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ticing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18초

Utilizing Teacher Noticing within a Representation of an Elementary Engineering Lesson to Support Responsive Teaching in the Classroom

  • Estapa, Anne;Tank, Kristina M.;DuPont, Michael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201-228
    • /
    • 2021
  • Teacher noticing has been termed consequential to teaching because what you see and do not see impacts decisions made within the classroom. Further, how a teacher responds to student thinking depends on what a teacher sees in student thinking. Within this study we sought to understand what teachers noticed within an engineering lesson and the decisions made as a result of that noticing. Findings indicate that student teachers and cooperating teachers drew on their pedagogical knowledge for decisions, rather than taking up the integrated content of student thinking and understanding. These findings serve as a guide for the experiences needed to engage in the complex work of teaching or, more specifically, implementing engineering into instruction through a responsive teaching fram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Teachers' Noticing and Responsive Teaching: In the Context of Teaching for All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 Hwang, Sunghw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91-97
    • /
    • 2022
  • Competent mathematics teachers need to implement the responsive teaching strategy to use student thinking to make instructional decisions. However, the responsive teaching strategy is difficult to implement, and limite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traditional classroom settings. Therefore, we need a better understanding of responsive teaching practices to support mathematics teachers adopting and implementing them in their classrooms. Responsive teaching strategy is connected with teachers' noticing practice because mathematics teachers' ability to notice classroom events and student thinking is connected with their interaction with students. In this regard, this review introduced and examined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teachers' noticing and responsive teaching: In the context of teaching for all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conducted by Kim et al. (2017).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Noticing and Evaluation of Digital Mathematical Resources

  • Sheunghyun Ye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105-120
    • /
    • 2023
  • With the rapid advance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recent studies have connected teachers' professional noticing with the use of digital resources in mathematical instructions. In this study, I examined elementary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attending and interpreting a mathematical software, ST Math, in the exploring and implementing phas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preservice teachers paid attention to visual representations and manipulation prior to interactions with children and further took into consideration on task structures and situated context after interactions. They interpreted the events based on connected mathematical knowledge of prior interactions and further reflected on the progression of problem-solving strategies and sequence of tasks. In addition, four distinctive profiles of transitioning of evaluation on ST Math activities were identified with illustrations. Implications for noticing and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학습 공동체의 맥락에서 일어나는 교사의 노티스(Noticing) (Teacher Noticing in the Context of a Learning Community)

  • 권나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139-15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체의 맥락에서 일어나는 교사 학습을 관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공동체에서 교사가 노티스(주목) 하는 것의 종류와 공동체를 구성하게 한 파트너십의 역할에 관한 연구 문제를 제기하였다. 본 연구에서 관찰한 학습 공동체는 PRIME이라는 전문성 발달 프로젝트를 통해 대학과 학교간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생성된 팀들 가운데 하나로 세 명의 멘토교사와 세 명의 예비교사, 한 명의 대학에서 온 감독관이 참여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학교에서의 미팅은 오디오 녹음으로 자료화하고 관찰 노트와 인터뷰 등의 여러 자료를 내러티브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가자들은 학습 공동체에서의 활동을 통하여 교실 활동 상황을 포함한 교수 학습에 관한 활동과 자신들의 교수 학습에 관한 신념 등을 새롭게 노티스하게 되었다. 파트너십은 교사들 간의 관계를 강화하고 임무를 할당하며 다양한 공동체를 구성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였다.

수학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학급 학생들의 통계적 변이성 인식 수준 비교 연구 (A Comparison of Mathematically Talented Students and Non-Talented Students' Level of Statistical Thinking: The Noticing of Statistical Variability)

  • 고은성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387-40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변이성 인식 능력을 중심으로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통계적 사고 수준을 비교한다. 연구결과 측정상황에서 중학교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초등학교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우연상황에서도 중학교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초등학교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수준별 빈도를 조사한 결과 수학영재학생들의 사고 수준이 상위 수준에 집약되어 분포하기보다는 일반학생들의 사고 수준이 상당부분 중첩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수학영재학생들에게 통계를 지도하는 데 있어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초등예비교사의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 비율 수업을 중심으로 (Pre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Curricular Noticing: Focusing on the Lesson Planning for Rate)

