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ized Plants

검색결과 538건 처리시간 0.019초

경상남도 창원천과 남천의 관속식물상과 특성 (The Characteristics and Flora of Changwon and Nam Stream Located in Gyeongsangnam-do)

  • 박경훈;유주한;윤영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12-2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present the raw data for restoring and maintaining an urban stream by objective surveying and analysing about flora in Changwon stream and Nam stream, Changwon-si, Gyeongsangnam-do,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248 taxa; 71 families, 184 genera, 220 species, 26 varieties and 2 forma.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by streams were 202 taxa in Changwon stream and 206 taxa in Nam stream. The endemic plant was Salix pseudolasiogyne.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t Service were 2 taxa; Aristolochia contorta and Koelreuteria paniculata.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12 taxa; Aphananthe aspera, Artemisia selengensis, Indigofera pseudotinctoria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37 taxa; Ailanthus altissima, Amaranthus patulus, Amorpha fruticosa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4 taxa;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Aster pilosus, Rumex acetocella and Solanum carolinense. The UI (Urbanized Index) and NI (Naturalized Index) were 13.6% and 18.3% in Changwon stream and 13.6% and 17.9% in Nam stream.

충남 오서산과 봉수산의 식물상 및 관리방안 (Management Methods and Vascular Plants of the Ohseosan and the Bongsusan, Chungnam)

  • 오현경;김동필;오구균;강기래;배중남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63-81
    • /
    • 2013
  • The vascular plants in the Ohseosan and the Bongsusan, Chungnam were listed 439 taxa (9.0% of all 4,881 taxa of vascular plants); 95 families, 268 genera, 339 species, 5 subspecies, 75 varieties and 20 forms. Furthermore, the Ohseosan were listed 339 taxa and the Bongsusan were listed 306 taxa. So, Hemicryptophytes (H) were 107 taxa (24.4%), Therophytes (Th), Geophytes (G) same as were 82 taxa (18.7%) showed high proportional ratio in life form. Based on the list of rare plants, 4 taxa; Aristolochia contorta, Viola albida, Scutellaria insignis (LC) and Scrophularia koraiensis (DD) and endemic plants, 8 taxa; Aconitum pseudolaeve, Ajuga spectabilis, etc. Based on the list of specific plants, 35 taxa; Wisteria floribunda for. floribunda in class IV, 5 taxa (Scutellaria insignis, Scrophularia koraiensis, etc.) in class III, 5 taxa (Acer triflorum, Cymopterus melanotilingia, etc.) in class II, 24 taxa (Pyrus ussuriensis var. ussuriensis, Campanula punctata, etc.) in class I. Based on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9 families, 20 genera, 24 taxa (Persicaria orientalis, Carduus crispus, etc.) and ecosystem disturbing plants were Rumex acetocella, Ambrosia artemisiifolia. Naturalization rate was 5.5% of all 439 taxa of vascular plants and urbanization index was 7.5% of all 321 taxa of naturalized plants. In particular, for rare plants, in and ex-situ conservation of genetic resources must surely be done, by preserving present natural habitats, discovering additional natural habitats and securing seeds. Moreover, ecosystem disturbing plants require long-term monitoring and consistent management, since not only do they disturb the ecosystem in competition with Korean native species, but damage humans, too.

북한산국립공원 주요지역의 관속식물상 -북한산 둘레길, 진관내동 습지, 북한동 철거지를 대상으로- (Vascular Plants of Major Sites in Bukhansan National Park -A Case Study on Bukhansan Dulegil, Jingwan-dong Wetland, Bukhan-dong Cheolgeoji-)

