생각하는 이번학기 수업의 장점은 무엇인가?'에 관한 질적자료를 Keyword로 추출하여 Wordcloud로 제시한 결과 답변을 한 77명의 학생들 중 '간호과정경험'이라고 답한 경우가 13명(16.9%)로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자세한 교수설명'이 10명(13.0%), '사례기반실습'이 9명(11.7%)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다(Anytime anywhere)'고 답한 경우가 8명(10.4%)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개발된 온라인 프로그램을 활용한 응급환자간호 임상실습이 학생들의 교과목 요구도를 반영한 학생들의 학습성취도를 파악하였으며, 대면실습과 비교하여 교과목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개발된 온라인 프로그램을 향후 응급환자간호 임상실습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 인식과 직무성과 영향 관계 (The Relationship of Communication Perception and Job Performance of General Hospital Nurses)

  • 정상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85-494
    • /
    • 2020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 인식과 직무성과 영향 관계를 파악하여 인적자원관리 효율화와 병원경영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이다. 자료조사는 광주·전남지역 소재 14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392명을 대상으로 2019년 8월 5일부터 2019년 8월 23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t-검정과 분산분석, 사후검정,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 특성과 직무성과 차이를 검정한 결과 연령, 근무년수, 급여수준, 직업만족, 소재지, 건강상태, 건강교육 경험, 만성질환, 우울경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사 의사소통 인식과 직무성과 영향 요인으로 30대 연령, 직업만족도(보통, 불만족)에서 부(-) 영향을 미쳤고, 소재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의사소통 하부요인인 수평적 의사소통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하향, 비공식, 상향 의사소통이 직무성과에서 영향관계가 있었으며 설명력은 45.2%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종합병원에서 간호사의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사 근무환경 개선, 직업만족도를 향상시켜 상황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수평, 하향, 비공식, 상향적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질 수 있도록 간호 조직문화 개선과 인적자원관리의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DRG 지불제도에서 환자의 의료서비스 만족도와 제공량에 관한 연구 - 시범사업 전.후 제왕절개 분만 경험 산모를 대상으로 - (A Study on Patients' Satisfaction and Service Utilization in the DRG Based Payment System - Patients who Experienced Cesarean Section Before and After the Demonstration Program -)

  • 김지숙;박하영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90-202
    • /
    • 2000
  • Background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patients' satisfaction with the DRG based payment method and its association with their awareness of the method, to examine patient reported changes in doctors' caring attitude, level of their out-of-pocket payments, providers' acceptance of patients' request for additional services after the program, and to examine changes in service utilization recorded in medical records. Method : One hundred-four patients who had cesarean sections before and after the demonstration program at two hospitals located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Patients were surveyed before discharges when their charges were finalized. Their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as well to collect data for service utilization during hospital stays. The association between patients' satisfaction with the payment method and their awareness of the method was analyzed by ${\chi}^2$-test, and the significance of changes in providers' acceptance of patients' request for additional services and service utilization after the program were examined by ${\chi}^2$-test and t-test, respectively. Results : A large proportion of patients did not know of the DRG based payment method at the time of survey and a significantly larger proportion of patients who came to the hospitals with the knowledge satisfied with the method. About the same proportion of patients reported improvement and deterioration in doctors' caring attitude compare to the previous hospitalizations and a similar result was found concerning out-of-pocket payments. Providers' acceptance of patients' request for medication, PCA and painless delivery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program whereas the acceptance for additional hospital days and laboratory and radiology tests did not. Length of stay, the numbers of days on antibiotics and antianemic medication, and the number of blood test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program, however, decreases in the rate of antianemic medication and the number of urine analys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operation, in-hospital death, and complications were not observ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Conclusion : The study findings indicated a need for better patient education and publicity about the newly introduced payment method to improv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system. Other study findings concerning service utilization and quality of care indicators were consistent with the government funded evaluation studies.