  • 조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4권2호
    • /
    • pp.83-102
    • /
    • 2021
  •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은 교사가 교육과정 자료에 내재된 내용과 교수학적 기회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는지에 관한 것이다.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에서 교육과정 자료의 어떤 측면에 관심을 기울이고 그것에 관해 어떻게 해석하는지에 따라 교육과정의 실행 모습이 달라지기 때문에, 예비교사교육에서는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해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의 과정 중 관심을 기울이고 해석하는 과정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예비교사가 비율 수업을 설계하기 위하여 교육과정 자료를 활용할 때 관심을 기울이는 대상을 찾고, 그것에 관해 어떻게 해석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른 논의를 통해 초등예비교사의 수업 설계 역량 신장을 위해 예비교사교육에서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을 활용하는 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등호의 관계적 이해를 강조한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의 노티싱 분석 (Analysis of student noticing in a lesson that emphasizing relational understanding of equals sign)

  • 이유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3호
    • /
    • pp.341-362
    • /
    • 2023
  •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등호의 관계적 이해를 강조한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의 노티싱을 초점의 중심, 집중하는 상호작용, 수학 과제, 수학 활동의 본질의 네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지도방안을 등호를 처음 도입하는 1학년 덧셈과 뺄셈 단원에 적용하여 등호의 관계적 이해를 강조한 수업을 실행하고, 이 과정에서 나타난 학생의 노티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제 수업 맥락에서 초점의 중심은 등식의 구조와 과제 형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교실 관행 등에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학생이 등호를 관계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 특정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크기가 같은 두 양에 주목하는 경우와 양변의 관계에 주목하는 경우 등식을 관계적으로 추론할 수 있었던 것과 같이 등식에 대한 학생의 노티싱은 등식을 추론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등호의 지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등차수열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의 수학 주목하기 (Students' mathematical noticing in arithmetic sequence lesson)

  • 조민수;이수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8권1호
    • /
    • pp.69-92
    • /
    • 2024
  • 본 연구는 수열에 대한 학생의 두 가지 인식을 바탕으로 고등학교 수열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의 수학 주목하기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수학 주목하기를 초점의 중심, 초점을 유발하는 상호작용, 수학 과제의 특징, 수학 활동의 본질의 네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우선 초점의 중심 변화 양상은 '초점을 유발하는 상호작용', '물질적 자원', '수학 활동의 본질' 중 어떤 한 구성요소만으로는 유일하게 묘사될 수 없었다. 다음으로 수학 주목하기 구성요소 간의 상호작용이 식별되었으며, 소집단 활동에서의 교사의 개별 피드백은 초점의 중심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동일 교실, 즉 동일 초점을 유발하는 상호작용, 물질적 자원, 수학 활동의 본질 내에서도 서로 다른 두 가지 추론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가 마중물이 되어 수열에 대한 학생의 이해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길 기대한다.

분수의 나눗셈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노티싱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n elementary teachers' noticing in fraction division lessons)

  • 선우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7권1호
    • /
    • pp.1-18
    • /
    • 2024
  • 교사의 노티싱 역량은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서 다양하게 연구되었다. 그러나 수학 교사 교육 연구에서는 주로 예비교사의 노티싱을 조사한 사례가 많은 반면에 전문성을 갖춘 현직교사의 노티싱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성을 갖춘 현직 초등교사들의 노티싱 특징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대학원에서 초등수학교육 전공 강의를 수강하는 초등교사 23인에게 (진분수)÷(자연수)의 원리를 지도하는 수학 수업 영상 한 차시를 시청하며 분석지를 작성하게 했고, 그 결과를 주목하기, 해석하기, 반응하기의 측면으로 자세히 분석했다. 연구 결과, 대다수의 교사들은 분수의 나눗셈 수업에서 수학적으로 중요한 측면을 선택적으로 주목하였고, 분수의 나눗셈 지도에 대한 교수·학습 원리를 토대로 자신이 주목한 현상을 해석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구체적인 교수학적 대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직교사의 노티싱 신장을 위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Examining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s' Noticing of Multicultural Contents in Mathematics Textbooks

  • Hwan, Sunghwan;Cho, Eunhye;Albert, Lillie R.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3권2호
    • /
    • pp.93-11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explored how 10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noticed multicultural content in a mathematics textbook. Building upon noticing framework (Jacobs, Lamb, & Philipp, 2010), we first examined teachers' attention toward multicultural content in a mathematics textbook. Then, we examined teachers' interpretation of the content. We employed a content analysis approach to examin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st mathematics teachers held a content integration perspective. Their view was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referred to learning about the diverse cultures of different countries. Moreover, although they noticed some multicultural content in the textbook, they wanted to discuss them in superficially descriptive ways and avoid talking about social justice issues. Additionally, some teachers believed that mathematics is a culture-free subject. They argued that multicultural content should not be presented in mathematics textbooks. We also discussed uncommon themes, which were reported by only a few mathematics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