  • 오현경;한윤희;조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5-51
    • /
    • 2012
  • The vascular plants in Bukhansan Dulegil, Jingwan-dong Wetland and Bukhan-dong Cheolgeoji were listed 432 taxa (8.9% of all 4,881 taxa of vascular plants); 95 families, 274 genera, 345 species, 2 subspecies, 69 varieties and 16 forms. Divided into woody plants were 145 taxa (33.6%) and herbaceous plants were 287 taxa (66.4%). The Bukhansan Dulegil were listed (Myeongsang-gil 159 taxa, Huingureum-gil 227 taxa, Wooyiryeong-gil 216 taxa, Banghakdong-gil 139 taxa, Boru-gil 199 taxa), Jingwan-dong Wetland were listed 147 taxa and Bukhan-dong Cheolgeoji were listed 129 taxa. Based on the list of rare plants by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were Viola albida Palibin (Violaceae), Iris minutiaurea Makino (Iridacea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were endemic plants, Philadelphus schrenkii Rupr. var. schrenkii (Saxifragaceae), Weigela subsessilis L.H. Bailey (Caprifoliaceae). Based on the list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total 22 taxa; Wisteria floribunda DC. for. floribunda in class IV, 3 taxa (Betula davurica Pall., Mukdenia rossii Koidz., Glechoma grandis Kuprian., etc.) in class III, 5 taxa (Acer triflorum Kom., Viola orientalis W. Becker, Heloniopsis koreana Fuse & Al., etc.) in class II and 13 taxa (Camptosorus sibiricus Rupr., Clematis patens C. Morren & Decne., Cirsium pendulum Fisch. ex DC., etc.) in class I. Based on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16 families, 35 genera, 37 species, 3 varieties, 1 form, total 41 taxa (Rumex crispus L., Abutilon theophrasti Medicus,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etc.), naturalization rate was 9.5% of all 432 taxa of vascular plants and urbanization index was 13.3% of all 309 taxa of naturalized plants. Ecosystem disturbing wild plants were 5 taxa; Rumex acetocella L., Ambrosia artemisiifolia L., Ambrosia trifida L. var. trifida, Eupatorium rugosum Houtt., Aster pilosus Willd.

백암산(강원, 홍천)일대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t. Baegam (Hongcheon-gun, Gangwon-do))

  • 천경식;김경아;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1-188
    • /
    • 2016
  • 강원도 홍천군에 위치한 백암산(1,099 m) 일대의 관속식물상을 2014년 3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증거 표본에 의해 확인된 관속식물은 90과 293속 435종 5아종 58변종 8품종으로 총 506분류군이었다. 조사된 식물 중 한국특산식물은 14분류군, 희귀식물은 16분류군 그리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80분류군(V등급 3분류군, IV등급 7분류군, III등급 22분류군, II등급 21분류군, I등급 2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생태계 교란 야생식물 3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36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도시화지수와 귀화율은 각각 11.2%와 7.1%로 산출되었다. 용도는 식용이 207분류군(40.9%)으로 가장 많았고, 목초용 200분류군(39.5%), 약용 146분류군(28.9%), 관상용 58분류군(11.5%), 그리고 목재용 15분류군(3.0%)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인천 송도임해매립지의 자원식물상과 귀화식물 분포현황 (Distribution of Resource Plants and Naturalized Plants at the Reclaimed Seaside in Songdo, Incheon)

