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 Documentation Model for the Practice of Early Childhood and Play-oriented Curriculum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기록작업 모형 개발

  • Received : 2022.12.15
  • Accepted : 2023.04.01
  • Published : 2023.04.30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documentation model that can support early chlildhood learning through play and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and play-oriented curriculum. Methods: This study utilized the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to derive components for the model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vestigation research. In addition, the model was gradually improved through the 3rd expert review, and the validity of the model was verified through usability evaluation with 10 early childhood teachers. Results: This study identified 13 components and developed a flexible, selective, repetitive, and cyclic documentation model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Model development is embodied and presented as a model-detailed model-detailed content. The model is presented in detail in the study. Conclusion/Implications: The documentatio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guidance to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erve as a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document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present the practical direction of records for play support for teachers in the field.

Keywords

References

  1. 강지혜, 박태정 (2021). 설계.개발연구와 설계기반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주제범위 문헌고찰. 교육공학연구, 38(3), 661-698. https://doi.org/10.17232/KSET.38.3.661
  2. 강진주 (2014). 만 5세 장미반 교사의 기록화 과정과 교사 역할에 대한 인식의 변화 경험. 인문학논총, 35, 73-111.
  3. 강진주 (2015). 기록화 과정에서 실행연구자로서 유아교사의 역할. 인문학논총, 39, 373-404.
  4. 강진주, 고은경 (2018). 유아의 참여권 신장을 위한 교육적 접근으로써 기록화의 가능성: 기록화에서 유아의 참여역할에 관한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3), 751-774.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3.751
  5. 경기도교육청 (2019). 놀이중심 교육과정 심화자료: 놀이 2019, 놀이로 유아의 삶을 담다. 경기도교육청.
  6. 교육부 (2019). 교육부 고시 제2019-189호 유치원 교육과정. 교육부.
  7.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a).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 보건복지부.
  8.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b).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이해자료. 교육부, 보건복지부.
  9.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c).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 교육부, 보건복지부
  10. 김경철 (1999). 기록화를 통한 유아평가 방법. 열린유아교육연구, 4(1), 21-43.
  11. 김경철, 김안나 (2009). 기록 작업을 통한 교사의 귀 기울이기. 열린유아교육연구, 14(2), 67-89.
  12. 김보은 (2014). 기록작업을 하는 유아교사의 교수지원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상희 (2021). 대학 융복합수업의 주제 개발 원리 도출 및 모형 개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김선옥, 정명숙, 홍승미, 박지영, 김예지, 김혜령, 권나리, 박혜원 (2020). 놀이와 기록이 만나다. 공동체.
  15. 김영주 (2014). 자연친화교육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량모델 개발. 인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김영천 (2016). 질적연구방법론 I: Bricoleur. 아카데미프레스.
  17. 김은숙, 한미라 (2009). 레지오 에밀리아 적용 유치원 교사들의 기록에 대한 인식. 교육이론과 실천, 18, 47-79.
  18. 김은영, 임부연, 강은진, 고영미, 김진숙, 문무경, 이경화, 이미화, 이완정, 이정욱, 정선아 (2019). 누리과정 개정 정책 연구. 교육부, 충청남도교육청, 육아정책연구소.
  19. 김지성 (2021). 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에서 교사들이 마주하는 어려움과 배움. 한국교원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 김진수 (2007). 공학교육연구 논문들에 대한 연구방법론과 내용의 분석. 공학교육연구, 10(2), 19-43. https://doi.org/10.18108/jeer.2007.10.2.19
  21. 노연서 (2018). 교육현장이 다른 교사와 나의 레지오 기록작업 함께 읽기.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류재홍 (2009). 수질모니터링에 기초한 탐구중심 환경교육 모형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민현지 (2021).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어려움 -공립유치원 교사를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박보영, 정선아 (2021). 영유아교육에서 관찰과 기록의 차이 탐구: 영유아 관찰. 레지오 에밀리아교육의 기록, 개정 누리과정 놀이 관찰과 기록을 중심으로. 어린이교육비평, 11(2), 71-105. https://doi.org/10.26834/kscice.2021.10.15.71
  25. 박선희 (2006). 기록작업을 기반으로 하는 미술교사와 유아교사의 교육공동체 형성: 미술교사의전문성과 변화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6(2), 263-282.
