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ri Education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6초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한 증강현실 독후활동 애플리케이션 및 수업 모형 설계 제안 (A Proposal for the Design of Augmented Reality Reading Activity Application and Class Model Based On Nuri Curriculum)

  • 김서영;김태우;이경업;조유빈;김정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355-360
    • /
    • 2023
  • 최근 디지털의 발달로 아동들은 미디어 매체에 많이 접하고 있다. 독서 활동이 줄어 책에서의 정보를 습득하거나 습득한 정보를 정리하고 기억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 증강현실이 접목된 교육이 학습에 대한 아동의 참여도와 몰입도를 높이므로, 우리는 아동의 독서 흥미도와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 증강현실 기술이 도입된 독후활동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였다. 또한, 5가지의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들어갈 놀이 중심의 독후활동을 설계하였다. 애플리케이션 제안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 수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놀이 중심의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수업 모형 설계에 따른 개념적인 사고의 틀을 분석하기 위해 실제 어린이집을 방문하고 전문가가 참관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참관한 전문가들에게 독후활동 수업 모델 및 운영의 적합성 검토를 위해 미리 제작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우리의 수업 모형 설계는 한정된 도서의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윤리상의 문제로 아동 대상으로 대규모 실험을 진행하지 못하여 연구의 결과가 전체를 대표할 수 없다. 하지만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독후활동 수업 운영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Young Children Teacher's Application Experience and Utilizing Observation of Digital Device

  • Kim, Dae-Wook;Song, Yun-K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126-13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experience and observation of young children's teachers' digital devic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 young children teachers using digital devices.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as a data collection method. It was conducted 2-3 times per research participant.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20. The Data analysis was focused on the young children's teachers' digital device application experience and observation use. 'Easy and simple use', 'using existing familiar apps', 'providing healing to teachers', and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spare time' were derived as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of applying digital devices. 'Easy use of observation records', 'Use together in various ways', 'Use for parent counseling', 'Use appropriate for observation of revised Nuri Curriculum' through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of observing digital devices ' was derived.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first, it is easy for young children's teachers to apply digital devices to the field. Second, if young children's teachers use digital devices, they can make a wide range of observations, enabling high-qua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es.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 실행의 관점에 관한 연구: OECD 6개국의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spectives of Implementing National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Comparison with 6 OECD Nations' National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 정선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47-164
    • /
    • 2014
  • 본 연구는 OECD 국가인 호주, 뉴질랜드, 스웨덴, 노르웨이, 영국, 한국의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 정의 실행 관점을 '충실도', '상호적응', '생성'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비교의 내용은 각국 영유아보육과정의 명칭, 문서의 목적, 학습 및 발달 목표, 적합성 검토 방법, 자체 영유아보육과정 수립의 자율성, 영유아보육과정 설계 과정, 실행자료 지원의 7가지 영역이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를 제외한 국가의 영유아보육과정의 실행은 '상호적응'과 '생성'의 관점에 기반으로 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은 '상호적응'의 관점에서 실행을 지향하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충실도'의 관점에서 실행이 일어나도록 하고 있다. 향후 개발될 0-5세 통합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은 '충실도'의 관점을 벗어나 '상호적응' 혹은 '생성'의 관점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그 관점을 확대시킬 필요성이 제기된다.

세대통합 유아인성교육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the Intergenerational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 이경민;이은희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5-136
    • /
    • 2017
  • 본 연구는 유아-노인 세대통합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세대 통합 인성교육프로그램에 관련 선행연구 탐색을 기초로 누리과정과 연계를 고려하여 유아-노인간 인성체험활동을 구성하여 실행하였다. 연구대상은 3세 유아 28명(실험집단 14명, 통제집단 14명)과 지역내 거주하는 70대 노인 6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유아의 인성검사는 정선영(2015), 배윤진(2007)의 유아 인성 평가 도구를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인성교육중심 노인-유아 세대통합프로그램은 효, 질서, 협력, 배려, 존중, 나눔 순으로 유아의 인성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노인-유아 세대통합 체험활동이 유아의 인성을 함양할 수 있으며 우리 사회 고유의 미덕을 계승할 수 있는 긍정적인 교육프로그램임을 확인해 주었다.