  • 신현탁;오현경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12-320
    • /
    • 2007
  • 본 연구는 인천 송도임해매립지를 대상으로 자원식물상과 귀화식물을 조사함으로써, 매립이후 식물상과 식생 변화를 모색하고 자원식물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다. 송도임해매립지에서의 식물상은 39과 113속 144종 23변종 2품종 1교잡종으로 총 170종류가 확인되었으며, 이중 목본식물에는 18종류(10.6%), 초본식물에는 152종류(89.4%)로 분석되었다. 자원식물 중 식용식물에는 107종류(62.9%), 약용식물에는 99종류(58.2%), 관상용식물에는 55종류(32.4%), 기타용에는 77종류(45.3%)로 분석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에는 IV등급에 들완두, III등급에 모감주나무, I등급에 장구밥나무, 진퍼리까치수영, 뻐꾹채 등 총 5종류가 확인되었으나, V등급과 II등급에 포함되는 특정식물은 출현하지 않았다. 염생식물(사구식 물 포함)에는 갈대, 새섬매자기, 칠면초, 갯개미자리, 큰개미자리, 모감주나무, 장구밥나무, 왕질경이, 비쑥, 사철쑥, 쇠채, 사데풀 등 총 12종류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에는 11과 27속 37종 1변종으로 총 38종류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총 170종류의 관속식물 중 22.4%로 분석되었다.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 이유미;박수현;정수영;오승환;양종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87-101
    • /
    • 2011
  • 국내에 보고 된 귀화식물은 전체 40과 175속 302종 15변종 4품종으로 총 321분류군으로 정리하였다. 이들 중 과별로는 국화과 68분류군(21.2%)과 벼과가 62분류군(19.3%)으로 가장 많았으며, 생육형에서는 초본식물이 314분류군(97.8%)으로, 목본식물(7분류군, 2.2%)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입시기별로는 3기(1964-2010)에 귀화된 것이 221분류군(68.8%)으로 가장 많았으며, 원산지별로는 유럽원산이 134분류군(41.8%)으로 높은 귀화율을 보였다. 귀화도는 분포 유형별로 I-V등급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깃대봉(경기.가평)의 식물상 (Flora of Gitdae-bong (Gapyeong-gun, Gyeonggi-do))

  • 이선경;한준수;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64-583
    • /
    • 2011
  • 깃대봉 지역의 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9년 3월부터 2010년 9월 까지 총 14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확인된 관속식물은 90과 272속 380종 3아종 45변종 7품종으로 총 435분류군이었다. 조사된 종류 중에는 한국특산식물 12분류군, 희귀식물 8분류군이 포함되어 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총 68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귀화식물은 15분류군으로 귀화율은 3.4%. 도시화지수는 4.7%로 계산되었다. 식물의 용도는 식용이 203분류군으로 가장 많았고 약용, 목초용, 관상용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용도가 알려지지 않은 식물도 10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보길도(전남) 적자봉 일대의 관속식물상 유형별 특성 (Characteristics Type of Vascular Plants in Jeokjabong, Bogil Island(Jeonnam))

  • 오현경;변무섭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5-40
    • /
    • 2011
  • The vascular plants in Jeokjabong, Bogil Island were listed 350 taxa composed of 89 families, 233 genera, 309 species, 1 subspecies, 36 varieties and 4 forms. Divided into woody plants were 142 taxa (40.6%) and herbaceous plants were 208 taxa (59.4%). Based on the list of rare and endangered species by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3 taxa were recorded; Celtis choseniana, Asarum maculatum, Rubus sorbifolius, and endemic plants, 10 taxa were recorded; Asarum maculatum, Cephalotaxus koreana, Carpinus coreana, Celtis choseniana, Lespedeza maritima, Indigofera koreana, Dendropanax morbifera, Ligustrum quihoui var. latifolium, Weigela subsessilis, Carex okamotoi, and plant species subject to permission for taking abroad, 4 taxa were recorded; Celtis choseniana, Asarum maculatum, Vaccinium oldhami, Carex okamotoi. Based on the list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total 64 taxa (18.3% of all 350 taxa of vascular plants); Ligustrum quihoui var. latifolium in class IV, 19 taxa (Stauntonia hexaphylla, Cinnamomum japonicum, Zanthoxylum ailanthoides, Daphniphyllum macropodum, Centella asiatica, Verbena officinalis, Mitchella undulata, etc.) in class III, 5 taxa (Potentilla dickinsii, Ostericum melanotilingia, Sanicula rubriflora, Caryopteris incana, Teucrium veronicoides) in class II and 39 taxa (Gleichenia dichotoma, Cyrtomium fortunei, Aphananthe aspera, Rubus hirsutus, Meliosma myriantha, Hedera rhombea, Ainsliaea apiculata, etc.) in class I. Based on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5 families, 17 genera, 20 taxa (Phytolacca americana, Lepidium virginicum, Robinia pseudo-acacia, Verbesina alternifolia, Lolium perenne, etc.) and naturalization rate was 5.7% of all 350 taxa of vascular plants. Hereafter natural ecosystem into disturbance on naturalized plants and legal protection species and rare and endangered species distribute in the Bogil Island, precision investigation after management counterplan of the monitoring a point of view be required.

