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FPA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8초

산불진화대원용 안전장갑에 대한 성능평가 기준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for Safty Gloves for Forest Firefighting Crews)

  • 김해형;이선영;정재한;권춘근;안희영;홍승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6호
    • /
    • pp.74-83
    • /
    • 2018
  • 산불진화대원의 안전 확보와 작업능률 향상을 위해 안전장갑에 대한 성능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산불진화대원용 안전장갑에 대한 기준이 현재 국내에 없기 때문에 한국소방산업기술원(KFI)에서 운용중인 소방대원용 안전장갑에 대한 기준을 기초로 하여 연구를 시작하였다. 관계자 의견 수렴 및 외국 기준의 검토를 통하여 17개 시험항목 중 5개 시험항목을 제외하고 12개 시험항목을 선정하였다. 시료는 산불진화대원들이 사용하고 있는 2 종류의 일반 안전장갑과 하나의 소방대원용 장갑에 대해 KFI 기준을 적용하여 시험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시험 결과 불에 약한 나일론이나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은 산불진화대원용 안전장갑에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KFI 기준과 ISO 16073, NFPA 1977, NFPA 1971 및 BS EN 659의 판정기준을 비교하여 우리나라 산불진화대원들의 작업 환경에 적합한 12개 시험항목과 판정기준들을 최종 선정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의 설계기준에 관한 비교 고찰

  • 지춘근
    • 방재와보험
    • /
    • 통권108호
    • /
    • pp.24-29
    • /
    • 2005
  • 지구 오존층 파괴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이 제한되고 사용상의 규제가 강화된 할론을 대체할 소화약제와 소화설비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국내 기술기준인 NFSC 107A와 선진 외국기준인 NFPA 2001을 비교.분석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안을 제시하는 것이야 말로 화재의 진압과 확산을 막는 길일 것이다.

  • PDF

외벽방호 스프링클러시스템 구성에 관한 연구 (Research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Outside Sprinkler System)

  • 민세홍;윤정은;선주석;정상호;채창훈;김석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102-11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외장재 화재 시 수직화재에 대해 화염의 수직확산 방지 및 지연을 위한 외벽방호 스프링클러 설비 구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 앞서 관련 수직확산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적용된 스프링클러시스템은 NFPA13의 연소확대방지시스템에 명기된 방사압 0.05 MPa와 유량 60 l/min를 도입하여 적용하였다. 시스템 설계를 통하여 소방대상물에 적용하였으며 본 시스템은 감지시스템과 연동하여 자동과 수동으로 작동하도록 하였다. 또한 외벽방호 스프링클러 설비의 유용성 평가를 위해 실물실험을 실시하여 외벽의 냉각효과와 화재의 지연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건물내장재(석고보드, 합판)의 화재성능평가 (The Evaluation of Fire Safety Performance on Interior Finish Materials (Gypsum Board, Plywood))

  • 김충환;김종훈;김운형;하동명;이수경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55-62
    • /
    • 2001
  • 본 연구는 국내와 외국의 건물 내장재 화재성능평가방법을 고찰하고 국내에는 도입되지 않은 실대 화재실험인 Room Corner Test를 국내 내장재중 석고보드와 합판을 대상으로 그 적용성을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현재 국내 내장재의 평가규정은 Bench-Scale Test에 의존하고 있으나, 미국, 일본 유럽등에서는 Room Corner Test를 적용한 실질적인 재료의 화재성능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실험 결과, NFPA 265에 의한 석고보드 및 ISO 9705에 의한 합판의 성능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현재 국내 내장재에 적용되는 등급분류의 평가방법은 재료의 실제 화재성능 평가에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Room Corner Test의 적용과 더불어 Bench-Scale Test 결과를 토대로 화재성능을 예측하는 화재모델을 이용하는 평가 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다.

  • PDF

Clean Room 위험성 평가에 따른 안전성 확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fety by Risk Assessment of Clean Room)