  • PDF

병원조직에 팀제 도입이 팀직무만족과 팀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a Team System's Introduction to Hospital Organization, Regard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 최순연;남은우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32-271
    • /
    • 2000
  • The introduction of a team system to any organization is usually to improve that organizations dynamics, by increasing the proper adaptation to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by reducing approval procedures, and by promoting power authoriz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n attempt to determine (1) whether or not the introduction of a team system can be as effective in hospital organizations as it has been in business organizations, and (2) what behavior factors influence such effectiveness. For the current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employees of a university hospital in Pusan. Four hundred eighty three of them(94.7%) were retrieved and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processes. The three types of variables that were found to influence team effectiveness were: (1) independent variables of team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atmosphere, leadership and team knowledge, (2) intervening variables of team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job autonomy, technological variety, task subjectivity, task feedback and task importance, and(3) the dependent variables of team level effectivenes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team organization. The gathered data were processed by using the 6.12 version of the statistical program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and the reliance coefficient of those measured variables was then evaluated as an average of 0.78. The influence of team level effectiveness was analyzed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se differences in effectiveness were then analyzed on the basis of related mean values, while the differences among dem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using the dispersion analysis(ANOVA) and the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by the following. First,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and team level effectiveness, all of the factors including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atmosphere, leadership and team knowledg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effectiveness. Second, the factors of team job characteristics, such as technological variety, task importance and job autonomy, had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the teams members. Team level effectiveness was generally high, while team job satisfaction was higher the team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regarding the dem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eam level effectiveness was found to be higher among those who were older, who had more job experience, and who had a higher position. Comparing the differences among job types, the effectiveness was relatively higher in the fields of nursing and administration/management then in other fields. Further study should be done towards the setting of variables for characteristics of hospital organization, developing suitable methods of measurement, and researching individual level effectiveness.

  • PDF

스마트 학습법이 보건 계열 학생들에게 성취목표지향성 및 학업적 자기 효능감이 미치는 효과 (Effect of Smart Learning applied on Achievement Goal, Self Directed Learning for Students in Health College)

  • 심재구;박수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79-287
    • /
    • 2017
  • 스마트 학습법을 적용한 학생과 적용하지 않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효과적으로 적용되었는지 알아보고 향 후 보건 계열 방사선과 전공과목에 스마트 학습법을 적용한 효과에 대해 논의 및 향 후 발전적인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2016년 3월부터 6월까지 한 학기동안 스마트 학습법으로 강의를 받은 학생과 스마트 학습법을 적용하지 않은 학생 두 분류로 나누었고 자료수집방법은 자가 보고형 질문지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스마트 학습법으로 강의를 받은 교육군이 비교육군에 비해 자기주도 학습능력를 검정한 결과, 5점 만점에 교육군이 3.46점, 비교육군이 2.63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t=9.721, p=.000), 성취목표지향성을 검정한 결과, 교육군이 3.12점, 비교육군이 2.92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4.544, p=.000). 위의 결과로 스마트학습법이 자기주도학습,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 만족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줬으며, 향후 보건 계열 학과에서도 교수자는 학습자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강의의 질적 향상을 위해 학습변화가 필요하다.

노인의 생활만족도, 자기방임, 심리적 행복감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among Life-satisfaction, Self-neglect,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 안성아;정은영;공정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253-260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생활만족도, 자기방임,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를 확인하고 노인의 심리적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하는데 필요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G도, J시에 거주하는 노인 143명으로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관계,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심리적 행복감은 생활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r=.841, p<.001), 자기방임과는 음의 상관관계(r=-.501, p<.001)를 보였다. 다중 회귀분석 결과 노인의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활만족도(β=.787, p<.001)와 수입원(β=-.114, p=.028)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71.3%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노인의 심리적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인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사회적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병원 기반 기혼간호사의 양육스트레스, 역할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Role Conflict on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Married Nurses)

