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atural stones

Search Result 11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적층 구조물의 압축응력과 동적특성 (Dynamic Characteristics and Compressive Stress of Multi-Layered Structure)

  • 손호웅;이성민
    • 지구물리
    • /
    • 제9권1호
    • /
    • pp.63-71
    • /
    • 2006
  • When surveying the cultural heritages especially in the case of stone structures, preserving their originalstate is of primary importance. For the effective assessment of survey results of stone structure, thedynamic characteristics of that system should be considered. Dynamic characteristics of stone masonry structures depend on several factors such as coefficients of friction, contact conditions, and number of layers of bonding stones. These factors can be estimated by using the dynamic analysis results. This paper describes a method for natural frequency determination of traditional stone arch bridge subjected to compressive force. For this purpose, multi-layered granite brick models of for arch bridge were made and fundamental frequencies corresponding increasing axial forces were measured.

  • PDF

비비드 옐로우 다이아몬드의 감별 방안 연구 (Identification for the Vivid Yellow Diamonds)

  • 송정호;윤유리;송오성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493-497
    • /
    • 2012
  • We propose a new reliable, fast, and low cost identification method for similarly looking 0.3ct vivid yellow color of natural, HPHT treated, and synthesized diamonds. Conventional optical microscopy as well as low temperature PL(photoluminescence), FT-IR, UV-VIS-NIR, micro-Raman spectroscopy, and vibrating sample magnetometry(VSM) characterization were executed. We could not distinguish the natural diamonds from the treated or the synthesized stones with an optical microscopy, PL, FT-IR, and UV-VIS-NIR spectroscopy. However, we could identify the treated diamond with micro-Raman spectroscopy due to unique $1440cm^{-1}$ peak appearance. VSM revealed easily the synthesized diamond because of its ferromagnetic behavior. Our preliminary propose on employing the Micro-Raman spectroscopy and VSM might be suitable for identification of the similar looking vivid yellow colored diamonds.

경주첨성대의 파손과 잘못된 복구 (Destruction and Improper Restoration of Cheomseongdae)

  • 장활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2호
    • /
    • pp.72-99
    • /
    • 2012
  • 경주첨성대는 원형을 유지하고 있거나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보존되었다고 여겨져 왔다. 경주첨성대가 파손되었음을 명시적으로 전하는 역사기록은 없으며, 파손되었다는 어떤 물증이 제시된 바도 없으므로 원형이 유지되었다는 견해는 별반 무리가 없다고 평가되어왔던 것이다. 그러나 국립문화재연구소가 2009년에 발간한 "첨성대 실측 및 훼손도 조사 보고서"를 면밀히 분석해 보면 첨성대가 원형에서 벗어나 있음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첨성대의 상층부는 심각하게 파손되었다가 원형을 회복하지 못한 형태로 잘못 복구되었음이 확실하며, 그 물증이 현재 첨성대에 고스라니 남아있다. 본 연구는 그 증거로 제 29단 정자석이 대각선방향으로 파손되어 있는 점, 제 28단에 있었던 은장이 사라진 점, 제 26단의 장대석 위에 작은 석재 3개가 남아 있는 점, 제 25단과 제 26단 장대석에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4개의 홈이 남아있는 점, 제 25단과 26단의 장대석 위치가 서로 바뀌어 있는 점 등을 제시한다. 경주첨성대가 처음으로 파손되었다가 원형과 다른 모습으로 복구되었던 시점은 15세기 중반 이전으로 본다.

친환경 주거단지 외부공간의 비오톱 조성을 위한 재료 및 기법 연구 (A Study on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of Outdoor Biotop for Environment-friendly Community)

  • 조동길;조동범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2-81
    • /
    • 2007
  • This study mainly aims at suggesting plans applicable to the outdoor of environment-friendly communities in Korea by leveraging more natural conditions and materials when creating an outdoor biotop for an environment-friendly community and generating material types and development techniques enabling a natural circulation system. To this end, materials used in the outdoor of environment-friendly communities and traditional residential areas in Korea and biotop materials found in natural areas were examined. First, when the case examples of environment-friendly communities were reviewed, biotop spaces and materials that may function as habitats were hardly found. Materials used in biotop were mainly man-made structures made of artificial or processed materials, such as concrete, stones, bricks, woods and steels. Meanwhile, the outdoor space of traditional Korean villages had stone walls, soil walls, rock piles and composite piles, which composed of natural materials such as rocks, soil and plants, that naturally formed porous spaces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plants and provided habitats for a variety of insects. In natural areas, naturally created biotop spaces, such as rock piles, log piles, old tree deployment, branch piles, hay stacks and defoliated leaves, were found. Meanwhile, when spaces and materials available for biotop creation were reviewed to create an environment-friendly residential complex, they were divided into fences and hedges, green spaces between parks and residential buildings, ponds and waterscape spaces, zones separating pedestrian walks and roadways, breast walls and slope boundary, plant box and pergola. For each space, materials used for creating biotops and that were found in traditional Korean residential areas and natural areas were applied and suggested.