  • 송윤석;윤명오;현성호;이창우;윤여송;김성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78-85
    • /
    • 2004
  • 본 연구에서 Clean Room 재해사례를 분석하였고, Factory Mutual Property Loss Prevention Data Sheets(FM), Industrial Risk Insurers(IRI), NFPA Code 등의 Clean Room 설계 주요 방화기준에 대하여 비교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화재시뮬레이션을 통한 위험성 평가를 통해서 화재 시 공조설비의 작동으로 인한 연기산란 현상으로 Clean Room 내의 피해규모가 상상을 초월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또한 스프링클러설비의 작동으로 열온도가 더 낮아지고, 연기의 확산속도를 더 줄여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Clean Room내의 화재 시 화재감지기에 의해 공조설비를 정지시키고,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유추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Clean Room 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불활성 가스 발생장치(Inert Gas Generator) 소화시스템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Application of Inert Gas Generator to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 한용식;김명배;김수용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69-74
    • /
    • 2005
  • 대량의 비활성가스를 발생시키는 Inert Gas Generator(IGG)를 소화설비로 사용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가스터빈을 채용한 IGG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소화성능을 검토하였다. IGG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조성을 동일하게 만든 모사 혼합가스를 이용하였으며, Cup Burner시험방법으로 소화농도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소화농도를 NFPA 2001에서 권장하는 방법에 적용하여 소화설계 농도 및 소화공간 크기를 산정하였다. 또한, $2m\times2m\times2m$ 크기의 공간에서 화재진압 실험을 수행하여 실제 소화성능을 확인하였다.

가스 폭발 Booth의 방출구 설계 (A Design on the Discharge Vent for Gas Experimental Booth)

  • 허용정;마성준;정필영;임사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362-366
    • /
    • 2007
  • 21C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급증하고 있는 가스 산업은 사용의 편리성과 위험성을 공존하고 있다. 따라서 현장의 안전관리자에게 가스폭발의 위험성을 교육하기 위한 실험용 폭발부스를 설치하기 위하여 폭발압력에 의하여 부스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방출구를 설계하는데, NFPA 68의 배기모델을 이용하여 방출구를 설계하였다. 가연성가스가 LPG인 경우 $2.8297m^2$, NG인 경우 $3.0518m^2$로 계산되었다.

  • PDF

수직 배연구의 자연배연 성능에 관한 수치해석연구 (A Numerical Study for the Performance of Natural Smoke-venting of a Vertical Vent)

  • 전흥균;최영상;추홍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1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미국 NFPA 204 기준에 의해 설계된 수직 배연구에 대하여 배연구의 위치, 외기 온도, 풍속 및 화재크기가 자연배연 성능에 미치는 영향과 화재특성을 CFAST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치 해석적으로 조사하였다. 배연구는 외벽의 최고 상부에 위치한 경우와 외기온도가 낮은 경우 및 풍속이 작은 경우 배연성능기준을 만족하였다. 또 화재크기가 클수록 배출량은 증가하나 연기층 높이는 낮아져 배연성능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직접 외기와 통하는 수직 자연배연구의 설계시 해당지역의 최고 온도와 최대 풍속을 고려하고, 설계화재를 정확히 결정하여 배연성능기준이 만족되도록 주의가 요망된다.

스프링클러설비 화재안전기준 개정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Fire Safety Codes of Sprinkler System)

  • 정기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32-37
    • /
    • 2013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중 불합리한 것에 대하여 개정할 것을 제안을 하였다. 배관의 용어 중 "수평주행배관"의 용어정의를 추가하도록 하였으며 "격자형배관방식"에 대한 정의를 수정하도록 제안하였다. 스프링클러헤드의 소화수 방출압력을 규정한 조항을 합리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NFPA 13의 스케줄방식의 최소 유량과 압력기준을 확인하였고 이와 유사한 최소 요구량 기준을 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압력수조의 평상 시 유지 압력 산출식을 바르게 개정할 것을 제시하였으며 압력단위의 변화에 의한 올바른 K값의 사용을 제시하였고 기존의 K값 등을 사용하기 위하여 압력단위를 [bar]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고층건물에서 승강기 승강로 가압을 통한 연돌효과 저감 방법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Method of Stack Effect Mitigation by the Elevator Shaft Pressurization at High-rise Buildings)

  • 김진수;이의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78-183
    • /
    • 2011
  • 초고층 건물의 승강기는 혹한기에 연돌효과에 의한 차압 때문에 고층부의 승강기 문틈에서 소음을 유발하고, 1층에서 승강기 문 개폐에 영향을 줄 정도의 강한 압력이 발생하며, 화재시에는 건물 내에 연기를 전파시키는 주된 구동력이 된다. 또한 승강기를 피난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도 연돌효과는 반드시 극복되어야 할 과제이다. 이 논문에서는 연돌효과가 고층건물의 승강기 승강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줄이기 위해 승강로를 가압하는 방식을 검토하였다. 승강로와 거실 사이를 균압화하고 승강로를 급기 가압하는 조건으로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NFPA 92A와 IBC 2012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근접하는 결과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