  • 이미진;이혜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582-593
    • /
    • 2020
  • 본 연구는 의료기관 간호사의 양육스트레스, 역할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은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자녀가 있는 간호사를 14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의 정도는 4점 만점에 평균 2.50점, 역할갈등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48점, 이직의도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71점이었다.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양육스트레스(β=.257 p<.001), 직무만족(β=.242, p<.001), 역할갈등(β=.161 p<.001)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총 45.6%이었다. 결론적으로 병원간호사의 이직의도는 양육스트레스, 역할갈등, 직장만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혼간호사들의 양육스트레스와 역할갈등을 낮추기 위한 방안으로 양육과정에 있는 간호사들의 근무환경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폭력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공감피로를 중심으로 (Influencing Factor on the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Room Nurses: Focusing on Violence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mpassion Fatigue)

  • 김화진;박점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67-7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 간호사의 폭력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공감피로가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경기도 소재 9개 종합병원의 응급실 간호사 114명을 대상으로 2019년 7월 1달 동안 진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폭력 경험은 언어적 폭력 11.50±3.37점, 신체적 위협 11.57±4.15점, 신체적 폭력 11.07±5.20점으로 나타났으며, 외상 후 스트레스는 34.59±14.46, 공감피로는 26.50±7.17점, 직무 만족도는 61.19±8.38점으로 나타났다. 이 중 외상 후 스트레스(β=-.21, p=.090)가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23.11, p<.001).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감소시키고 위해서는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관리 프로그램의 도입과 예방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에 대한 대처 수준 향상을 위하여 적극적인 대처 방안과 안전한 근무환경 확보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간호사의 감성지능, 셀프리더십, 전문직 삶의 질과의 관계 (Relationship of Emotional intelligence, Self-leadership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on Nurses)

  • 김요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531-538
    • /
    • 2019
  • 본 논문은 간호사의 감성지능, 셀프리더십과 전문직 삶의 질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대상자는 부산, 울산, 경남 종합병원 간호사 197명으로 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독립 t 검정, 일원분산분석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감성지능 점수는 4.68/7점, 셀프리더십 점수는 3.35/5점, 전문직 삶의 질 점수는 2.98/5점으로 나타났다. 전문직 삶의 질은 공감만족, 소진,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의 3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되며, 대상자의 19.8%가 높은 전문직 삶의 질을 나타냈다(공감만족75%이상, 소진25%미만,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25% 미만인 집단). 대상자의 전문직 삶의 질 하위요인들과 독립변수 간의 상관관계에서 공감만족은 감성 지능(r=.41, p<.001) 및 셀프리더십과 양의 상관관계(r=.61, p<.001)에, 소진은 감성지능(r=-.48, p<.001) 및 셀프리더십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에 있었으며(r=-.50, p<.001), 감성지능과 셀프리더십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다(r=.66, p<.001)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감성지능 및 셀프리더십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전문직 삶의 질을 향상시켜주고, 공감만족을 위한 간호조직분위기 조성을 위해 힘써야 할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강의 형태와 콘텐츠가 학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외 대학생의 관점에서- (The Effect of COVID-19 on Academic Satisfaction with Online Lecture Types and Contents -Perspective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y Students-)

  • 조지수;배정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643-650
    • /
    • 2021
  • 이 연구는 강의 콘텐츠 만족도가 비대면 온라인수업 시 전반적인 학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수도권대학, 지방 대학, 외국 대학에 재학 중인 총 107명을 대상으로 2020년 8월 25일부터 2020년 9월 2일까지 일주일 동안 진행하였다. 국내는 초당대학교, 건국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등을 포함한 37개 대학 72명, 해외는 University of Hawaii(UH),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UCLA),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NUS) 대학을 포함한 15개 대학 3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및 카이제곱검증, 피셔의 정확한 검증, 선형 대 선형결합,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4학년에 비해 3학년이 0.025배, 실시간 온라인 및 녹화 혼합 강의에 비해 녹화된 인터넷 강의가 0.036배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아니오'에 비해 '예'가 등록금 적정 여부에서 31.358배, 교수법 만족 여부에서는 19.709배, 학업 성취도의 경우 7.989배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결론적으로,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강의 콘텐츠의 질도 중요하지만, 학교의 다양한 학습 지원과 알맞은 교수법, 적절한 등록금과 성적 평가방식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