어린이집의 친환경적 공간요소에 대한 학부모요구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Demand of the Parents of Students in Eco-Environmental Space at Child Care Center)

  • 한혜련;박영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47-54
    • /
    • 2007
  • The change of modern society arouse the issue of the family structure and the demand of upbringing. According to the issue, the need of the upbringing is the big interest in society. This study is on the demand of the parents of students in eco-environmental space in child care center. The purpose of the study makes the suggestion the need of the eco-environmental space in child care center. The study progressed with looking up and giving questionaires in six child care centers which have eco-environmental space in Seoul. 210 questionaires were given out to parents and taken away 180 questionaires. The result of the study, parents required strongly to have the eco-environmental space in child care center. The natural interior materials, nature experimental outdoor ground and exterior garden were preferred overriding. The use of the woods and stones and eco-environmental adhesives are required as the natural Interior materials. And the natural light source can be imported in sky light, side window and atrium. Upcoming study would be directed in child care center without eco-environmental spaces. The next suggestion would be made in the needs of the eco-environmental space in child care center.

석탑문화재의 강성과 고유진동수에 관한 연구 (Stiffness and Natural Frequency of Stone Masonry pagoda)

  • 이성민;손호웅;이수곤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263-270
    • /
    • 2004
  • 석탑형 구조물의 동적거동은 접합부의 영향을 주로 받는 불연속 다자유도계 모델로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석조 부재의 질량은 비교적 쉽게 파악할 수 있으나 석재 접촉면에서의 스프링상수는 결정하기가 곤란하다. 본 연구에서는 석탑형 구조물을 불연속 다자유도계 모델로 해석을 하는 방법과 고유진동수를 측정한 결과를 이용하여 역으로 스프링상수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사례 연구를 통해 측정된 고유진동수를 이용하여 석재와 석재면 사이의 스프링상수를 계산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석탑형 문화재의 동적특정을 파악함으로써 주요 석탑형 문화재의 내진안전성 여 부 판단 및 보호대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진동이나 횡력에 대한 구조안전성 평가를 하는 과정에서도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동적특성을 이용한 홍예교의 모델링방법 연구 (Computational Modelling Method by Using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Stone Masonry Arch Bridges)

  • 이성민;박이선;최희수;최취경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83-90
    • /
    • 2008
  • 우리나라의 석조문화재를 모델링할 때 불연속면을 갖는 구조재의 강성을 어떻게 규명하느냐가 매우 중요하지만 원형보존을 해야 하는 문화재의 특성상 이를 파악하기란 매우 곤란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파괴조사를 이용하여 고유진동수를 측정한 후, 시행착오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고유진동수와 컴퓨터 모델링 결과 파악된 고유진동수를 비교함으로써 불연속면의 강성, 구조재의 탄성계수 등 홍예교를 이루는 재료의 구조적 물성을 추정함으로써 컴퓨터 모델링을 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홍예교량의 동적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무사석 및 적심석의 강성이 홍예교의 동적특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현대 상업공간에 표현된 디자인코디네이션 관점의 한국성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Koreanity Expression Properties found in the Modern Commercial Spaces from a Design Coordination Viewpoint)

  • 임선희;박영순;정의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135-144
    • /
    • 2012
  • Since Seoul was selected as the world design capital at the end of 2007, the endeavors to modernize the Korean unique beauty is becoming more tangible. Especially, the commercial spaces to be used by the general public and tourists have the value for study in the respect that such spaces for the national iconic images and have a large and far-reaching effect to transmit the national identit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design coordination properties in the Koreanity expression found in the modern commercial spaces. the foundation for the analysis was based on Leonard Koren's work on the arrrangement rhetoric theory, 'Arranging things(2003), and the contents of Korean expression were reviewed with professional joun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sign coordination properties in the Koreanity expression shown in modern commercial spaces are black-white contrast, natural materials, curved shapes, brevity, and simple beauty. Especially, some elements such as wood, traditional Korean papers, stones, mid-to-low chroma natural colors, checked patterns, and crazy patterns are used with overlapping and it is viewed that it is necessay to more aggressively seek for the disappeared traditional elements in the Korean modeling properties. Second, the concrete images of Korean expressions could be summarized as four adjective image groups, Natural, Subtitle, Gentle and Magnificent.