  26. 박성경 (2020). 레지오유치원 교사의 기록작업을 통한 성장: 자서전적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박소연 (2016). 유아의 놀이를 기록하는 교사의 경험.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박지희 (2021).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의 역할 이해와 놀이지원방안: 놀이지원자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25(3), 55-82. https://doi.org/10.32349/ECERR.2021.6.25.3.55
  29. 박찬옥, 정남미, 곽현주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영유아 놀이지원 놀이지도. 양성원.
  30. 배윤진, 강은진, 엄지원 (2020). 누리과정 효과성 분석 연구(III): 유아관찰앱 개발 및 적용. 육아정책연구소.
  31.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5). 교육학용어사전. 하우동설.
  32. 서정아 (2001). 유치원 수행평가 결과의 기록과 활용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성용구 (2002).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 다큐멘테이션(Documentation)의 교육적 가치. 초등교육연구논총, 18(2), 321-350.
  34. 송승민, 박인영, 김미옥, 이순희 (2020). 개정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중심.경험중심 놀이지도. 공동체. 
  35. 신윤원 (2010). 유치원 교사의 기록 작업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신현자 (2000). 물 프로젝트 활동에서 기록화를 통한 유아의 사고과정 변화 연구. 한국교원대학교석사학위논문.
  37. 엄정애 (2009). 영유아 놀이와 교육. 교문사.
  38. 오문자 (2015). 레지오 알아가기: 한국에서 레지오 교육의 재구성. 정민사.
  39. 옥스퍼드 영어사전 (n.d.). model. https://endic.naver.com/ 에서 2022년 11월 9일 인출
  40. 우혜민 (2020). 놀이와 놀이중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윤민아 (2019).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에 대한 어려움과 현장 지원 요구. 유아교육연구, 39(3), 5-30.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3.001
  42. 이상하 (201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평가에 관한 교사의 인식 및 현황. 성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이영만 (2007).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 기록 작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적용실태.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이영태 (2013). 집단지성 기반의 학습환경 설계원리 및 모형 개발: 공학교육에서의 창의설계 능력향상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5. 이은지, 김지현 (2022).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2019 개정 누리과정을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8(1), 23-50. https://doi.org/10.14698/jkcce.2022.18.01.023
  46. 이정환, 박은혜 (1995). 교사들을 위한 유아 관찰 워크북. 새세대육영회.
  47. 이진희 (2012). 유아평가의 의미 만들어가기를 위한 실행연구. 유아교육연구, 32(1), 5-29. https://doi.org/10.18023/kjece.2012.32.1.001
  48. 이홍민, 김종인 (2003). 핵심역량 핵심인재. 리드리드출판.
  49. 임진영 (2009). 기록작업을 통한 교사의 사고와 행동의 변화과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장선영, 이정주 (2015). 대학에서의 팀기반 학습 설계모형 개발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6(1), 271-302. https://doi.org/10.15753/AJE.2015.16.1.012
  51. 전미연 (2018). 실제적 학습 기반 자유학기제 수업설계 모형 개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2. 정효진 (2018). 레지오 에밀리아 유치원 교사들의 기록작업에 관한 경험과 의미. 성신여자대학교박사학위논문.
  53. 주형석, 이규건 (2014). 프로그래밍 논리 학습을 위한 순서도 작성 기법. 북스홀릭.
  54. 지옥정, 장희선 (2010). 프로젝트 접근법 수행을 위한 유아교사의 핵심역량 도출. 한국영유아보육학, 62, 261-281.
  55. 채승연 (2020). 2019 개정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과 현실적 딜레마.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6. 한석실 (2015). 논문분석을 통한 유아평가 방법 탐색. 유아교육연구, 35(2), 73-95. https://doi.org/10.18023/KJECE.2015.35.2.004
  57. 한솔어린이보육재단, 오문자 (2018). 기록작업을 통해 다시 만난 어린이. 레지오 정신을 토대로 한 도담도담 이야기1. 어가.
