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Online Clinical Practicum Program on Emergency Nursing Care for Nursing Students

간호학생의 응급환자간호 임상실습 온라인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Received : 2020.11.23
  • Accepted : 2021.01.25
  • Published : 2021.01.31

Abstract

Purpose: Clinical practicums via non-face-to-face methods were inevitabl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We developed an online program for emergency nursing care and identified the feasibility of the program and the learning achievements of students. Methods: This was a methodological study.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three professors who taught theory and clinical practicum for adult nursing care and clinical experts. Students received four hours of video content and two task activities every week in four-week program. Real-time interactive video conferences were included. Qual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Results: A total of 96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mean score for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online program was 4.72(±1.02) out of 6. Subjects that generally had high learning achievement scores were basic life support care, fall prevention, nursing documentation, infection control, and anaphylaxis care. As a result of a content analysis of 77 reflective logs on the advantages of this program, students reported that "experience in applying nursing process," "case-based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and "No time and space constraints" were the program's best features. Conclusion: Collaboration between hospitals and universities for nursing is more important than ever to develop online content for effective clinical practicum.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팬데믹으로, 전국의 대학들이 온라인 플랫폼을 사용한 비대면 강의를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응급환자간호 임상실습 교육에 맞는 온라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학생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해보고자 시도 되였다. 본 연구는 양적자료와 질적자료를 분석한 방법론적 연구로, G광역시 N대학교 성인간호학교수 3인이 G광역시 종합병원 간호부장과 응급실 수간호사들에게 자문을 구하여 학생들의 교과목과 관련된 요구도 조사 후에, 4학년을 대상으로 응급환자간호 임상실습 온라인 프로그램을 ADDIE모형에 따라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4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1주에 영상 4시간, 과제 2가지로 구성하였고, 실시간 쌍방향 화상집담회도 포함되었다. 총 96명 학생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SPSS/WIN 22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교과목 만족도 부분에서 '학습목표 연계성'이 총 6.0만점에 평균 5.58±0.98로 가장 점수가 높았다. 응급간호 학습성취도에서는 'BLS 수행 '이 평균 5.47±0.74로 가장 점수가 높았으며, '낙상예방 간호수행'(5.39±0.77), '응급환자 기록수행'(5.30±0.70), '감염예방 간호수행'(5.27±0.736) 순이었다. '3학년때 시행한 대면임상실습경험과 이번학기 비대면임상실습수업 경험을 비교하여 내가 생각하는 이번학기 수업의 장점은 무엇인가?'에 관한 질적자료를 Keyword로 추출하여 Wordcloud로 제시한 결과 답변을 한 77명의 학생들 중 '간호과정경험'이라고 답한 경우가 13명(16.9%)로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자세한 교수설명'이 10명(13.0%), '사례기반실습'이 9명(11.7%)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다(Anytime anywhere)'고 답한 경우가 8명(10.4%)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개발된 온라인 프로그램을 활용한 응급환자간호 임상실습이 학생들의 교과목 요구도를 반영한 학생들의 학습성취도를 파악하였으며, 대면실습과 비교하여 교과목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개발된 온라인 프로그램을 향후 응급환자간호 임상실습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남부대학교의 2020학년도 학술연구비를 지원받음.

References

  1. 질병관리청. 코로나19란?, http://ncov.mohw.go.kr/baroView.do?brdId=4&brdGubun=41/2020.10.27.
  2. 김영환, 이상수, 정희태, 박수홍(2003). 원격 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3. Sherry, L.(2000). The nature and purpose of online discourse: a brief synthesis of current research as related to the WEB project.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lecommunications, 7(1):19-51.
  4. 이상수(2004). 면대면 학습환경과 온라인 실시간/비실시간 학습환경에서의 상호작용 패턴 분석. 교육공학연구, 20(1):63-88.
  5. 간호교육인증평가원. 간호교육인증평가 기준집(학사/전문학사 학위과정). http://www.kabone.or.kr/kabon02/index04.php/2020.07.20.
  6. Chan, D.(2002). Development of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nventory: Us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learning environment studies to assess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the hospital as a learning environment. J Nurs Educ, 41(2):69-75. https://doi.org/10.3928/0148-4834-20020201-06
  7. 김연자, 정경화(2019). 임상실습에서 경험하는 응급상황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인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10):357-368. http://dx.doi.org/10.35873/ajmahs.2019.9.10.031
  8. 하도경, 성미혜(2018).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강인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7(4):215-223. http://dx.doi.org/10.5807/kjohn.2018.27.4.215
  9. 최순희, 소향숙, 최자윤, 유성희, 윤소영, 김명희, 송미옥(2014). 온라인 콘텐츠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Lab실-임상실습 혼합실습교육 연계가 학습성취에 미치는 효과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2):341-349. 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2.341
  10. 김해란, 최은영, 강희영, 김성민(2011). 시뮬레이션 기반 응급간호교육을 받은 간호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학습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1): 5-13.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1.005
  11. 박소미(2012). 호흡곤란 응급관리에 대한 시뮬레이션기반 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과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8(1):110-118
  12. 허혜경, 박소미, 신윤희, 임영미(2013). 간호학생을 위한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실습교과목 개발 및 적합성 평가.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9(2):228-240.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2.228
  13. 박수진, 김선정(2019). 팀 기반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문제해결과정, 의사소통 능력, 의사소통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지, 14(2):165-172. http://dx.doi.org/10.15715/kjhcom.2019.14.2.165
  14. Seels, B., & Richey, R.(1994). Instructional technology: Thedefinition and domains of the field, Washing, DC:AECT
  15. 김원경, 박정민, 윤소영, 권진희, 조명희(2020). 성인간호학실습3-학생용. 현문사.
  16. 장주연(2015). 대한심폐소생협회 기본소생술. 군자출판사.
  17. 조성남, 이현주, 주영주, 김나영(2011). 질적 연구방법과 실제. 도서출판 그린.
  18. 서연희, 엄미란(2017). 온라인 간호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임상실습간호교육의 효과: 특수 부서 임상실습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5):539-556.
  19. 채민정, 최순희(2016). 심정지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자신감, 비판적 사고 성향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8(4):447-458. https://doi.org/10.7475/kjan.2016.28.4.447
  20. 한미라(2019). 시뮬레이션 기반 성인간호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사역할 이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6):329-339. http://dx.doi.org/10.21184/jkeia.2019.8.13.6.329
  21. 경향신문. 온라인으로 어떻게 실습합니까?,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2004232142035#csidxd1f82f0485cac59918f031f2b815b8c/2020.04.23.
  22. Rodrigues, H., Almeida, F., Figueiredo, V., & Lopes, S.L.(2019). Tracking e-learning through published papers: A systematic review, Computers & Education, 136(1):87-98. https://doi.org/10.1016/j.compedu.2019.03.007
  23. 강지영(2020). 온택트 시대의 시뮬레이션 간호실습교육: 혼합방법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8):937-957. http://dx.doi.org/10.22251/jlcci.2020.20.18.937
  24. 오두남, 엄영란, 김춘미, 주세진, 최정현, 박명숙(2016).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 대처경험 의미있는 존재가 되기 위해 노력하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2(4):430-440. http://dx.doi.org/10.5977/jkasne.2016.22.4.430
  25. Broussard, L., & Wilson, K.(2018). Nursing faculty attitudes and practices related to online teaching.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9(1):40-42. https://doi.org/10.1097/01.nep.0000000000000208
  26. 오의금(2020). 포스트코로나 뉴노멀 시대의 간호의 전망과 대책. 성인간호학회지, 32(3): 221-222. http://dx.doi.org/10.7475/kjan.2020.32.3.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