  • PDF

<하환정도(何換亭圖)>를 통해 본 칠원 무기연당(舞沂蓮塘)과 유회정(有懷亭) 일곽의 원형경관 (Original Landscape of MuGi-YeonDang and Yuhoejeong Pavilion Area in Chirwon through )

  • 노재현;손희경;박태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13
    • /
    • 2017
  • <하환정도>의 제작 시점인 1860년경을 기점으로, 그림에 표현된 무기연당과 일곽의 정원시설 그리고 경관 등을 현재와 비교하여 고찰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하환정도>에는 내원(內園)인 국담(菊潭)을 중심으로 하환정(何換亭)과 풍욕루(風浴樓)가 핵심을 이루고 있으며, 1971년 이후 기양서원의 후신(後身)인 충효사(忠孝祠)와 영정각(影幀閣) 등이 보태졌다. 하환정 반대편 국담 지안(池岸)에는 3기의 괴석과 함께 다채로운 초화류와 화관목이 식재되었으며, 중도(中島)에는 봉황석(鳳凰石)과 납두석(衲頭石)의 배치와 함께 2종의 수목이 그려져 있는데 이 중 하나는 단풍나무로 확인된다. 그림의 외경(外境)에는 무기연당을 중심으로 상부로는 작대산과 천주산이, 하부로는 정충비각과 현재는 멸실된 비보숲이 묘사되어 있다. 주목할 만한 성과로 외경의 작대산 아래 십 여기의 봉분 형태의 주씨묘군(朱氏墓群)과 함께 묘사된 '별업 유회정(別業 有懷亭)' 유구(遺構)를 주씨 선산인 산정리 일대에서 확인하였다. 확인된 유구는 방형의 지당(池塘)과 석가산인 중도(中島) 그리고 석비 망추대(望楸臺) 등이며 지당내 석가산은 자연석에 약간의 가공을 한 뒤, 여러 개의 괴석을 첩석한 형태로 측면에는 '경암(敬嵒)'과 '세심(洗心)'이라 각자(刻字)되어 있다. 특히 '경(敬)'자(字)는 소수서원 경자바위(敬字岩)의 그것을 모사(模寫)한 것으로 풍욕루 현판은 물론 주세붕을 모신 관내 무산사(武山祠)에서도 발견되는 주씨 정원의 상징적 정원언어가 되고 있다. <하환정도> 외경에서 유회정과 석가산을 갖는 방당(方塘)의 이름은 '태화지(泰和池)' 또는 '정우당(淨友塘)'이라 하였으며 석가산의 이름은 '소금강(小金剛)' 또는 '소방장(小方丈)'으로 명명되었음이 확인된다. 이는 국담의 석가산인 '봉래산'에 비견되는 명칭으로, 양 공간에 관련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연결고리가 되고 있다. <하환정도>는 함안 칠원리에 입향한 15대손 주씨문중에서 주도하여 그린 일종의 장원도(莊園圖)로서, 내원은 물론 외경의 상황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있어 무기연당원 및 주변 경관을 이해할 뿐 아니라 무기연당을 포함한 외경의 정비 및 복원의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구조-음향 특성을 고려한 편경의 최적 형상 설계 (Optimal Shape Design of Pyeongyeong Considering Structural and Acoustical Characteristics)

  • 이승목;강민석;이진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3호
    • /
    • pp.337-344
    • /
    • 2014
  • 한국 전통 악기인 편경을 체계적으로 설계하기 위한 최적 형상 설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편경은 16 개의 서로 다른 크기의 경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경편의 첫 번째 진동 고유 주파수는 전통 소리 튜닝 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특정 주파수에 일치하여야 하고, 두 번째와 세 번째 진동 고유 주파수들은 첫 번째 진동 고유 주파수와 단 3 화음 관계(1:1.498:2.378)를 가져야 한다. 제안한 설계 알고리즘의 핵심은 경편의 각 변의 길이 변화에 따른 고유 주파수의 민감도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위 두 가지 설계 목적에 부합하는 경편의 치수를 결정하는 것이다. 제안하는 방법으로 5 개의 서로 다른 경편의 형상 치수를 결정하였다. 그리고, 제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보상하기 위해, 경편의 국부적인 두께 변화에 따른 진동 고유 주파수의 변화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