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loristic Study of Mt. Baegam (Hongcheon-gun, Gangwon-do)

백암산(강원, 홍천)일대의 관속식물상

  • Cheon, Kyeong-Sik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Kyung-Ah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Yoo, Ki-Oug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천경식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 김경아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 유기억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Received : 2015.12.10
  • Accepted : 2016.03.04
  • Published : 2016.04.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Baegam (1,099 m) from March, 2014 to July, 2015.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506 taxa, including 90 families, 293 genera, 435 species, 5 subspecies, 58 varieties and 8 forms. Among the investigated 506 taxa, 14 Korean endemic, 16 rare plants and 80 specially designated plants (V degree: 3 taxa, IV degree: 7 taxa, III degree: 22 taxa, II degree: 21 taxa, I degree: 27 taxa)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also included. The naturalized plants were 36 taxa including 3 ecosystem disturbance wild plant. The urbanization index and percent of naturalized plants species were estimated as 11.2% and 7.1%, respectively. Useful plants of 506 taxa listed consists of 207 taxa (40.9%) of edible plants, 200 taxa (39.5%) of pasture plants, 146 taxa (28.9%) of medicinal plants, 58 taxa (11.5%) of ornamental plants and 15 taxa (3.0%) of timber plants, respectively.

강원도 홍천군에 위치한 백암산(1,099 m) 일대의 관속식물상을 2014년 3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증거 표본에 의해 확인된 관속식물은 90과 293속 435종 5아종 58변종 8품종으로 총 506분류군이었다. 조사된 식물 중 한국특산식물은 14분류군, 희귀식물은 16분류군 그리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80분류군(V등급 3분류군, IV등급 7분류군, III등급 22분류군, II등급 21분류군, I등급 2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생태계 교란 야생식물 3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36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도시화지수와 귀화율은 각각 11.2%와 7.1%로 산출되었다. 용도는 식용이 207분류군(40.9%)으로 가장 많았고, 목초용 200분류군(39.5%), 약용 146분류군(28.9%), 관상용 58분류군(11.5%), 그리고 목재용 15분류군(3.0%)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

서 언

홍천군은 강원도 영서 내륙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으며, 동쪽으로는 강릉시와 양양군, 서쪽으로는 경기도 가평군과 양평군, 남쪽으로는 횡성군과 평창군, 그리고 북쪽으로는 춘천시 및 인제군과 인접해있다. 면적은 1,819 ㎢로 우리나라의 시·군 중 가장 넓고, 군 전체의 87%가 산지로 형성되어 있는 중산간지역이다. 또한 홍천읍 시가지를 관통하는 홍천강은 태백산맥의 분수령으로부터 서쪽으로 흘러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에서 북한강과 합류하고 있어 그 유역에 작은 평야를 이루고 있다. 기후는 전형적인 중부내륙성기후로 최근 6년간(2007-2012년) 연평균 최고기온과 최저기온은 각각 17.3℃와 5.1℃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1,277.8 ㎜로 7-9월에 연강수의 50% 이상이 집중된다(Hongcheon-gun, 2014).

본 조사지역인 백암산(1,099 m)은 행정구역상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에 위치하고 동쪽으로는 방태산(1,435 m), 서쪽으로는 백우산(897 m), 북쪽으로는 응봉산(979 m)과 인접해있으며 산림 내부에는 홍천강의 발원지인 비레올계곡의 무명담소와 가령폭포가 있어 비교적 관광객의 왕래가 빈번한 편이며, 그 수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백암산의 식물자원에 관한 연구는 Choi and Lee (2002)에 의한 식물상 연구가 유일한데, 한정된 조사 경로와 부족한 조사 횟수로 인하여 백암산의 대략적인 식물자원을 파악하는데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증거표본에 의한 백암산 식물자원의 분포와 특징을 밝혀,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분석하고, 이를 자원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백암산 일대의 관속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지조사는 2014년 3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총 12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조사경로와 일정은 Fig. 1, Table 1과 같다. 수집은 결과의 정확성을 위해 꽃, 열매, 포자 등의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증거표본은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식물표본관(KWNU)에 보관하였다. 분류군의 동정은 Chung (1956, 1957), Lee (1996a, 1996b), Lee (2003a, 2003b), Lee (2006a, 2006b), Oh (2006),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a) 등의 도감을 사용하였으며, 동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1차적으로 동정된 표본은 각 분류군의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교차 동정을 실시한 후 확증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조사된 관속식물의 목록은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작성하였고, 학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2007)을 따랐으며, 재배종과 식재종의 경우 국명뒤에 (재) 표시를 넣어 구분하였다. 작성된 식물 목록을 기초로 한국특산식물(Oh et al., 2005), 희귀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08b), 멸종위기야생식물, 그리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Ministry of Environment, 2012)에 대해 분석하였다. 귀화식물은 Lee et al. (2011)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귀화율(Numata, 1975)과 도시화지수(Yim and Jeon, 1980)는 아래의 공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고, 식물의 용도는 Lee (1976)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Fig. 1.Map of investigated area in the study.