전라남도 도서지역 귀화식물의 도서생물지리학적 특성 (Island-Bio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 in Jeollanamdo Islands)

  • 김현희;김다빈;전철현;김찬수;공우석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4호
    • /
    • pp.272-289
    • /
    • 2017
  • 본 연구는 전라남도 도서지역 귀화식물의 분포 현황을 도서생물지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유인도 47곳, 무인도 194곳의 식물상 자료를 분석한 결과 귀화식물은 30과 134종이 분포한다. 분포역이 가장 넓은 종은 소리쟁이(Rumex crispus)로 모두 141곳의 도서에 분포한다. 도서별 평균 귀화식물 종수는 유인도 20.6종(${\pm}14.22$), 무인도 3.7종(${\pm}3.89$)이다. 도서별로는 여수시 금오도가 59종으로 가장 많다. 자생식물 대비 귀화식물의 비율인 귀화율은 유인도서 7.66%(${\pm}3.96$), 무인도서 4.97%(${\pm}3.70$)이다. 지역별로는 전라남도 서해 도서지역 귀화율이 5.92%(${\pm}4.49$)로 남해 도서지역 4.96%(${\pm}2.15$)보다 높다. 특히 유인도서 내 귀화율은 서해 도서지역 8.39%(${\pm}4.37$), 남해 도서지역 5.80%(${\pm}1.41$)로 그 차이가 더 크다. 도서지역 귀화식물 귀화율은 섬의 크기와 유의한 양의 관계(r=0.412, p<0.01)를 갖지만, 육지로부터의 거리, 해발고도와의 상관성은 유의하지 않다. 법정 생태계 교란종은 8종이 분포하며 종에 따라 분포역에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도서 및 지역 간 차이는 물리적 환경 차이와 함께 육지와의 왕래 정도, 경작에 따른 토지 간섭 등 자연 및 인문 환경요인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도서지역은 서식지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종이나 각종 환경 변화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도서지역 외래종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하다.

광주광역시 도심 대규모 하천의 귀화식물 분포 및 환경지수 분석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Index and the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Large Rivers of Downtown Gwangju Metropolitan City)

  • 임동옥;유윤미;황인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88-296
    • /
    • 2004
  • 본 논문은 2003년 3월부터 10월까지 광주광역시 도심 대규모 하천에서 선택한 총 14개 조사 지역에서 귀화식 물과 도시화지수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전체 식물상은 76과 211속 273종 35변종 1품종으로 총 309종류가 확인되었다. 그 중 귀화식물은 14과 36속 44종 2변종으로 총 46종류가 확인되었다. 광주천에서는 미국개기장, 소리쟁이, 흰명아주, 토끼풀, 큰개불알풀, 돼지풀, 비짜루국화, 미국가막살이 및 서양민들레로 총 9종이 우점하였고, 황룡강에서는 소리쟁이, 토끼풀, 달맞이꽃, 돼지풀 및 망초로 총 5종이 우점하였다. 그리고 영산강에 분포하는 우점종은 광주천과 황룡강 우점종 이외에도 물참새피, 좀명아주, 다닥냉이, 개망초 및 도꼬마리 등이 나타나 총 16종이었다. 광주시 도심 하천의 평균 도시화지수는 17.2%, 귀화율은 14.9%로 확인되었다. 원산지는 유럽과 북아메리카가 각각 16종으로 가장 많았다. 도시화지수나 귀화율 같은 환경지수가 높은 도시 하천이나 둔치가 귀화식물센터 중 중요한 하나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