  58. 한수민 (2014). 실천적 지식 구성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가족생활교육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9. 홍경선 (2007). 성찰게시판을 활용한 학습자중심 수업평가 방안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7(1), 449-471.
  60. 황아름 (2018). 절차적 사고를 위한 순서도 교수 학습 방법 및 적용.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1. Alvestad, T., & Sheridan, S. (2015). Preschool teachers' perspectives on planning and documentation in preschool.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5(3), 377-392. https://doi.org/10.1080/03004430.2014.929861
  62. Aljabreen, H. (2020). Montessori, Waldorf, and Reggio Emilia: A Comparative Analysis of Alternative Mode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52(3), 337-353. https://doi.org/10.1007/s13158-020-00277-1
  63. Barnett, L. A. (1990). Developmental benefits of play for childre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2(2), 138-153. https://doi.org/10.1080/00222216.1990.11969821
  64. Fyfe, B. (1998). Questions for Collaboration: Lessons from Reggio Emilia. Canadian Children, 23(1), 20-24.
  65. Carr, M. (2001). Assessment in early childhood settings: Learning Stories. Sage Publications Ltd. 1-224.
  66. Daly, S. R, Yilmaz, S., Christian, J. L., Sefert, C,. M., & Gonzalez, R. (2012). Design heuristics in engineering concept gener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101(4), 601-629. https://doi.org/10.1002/j.2168-9830.2012.tb01121.x
  67. Ellis, T., & Levy, Y. (2010). A guide for novice researchers: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s. Proceedings of Informing Science & IT Education Conference, 10(10), 107-117. https://doi.org/10.28945/1237
  68. Given, H., Kuh, L., LeeKeenan, D., Mardell, B., Redditt, S., & Twombly, S. (2009). Changing school culture: Using documentation to support collaborative inquiry. Theory into practice, 49(1), 36-46. https://doi.org/10.1080/00405840903435733
  69. McNally, S. A., & Slutsky, R. (2017). Key elements of the Reggio Emilia approach and how they are interconnected to create the highly regarded syste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7(12), 1925-1937. https://doi.org/10.1080/03004430.2016.1197920
  70. Mitchell, L. M. (2007). Using technology in Reggio Emilia-inspired programs. Theory into Practice, 46(1), 32-39. https://doi.org/10.1080/00405840709336546
  71. Richey, R, C., Klein, J., & Nelson, W. (2004). Developmental research: Studies of instructional design and development. In D. Jonassen (Ed.), Handbook of research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2nd ed.) (pp. 1099-1130).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72. Rita C. Richey, James D. Klein. (2012). 교육공학연구를 위한 설계.개발연구(정현미, 김광수 역), 학지사. (원판 2007) 
  73. Seels, B. B., & Richey, R. C. (1994).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s of the field.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74. Schroeder-Yu, G. (2008). Documentation Ideas and applications from the Reggio Emilia approach. Teaching Artist Journal, 6(2), 126-134. https://doi.org/10.1080/15411790801910735
  75. Shen, X. S., Chick, G., & Zinn, H. (2014). Playfulness in adulthood as a personality trait: a reconceptualization and a new measurement. Journal of Leisure Research, 46(1), 58-83. https://doi.org/10.1080/00222216.2014.11950313
  76. Shillady, A. (2013). Using Documentation and Assessment to Support Children's Learning. YC Young Children, 68(3), 6-7.
  77. Turner, T., & Wilson, D. G. (2009). Reflections on documentation: A discussion with thought leaders from Reggio Emilia. Theory into Practice, 49(1), 5-13. https://doi.org/10.1080/00405840903435493
  78. Tracey, M. W. (2001).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n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model incorporating multiple intelligenc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ayne States University.
  79. Van den Akker, j. (1999). Principel and methods of development research. In j. van den Akker, R. M. Branch, K. Gustafson, N. Nieveen & T. Plomp (Eds.) Design approaches and tools in education and training (pp. 1-14). Kluwer Academic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