벼 근권 유래 질소고정세균의 특성과 항진균 활성 (Characterization of Diazotrophs Isolated from Rice Rhizosphere and Their Antifungal Activities)

  • 정다은;이수진;설경조;박유미;김사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0-184
    • /
    • 2006
  • Nineteen nitrogen-fixing bacteria were isolated from rice roots cultiv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mong them, three isolates - Stenotrophomonas sp. KNUC89, Pseudomonas sp. KNUC116, and Delftia sp. KNUC133 - showed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Rhizoctonia solani and Fusarium oxysporum. Besides they could produce auxin and siderophores.

초등 과학 교육과정의 변화와 쟁점 - 물리 영역을 중심으로 - (Changes and Issues Regarding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Focusing on Physics)

  • 변태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2호
    • /
    • pp.217-235
    • /
    • 2022
  • 본 연구는 차기 교육과정 개정을 앞둔 시점에서 지난 몇 차례 동안의 초등학교 물리 영역에서의 교육과정 변화를 분석하고 초등 과학 교육과정의 쟁점을 논의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제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내용 요소의 변화를 분석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후 수행된 교육과정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물리교육 전공 교수 3인이 교육과정 분석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제7차 교육과정 이후의 초등 물리 교육과정은 전반적으로 내용이 축소되거나 어려운 개념들이 삭제하거나 상위 학교급으로 이동하는 형태로 변화가 이루어졌다. 과학 교육과정 쟁점은 현 교육과정의 내용 적정성과 난이도, 수학 교과와의 연계성, 누리과정과 초등 1,2학년 통합 교육 과정과 연계문제, 성취기준 서술어 문제를 다루었다.

로봇놀이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자발적 질문 빈도 및 상관관계 분석 -STEAM 요소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frequency and correlation of voluntary questioning of children in robot play - Focus on the elements of STEAM -)

  • 남기원;이은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385-392
    • /
    • 2022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도래한 우리 사회에 필요한 창의·융합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융합교육을 강조하며, STEAM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2019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유아중심·놀이중심에 기반하여 유아의 놀이지원을 위한 로봇활용에 대한 연구로서 만 3, 4, 5세 유아가 교육용 로봇 '터틀'을 활용하여 놀이하는 상황에서 발생한 자발적인 질문을 STEAM 요소로 분류한 후 빈도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같은 로봇에 대한 유아들의 질문을 연령별로 수집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STEAM 요소별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융합교육방향을 설정하는데 가치가 있다.

은유(metaphor)분석을 통한 예비유아교사들의 놀이중심교육에 대한 인식연구 (A Study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lay-oriented Education through Metaphorical Analysis)

  • 김혜윤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357-362
    • /
    • 2023
  • 본 연구는 은유분석을 통해 놀이중심교육에 대해 예비유아교사들이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는지 조사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이 생각하고 있는 놀이중심교육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C시에 소재한 4년제 및 3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예비유아교사들로 최종 183명이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로 놀이를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그 이유를 서술하도록 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체계적 은유분석 단계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놀이중심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은유적 표현 범주에서 교수학습방법이 가장 많았으며, 환경, 즐거움·행복, 자율, 성장발달, 상호작용관계, 유아주도, 삶의 본, 흥미, 창의성, 잠재력, 가변성, 일상, 시작과 끝의 모호성, 자연스러움, 기타 순으로 분류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중심교육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예비유아교사교육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것이다.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Scale in the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 Focusing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이은지;김지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3-50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scal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to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A literature review and a delphi survey were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conceptu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 a preliminary questionnaire. A main survey was conducted on 375 early childhood teacher to test their item quality, validity and reliability. Results: The final scale was composed of 24 items with four factors: 'support for child-centered play environment and interaction' (7 items), 'use of learning community' (4 items),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with family and local community' (6 items), and 'flexible daily management' (7 items). And the scale was verified as a stable and reliable tool. Conclusion/Implications: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children's education and to actively realize the autonom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기록작업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Documentation Model for the Practice of Early Childhood and Play-oriented Curriculum)

  • 문서연;김진욱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7-117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documentation model that can support early chlildhood learning through play and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and play-oriented curriculum. Methods: This study utilized the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to derive components for the model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vestigation research. In addition, the model was gradually improved through the 3rd expert review, and the validity of the model was verified through usability evaluation with 10 early childhood teachers. Results: This study identified 13 components and developed a flexible, selective, repetitive, and cyclic documentation model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Model development is embodied and presented as a model-detailed model-detailed content. The model is presented in detail in the study. Conclusion/Implications: The documentatio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guidance to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erve as a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document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present the practical direction of records for play support for teachers in the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