Table 1.Investigation dates and routes of survey area

- 귀화율(the percent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PN) = S/N ‧ V × 100

(S: 조사지역의 귀화식물 분류군 수; N ‧ V: 조사지역의 관속식물 총 분류군 수)

- 도시화지수(urbanization index, UI) = S/N × 100

(S: 조사지역의 귀화식물 분류군 수; N: 전국의 귀화식물 총 분류군 수)

 

결과 및 고찰

식물의 종류조성

수집된 증거표본에 의해 정리된 백암산 일대의 관속식물은 90과 293속 435종 5아종 58변종 8품종으로 총 506분류군이었다(Appendix 1; Table 2).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071분류군(Lee, 1996a)의 약 12.4%이며, 강원도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1,796분류군(Gangwon-do, 2010)의 28.2%이고, 조사지역인 홍천군의 관속식물 1,055분류군(Kim et al., 2010)의 48.0%에 해당한다. 이를 백암산 일대 5개 산지를 조사한 선행 연구(Choi and Lee, 2002)결과와 비교해 보면 강원고사리, 뱀무, 애기도둑놈의갈고리, 향선나무, 잔대, 윤판나물, 좀비비추, 왕둥굴레 등 101분류군은 분포를 확인하지 못했다. 그러나 눈빛승마, 산장대, 산꿩의다리, 두메담배풀 등 187분류군은 본 연구에서도 생육이 재확인되었고, 우드풀, 꿩의바람꽃, 촛대승마, 모데미풀, 너도바람꽃, 갈퀴현호색, 좀딸기, 금강제비꽃, 미치광이풀, 넓은잔대 등 319분류군은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선행 연구에서 조사된 288분류군보다 비교적 많은 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본 조사가 비교적 다양한 경로와 많은 조사 횟수에 걸쳐 진행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2.Summary on the floristics of Mt. Baegam

한편, 백암산에 분포하는 식물종류 수를 인접지역과 비교해 보면, 맹현봉의 337분류군(Kim and Heo, 2008)과 능경봉의 440분류군(Kim et al., 2015)보다는 많았으며, 한석산의 603분류군(Kang et al., 2015)과 가리산의 613분류군(Han et al., 2008)보다는 약 100분류군이 적게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된 506분류군의 과별 구성 종에 의한 다양성은 국화과가 60분류군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벼과(44분류군), 콩과(29분류군), 장미과(26분류군), 미나리아재비과(21분류군), 백합과(18분류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 지역 중 식물 자원이 가장 풍부한 곳은 가령폭포에서 정상으로 이어지는 계곡부와 등산로 주변으로, 이곳에는 다수의 양치식물을 비롯한 홀아비바람꽃, 회리바람꽃, 눈빛승마, 개구리미나리, 영아자 등의 식물이 분포하고 있었다. 또한 계곡부와 저지대 임연부에는 잣나무 식재림과 여러 종류의 활엽수 혼효림이 분포하였고, 능선부와 산정상부를 중심으로는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이 주로 발달하였다.

특산식물

특산식물은 진범, 홀아비바람꽃, 할미밀망, 모데미풀, 무늬족도리풀, 갈퀴현호색, 점현호색, 노랑갈퀴, 참갈퀴덩굴, 참배암차즈기, 병꽃나무, 고려엉겅퀴, 각시서덜취, 지리대사초 등 총 14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3). 이는 선행 연구(Choi and Lee, 2002)의 6분류군보다 많은 것으로 본 조사에서 확인된 전체 관속식물 506분류군의 2.8%, 우리나라 특산식물 328분류군(Oh et al., 2005)의 4.3%에 해당한다.

