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rsing program

검색결과 9,742건 처리시간 0.033초

청소년의 SNS 중독경향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Social Network(SNS) Addiction Tendency on Personal Relations)

  • 박공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70-179
    • /
    • 2019
  • 본 연구는 청소년의 SNS 중독 경향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경남 G시의 중 고등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t-test, ANOVA, 상관관계, 다중회귀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 점수는 성별(t=-2.25, p=.011), SNS사용기간(F=3.15, p=.015), 평균사용시간(F=15.87, p=.<001), SNS매체(F=3.12, p=.027), SNS매체 사용시간(F=6.58,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주요변수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SNS 중독경향성은 대인관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 영향요인은 SNS 중독경향성(${\beta}=-.64$, p=.<001)으로 37%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연 하고자 하는 대학생의 흡연동기, 흡연행동, 스트레스, 금연자기효능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moking Motivation, Smoking Behavior, Stress, and Self-Efficacy for Smoking Cessatio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 김희정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89-196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status, stress, self-efficacy for smoking cessation and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students who want to quit smoking. Methods : Data was collected in 2018 from 143 college students (101 males and 42 females) who were enrolled in the health clinic of N university. The average age was 21.95 yea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to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Results :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tress and the following factors: smoking motivation (r=.323, p<.001), smoking behavior (r=.329, p<.001),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r=-.312, p=.006).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elf-efficacy for smoking cessation and following factors: smoking motivation (r=-.278, p<.01), smoking behaviors (r=-.313, p<.001), and stress (r=-.324, p<.001).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moking motivation (r=-.345, p<.05), smoking behaviors (r=-.312, p<.01), and stress (r=-.265, p<.001). Self-efficacy for smoking cess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r=.421, p<.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following factors exert a significant influence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smoking motivation (${\beta}=-.376$, p=.001), smoking behaviors (${\beta}=-.233$, p=.008), stress (${\beta}=-.278$, p=.006), and self-efficacy for smoking cessation (${\beta}=.403$, p=.000).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the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who want to quit smoking a smoking cessation clinic at the university health clinic. However, since only some college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re ar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초등학생의 공격신념과 공격성에 대한 융합 연구: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convergence study of beliefs supporting aggression and aggression in elementary student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 유선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327-334
    • /
    • 2019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공격신념, 자아존중감, 공격성을 확인하고 관련성을 분석하여 아동의 공격성을 조절하고 효과적인 대처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D시와 C도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184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생의 공격성은 공격신념(r=.39,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자아존중감(r=-.46, p<.001)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초등학생의 공격신념은 자아존중감(${\beta}=.26$, p<.001)을 매개로 하여 공격성에 영향을 미쳤다. 즉 공격신념이 높게 되면 공격성이 높아지며, 자아존중감은 이들 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초등학생의 공격성을 조절하기 위한 중재방안을 마련할 때 공격신념을 조절하고,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전략도 함께 모색해야 한다.

아동병원간호사의 말초정맥주입 중요성 인식에 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Importance Awareness of Peripheral Intravenous Infusion among Children's Hospital Nurses)

  • 김정화;정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58-6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병원간호사의 말초정맥주입 관련 중요성 인식을 조사하고 중요성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128명의 아동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로 수집된 자료를 SPSS 21.0으로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아동병원간호사의 말초정맥주입 관련 중요성 인식 중 교육이 가장 낮았고, 손위생이 가장 높았다. 결혼상태, 근무부서, 직위 및 최종학력에 따른 중요성 인식 하위영역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1~.046), 교육과 말초정맥주입 중요성인식 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중요성 인식에의 영향요인은 교육(${\beta}=.446$)과 근무부서(${\beta}=.247$)이었고, 변수들의 설명력은 31.0%이었다(p<.001). 본 연구결과는 반복 연구 후 아동병원간호사의 말초정맥주입 중요성 인식 관련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우울, 자아존중감, 충동성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Depression, Self-esteem, and Impulsivity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of College Students)

  • 장선희;하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269-28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우울, 자아존중감, 충동성, 스마트폰 과의존간의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이들 요인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2개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 263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남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마트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beta}=.411$, p<.001), 충동성(${\beta}=.204$, p=.007)과 우울(${\beta}=.200$, p=.040)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스마트폰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마트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beta}=.630$, p<.001)과 충동성(${\beta}=.185$, p=.010) 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남녀 대학생의 충동성 조절 및 스마트폰에 대한 왜곡된 인식 변화를 통해서 남녀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예방하기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보건계열 학생의 환자안전 지식 및 수행 자신감 : 융복합적 접근 (The Knowledge and Confidence in Performance on Patient Safety among Health-Related Majors : Convergent Approach)

