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of Resource Plants and Naturalized Plants at the Reclaimed Seaside in Songdo, Incheon

인천 송도임해매립지의 자원식물상과 귀화식물 분포현황

  • Shin, Hyun-Tak (Gyeongsangnam-do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 Oh, Hyun-Ky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7.08.30

Abstract

The resource plants at the reclaimed seaside in Songdo was listed 170 taxa: 39 families, 113 genera, 144 species, 23 varieties, 2 forms and 1 hybrid. In those, woody plants were 18 taxa (10.6%) and herbaceous plants were 152 taxa (89.4%). Among 170 taxa listed was confirmed 107 taxa of edible plants (62.9%), 99 taxa of medicinal plants (58.2%), 55 taxa of ornamental plants (32.4%) and 77 taxa of the others (45.3%). Salt plants (Including dune plants) consists of 12 taxa (Scirpus planiculmis, Sllaeda japonica, Artemisia scoparia, Scorzonera albicaulis, etc.). Specific plant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5 taxa; Vicia bungei in class IV, Koelreuteria paniculata in class III, Grewia biloba var. parviflora, Lysimachia fortunei, Rhapontica uniflora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11 families, 27 genera, 37 species, 1 varieties, 38 taxa and naturalization rate was 22.4% of all 170 taxa resource plants.

본 연구는 인천 송도임해매립지를 대상으로 자원식물상과 귀화식물을 조사함으로써, 매립이후 식물상과 식생 변화를 모색하고 자원식물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다. 송도임해매립지에서의 식물상은 39과 113속 144종 23변종 2품종 1교잡종으로 총 170종류가 확인되었으며, 이중 목본식물에는 18종류(10.6%), 초본식물에는 152종류(89.4%)로 분석되었다. 자원식물 중 식용식물에는 107종류(62.9%), 약용식물에는 99종류(58.2%), 관상용식물에는 55종류(32.4%), 기타용에는 77종류(45.3%)로 분석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에는 IV등급에 들완두, III등급에 모감주나무, I등급에 장구밥나무, 진퍼리까치수영, 뻐꾹채 등 총 5종류가 확인되었으나, V등급과 II등급에 포함되는 특정식물은 출현하지 않았다. 염생식물(사구식 물 포함)에는 갈대, 새섬매자기, 칠면초, 갯개미자리, 큰개미자리, 모감주나무, 장구밥나무, 왕질경이, 비쑥, 사철쑥, 쇠채, 사데풀 등 총 12종류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에는 11과 27속 37종 1변종으로 총 38종류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총 170종류의 관속식물 중 22.4%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blog.naver.com/hk5845
  2. 구본학, 강재선, 김정욱. 2000. 서해안 임해매립지 녹지 공간 토양 성분들의 상관성 및 경시적 변화특성. 한국조경학회지 27(5): 161-168
  3. 김도균, 김용식. 2005. 광양만 임해매립지 느티나무 식재지 토양의 수직적 특성 변화. 한국조경학회지 33(2): 60-70
  4. 김도균, 박종민. 2004. 광양만 바다 준설 매립지 느티나무의 식재 지반별 토양 이화학적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31(6): 85-94
  5. 김도균, 장병문, 김용식. 2000. 임해매립지의 토양환경이 곰솔과 느티나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28(4): 9-20
  6. 김도균. 2000. 임해매립지의 조경수목 생장특성-광양만의 곰솔 과 느티나무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82
  7. 김도균. 2001. 임해매립지의 식재기반별 토양 물리.화학적 특성.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4): 12-18
  8. 김도균. 2006. 광양만 임해 매립지 느티나무 이식 이후의 연륜 생장특성. 한국조경학회지 33(6): 40-50
  9. 김철환. 2000. 자연환경 평가 -I. 식물군의 선정-. 한국환경생물 학회지 18(1): 163-198
  10. 대한주택공사. 1995. 생육환경특성을 고려한 아파트 단지내 조경수목 선정 및 식재방안 연구
  11. 박광우, 권영한, 최경, 오승환, 김동갑, 도재화, 태경환, 김주환. 2005. 덕유산 국립공원일대의 자원식물상 연구. 한국자원식 물학회지 18(1): 32-56
  12.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 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국립수목원. pp. 184
  13. 박수현. 1994. 한국의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한국자연보존협회. 자연보존 85: 39-50
  14. 박완근, 백원기, 이우철, 안상득. 1997. 만덕봉 일대의 자원식물상과 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0(1): 64-85
  15. 박현수, 이상석, 이상철. 2003. 임해매립지 조경수목의 생리적 특성과 식재수목의 고사율. 한국조경학회지 31(2): 94-101
  16. 배준환. 2001. 인천시 임해매립지 식재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립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백원기, 이우철, 박완근, 안상득. 1996. 한석산의 자원식물상과 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9(2): 121-142
  18. 송주택, 정현배, 김병우, 진희성, 김계영. 1990. 한국식물보전(자원편). 한국자원식물연구소. pp. 858
  19. 안상득, 김수철, 이상래. 1994. 백두산 자원식물 조사연구. 한국 자원식물학회지 7(1): 53-61
  20. 오현경, 김도균. 2006. 광양제철소와 인근주변의 관속식물 현황 과분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3): 59-75
  21. 오현경, 김영하, 이원규. 2005. 태안반도 백리포-의항리 해안의 관속식물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9(2): 37-46
  22. 유주한, 진연희, 장혜원, 조흥원, 김덕식, 이철희. 2004. 충청북도 미동산의 자원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7(2): 122-134
  23. 윤세영. 1995. 원색한국자원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pp. 566
  24. 이영노, 오용자. 1974. 한국귀화식물(1). 생활과학논총 12: 25-31
  25. 이영노. 2002.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서울. pp. 1269
  26.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pp. 624
  27. 이창복. 199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p. 990
  28. 이철희. 2000. 자생식물의 산업적 가치 극대화를 위한 방안. 농업 산학협동 학술심포지움. pp. 3-21
  29. 임병선. 1989. 토양의 수분 포텐셜과 식물의 삼투 조정능에 의한 해안식물 군락의 분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16
  30. 임양재, 전의식. 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식물학회지 23(3- 4): 69-83
  31. 정규영, 정형진, 남기흠, 박재호. 2005. 일월산(경북)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8(1): 131-147
  32. 조우. 2000. 인천시 해안매립지 녹지조성기법개발 연구.인천발 전연구원 보고서
  33. 조창구, 백원기, 이우철. 1999. 청옥산-두타산 남사면 일대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2(3): 240-252
  34. 최진규. 2001. 약이 되는 우리풀.꽃.나무2. 한문화. 서울. pp. 316
  35. 환경부. 1999.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종을 포함한 식물상-. pp. 62-89
  36. 沼田眞. 1975. 歸化植物. 環境科學ライブラリ-13. 大日本圖書. pp. 160
  37. 長田武正. 1976. 原色日本歸化植物圖鑑. 保育社. pp. 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