Table 3.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in Mt. Baegam

조사된 특산식물 중 진범과 홀아비바람꽃, 무늬족도리풀, 갈퀴현호색, 점현호색, 참갈퀴덩굴은 가령폭포 주변과 아홉싸리로에서 정상으로 이어지는 계곡주변에 분포하였고, 모데미풀은 상남리에서 아홉싸리재로 이어지는 임도주변 계곡에서 생육하고 있었다. 또한 각시서덜취는 정상주변 능선에 분포하였으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분류군들은 대부분의 조사경로에서 간헐적인 분포를 보였다.

희귀식물

조사된 506분류군 중 멸종위기야생식물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희귀식물은 총 16분류군으로, 이는 우리나라에 자생 식물종 중 IUCN의 기준에 따라 희귀식물로 평가된 571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08b)의 2.8%에 해당한다. 등급별로는 멸종위기종(critically endangered, CR)에 끈끈이장구채와 왕벚나무 2분류군, 위기종(endangered species, EN)에 모데미풀 1분류군, 취약종(vulnerable, VU)에 주목, 홍도까치수염 등 3분류군, 약관심종(least concerned, LC)은 홀아비바람꽃, 너도바람꽃, 도깨비부채, 태백제비꽃, 금강제비꽃 등 10분류군이었다(Table 4).

Table 4.List of rare plants in Mt. Baegam

조사된 희귀식물 중 끈끈이장구채, 홍도까치수염, 모데미풀등 3분류군은 성남리에서 아홉싸리재로 이어지는 임도에 생육하고 있었는데, 끈끈이장구채와 홍도까치수염의 경우 자생지가 임도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에 중장비를 이용한 간벌작업이 진행되고 있어 인위적인 훼손의 위험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모데미풀은 임도에 토사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사방댐에 인접해 분포하고 있어 토사 퇴적에 의한 절멸위험이 상당히 높을 것으로 보여, 시급한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한편, 왕벚나무와 주목 등 2분류군은 사찰 주변에 식재된 종류로 분포학적 의미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에 해당되는 종류는 총 80분류군이었으며. 등급별로는 V등급은 모데미풀, 왕벚나무, 홍도까치수염등 3분류군, IV등급은 홀아비바람꽃, 회리바람꽃, 점현호색, 도깨비부채, 긴잎갈퀴, 청포아풀, 양덕사초 등 7분류군이었다(Table 5). 또한 III등급은 흰진범, 검은종덩굴, 선괭이눈, 긴잎여로 등 22분류군, II등급은 속새, 동의나물, 꿩의다리아재비, 연복초 등 21분류군, I등급은 관중, 는쟁이냉이, 촛대승마, 야광나무 등 2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Table 5.List of 5th to 4th degree taxa assign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선행연구(Choi and Lee, 2002)에서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에 해당하는 종류가 II등급에 사스래나무, 금강애기나리 등 2분류군, I등급에 홀아비꽃대, 투구꽃, 피나물, 물양지꽃, 노랑물봉선, 금난초 등 6분류군으로 총 8분류군으로 정리되어 본 연구와는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전반적으로 선행연구보다 더 많은 종류들이 조사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의 등급이 변경된 것도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귀화식물

본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귀화식물은 생태계 교란 야생식물인 애기수영,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등 3분류군을 포함하여 큰닭의덩굴, 유럽나도냉이, 미국가막사리, 오리새, 큰조아재비 등 36분류군이었다(Table 6).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321분류군(Lee et al., 2011)을 기준으로 산출한 도시화 지수는 11.2%, 귀화율은 7.1%로 산출되어 우리나라 산지 지역의 평균 귀화율인 10.3% (Koh et al., 1995)보다 비교적 낮았다. 조사된 귀화식물을 기존의 문헌과 비교해보면 개소시랑개비, 실망초, 방울새풀 등 3분류군은 분포가 재확인되지 않은 반면, 애기땅빈대, 붉은서나물, 개쑥갓 등 26분류군은 새롭게 조사되었다.

Table 6.*N.D.: Naturalized degree, Int.-p.: Introduced period.

Lee et al. (2011)의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백암산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의 귀화도와 귀화시기를 확인한 결과 귀화도는 5등급이 18분류군, 3등급이 12분류군, 2등급이 4분류군, 1등급이 2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귀화시기는 1기가 23분류군, 2기가 4분류군, 3기가 9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6). 따라서 백암산에는 우리나라에 널리 분포하고 개체수도 많은 귀화식물 중 1921년 이전에 유입된 종류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용도

조사된 506분류군의 용도를 분석한 결과, 식용이 207분류군(40.9%)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목초용 200분류군(39.5%), 약용 146분류군(28.9%), 관상용 58분류군(11.5%), 목재용 15분류군(3.0%), 섬유용 5분류군(1.0%), 다용도 5분류군(1.0%), 그리고 공업용 2분류군(0.4%)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용도가 알려지지 않은 종류도 112분류군(22.1%)으로, 이는 조사된 식물자원 중 약 1/4에 해당하였다(Table 7).