  • 이미향;박정희;배석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219-227
    • /
    • 2019
  • 본 연구는 보건계열 학생을 대상으로 환자안전 지식과 환자안전 수행자신감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보건계열학생 349명이 참여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환자안전지식 정답률은 평균 65.7%였다. 환자안전 수행자신감은 평균 $7.11{\pm}1.74$점이었으며 문항별로 살펴보면 환자확인이 높았으며 효과적 의사소통이 낮게 나타났다. 환자안전지식과 환자안전 수행자신감의 하부영역인 환자확인, 의사소통, 수술시술, 낙상, 환자안전사고보고는 양의 상관관계였고, 환자안전지식과 감염관리, 시설환경은 음의 상관관계였다. 보건계열학생들에게 임상실습 전 환자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높이고 안전한 임상실습이 수행될 수 있도록 환자안전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Process Evaluation of a Mobile Weight Loss Intervention for Truck Drivers

  • Wipfli, Brad;Hanson, Ginger;Anger, Kent;Elliot, Diane L.;Bodner, Todd;Stevens, Victor;Olson, Rya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0권1호
    • /
    • pp.95-102
    • /
    • 2019
  • Background: In a cluster-randomized trial, the Safety and Health Involvement For Truck drivers intervention produ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medically meaningful weight loss at 6 months (-3.31 kg between-group difference). The current manuscript evaluates the relative impact of intervention components on study outcomes among participants in the intervention condition who reported for a post-intervention health assessment (n = 134) to encourage the adoption of effective tactics and inform future replications, tailoring, and enhancements. Methods: The Safety and Health Involvement For Truck drivers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in a Web-based computer and smartphone-accessible format and included a group weight loss competition and body weight and behavioral self-monitoring with feedback, computer-based training, and motivational interviewing. Indices were calculated to reflect engagement patterns for these components, and generalized linear models quantified predictiv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on in intervention components and outcomes. Results: Participants who completed the full program-defined dose of the intervention had significantly greater weight loss than those who did not. Behavioral self-monitoring, computer-based training, and health coach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dietary changes, whereas behavioral and body weight self-monitoring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changes in physical activity. Behavioral and body weight self-monitoring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weight loss. Conclusion: Web-based self-monitoring of body weight and health behaviors was a particularly impactful tactic in our mobile health intervention. Findings advance the science of behavior change in mobile health intervention delivery and inform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grams for dispersed populations.

학과만족도와 자아정체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partment Satisfaction and Ego-Identity on College Life Adaptation)

  • 장현정;이윤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93-99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자아정체감, 지각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 정도를 알아보고,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학교 신입생 210명을 연구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WIN22.0 프로그램으로 하였다. 대학생활적응과 학과만족도(r=.216, p<.001), 자아정체감(r=395, p<.001)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대학생활적응을 예측하는 모형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F 통계값은 12.22, 유의확률은 .000으로 제변수들이 유의수준 0.1에서 대학생활적응을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대학생활적응도를 44%가 제변수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제변수들을 고려하여 대학생활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대학생들의 적응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년 여성의 청소년 자녀 양육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 (Adolescent Parenting 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of Middle Aged Women)

  • 성경미;이승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267-27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자녀를 둔 중년 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에 대해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청소년 양육 스트레스를 경험한 중년 여성 197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1일부터 2018년 9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WIN 28.0으로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 자녀 양육스트레스는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으나 외상 후 성장은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청소년 자녀 양육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반복연구를 통해 향후 중년 여성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와 외상 후 성장을 돕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직간호사의 사회적 지지, 감정노동과 주관적 건강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urnover nurses' social support, emotional labor and subjective health on resilience)

  • 권명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25-31
    • /
    • 2019
  • 간호사의 잦은 이직은 의료계의 큰 어려움 중 하나로, 본 연구는 이직간호사의 사회적지지, 감정노동과 주관적 건강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자는 이직간호사 70명으로, 자료 수집은 2018년 11월 1일부터 11월 10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회복탄력성은 업무만족과 주관적 건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회복탄력성은 사회적지지, 주관적 건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5). 3)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준 요인은 업무만족과 사회적 지지로 그 설명력은 44.1%로 나타났다(F=9.93, p<.001).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켜 이직을 감소시키고 임상에의 적응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이직간호사의 회복탄력성 향상 중재 시 이러한 영향요인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