Table 7.Note: E, Edible; P, Pasture; M, Medicinal; O, Ornamental; T, Timber; F, Fiber; S, Miscellaneous; I, Industrial; U, Unknown use.

References

  1. Choi, B.H. and J.S. Lee. 2002. Flora of Mt. Baegam (1,099 m) and its adjacent regions. Report of the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pp. 158-177 (in Korean).
  2. Chung, T.H. 1956. Korean Flora(Ha). Shinjisa, Seoul, Korea (in Korean).
  3. Chung, T.H 1957. Korean Flora(Sang). Shinjisa, Seoul, Korea (in Korean).
  4. Gangwon-do. 2010. Inhabitation and Distribution of Wild Animal and Plant in Gangwon-do. Gangwon-do, Korea (in Korean).
  5. Han, J.S., H.J. Lee, W.T. Lee and K.O. Yoo. 2008. Flora and vegetation of Northeast Chuncheon area. Korea J. Nat. Conserv. 2(2):104-131.
  6. Hongcheon-gun. 2014. http://www.hongcheon.gangwon.kr (Accessed 2015. 06. 24).
  7. Kang, J.S., J.S. Han, K.S. Cheon, K.A. Kim, Y.H. Park and K.O. Yoo. 2015. Floristic study of Mt. Hanseok (Inje-gun, Gangwon-do). Korean J. Pl. Taxon. 45(1):45-71. https://doi.org/10.11110/kjpt.2015.45.1.45
  8. Kim, H.J., M.J. Joo, S.J. Ji, S.K. So, S.Y. Jung, K.S. Chang, K. Choi and J.C. Yang. 2015. Floristic study of Neunggyeong-bong(Pyeongchang-gun, Gangneung-si)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8(2):178-192. https://doi.org/10.7732/kjpr.2015.28.2.178
  9. Kim, J.H., Y.H. Kim and C.Y. Yoon. 2010. Vascular plants of the Hongcheon-gun area in Gangwon province. Kor. J. Env. Eco. 24(4):363-394 (in Korean).
  10. Kim, Y.M. and K. Heo. 2008. Flora of Mt. Maenghyun-bong. Korea J. Nat. Conserv. 2(2):155-163.
  11. Koh, K.S., L.G. Kang, M.H. Suh, J.H. Kim, K.D. Kim and J.H. Kil. 1995.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 (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 Korean).
  12.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a. Illustrated Pteridophyt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13.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b.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14.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n, Korea (in Korean).
  15. Lee, T.B. 1976.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Bulletin of the Kwanak Arboretum 1:1-137 (in Korean).
  16.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Sang). Hyangmunsa, Seoul, Korea (in Korean).
  17.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Ha). Hyangmunsa, Seoul, Korea (in Korean).
  18. Lee, W.T. 1996a.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in Korean).
  19. Lee, W.T. 1996b.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in Korean).
  20. Lee, Y.N. 2006a. New Flora of Korea (I). Kyo-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in Korean).
  21. Lee, Y.N. 2006b. New Flora of Korea (II). Kyo-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in Korean).
  22.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87-101 (in Korean).
  23.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A Guide to the 4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pp. 173-226 (in Korean).
  24. Numata, M. 1975. Naturalized Plants. Dai Nippon printing Co., Tokyo, Japan (in Japanese).
  25. Oh, B.U., D.G. Jo, K.S. Kim and C.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26. Oh, Y.C. 2006. Korean Caricoideae of Cyperaceae. Sungshin Women’s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in Korean).
  27. Yim, Y.J. and E.S. Jeon.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 Jour. Bot. 23(3-4):69-83 (in Korean).

Cited by

  1. 설악산 대청봉일대 산림식생의 식물사회학적 군락유형 및 관속 식물상 특성 vol.106, pp.2, 2016, https://doi.org/10.14578/jkfs.2017.106.2.130
  2. 경주국립공원 단석산지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vol.30, pp.5, 2016, https://doi.org/10.7732/kjpr.2017.30.5.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