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EP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273 seconds

NAEP 문항 반응에 기초한 미국 학생들의 지리 성취수준 분석 (An Analysis on the Level of Achievement in Geography Based on NAEP in the United States)

  • 박선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74-487
    • /
    • 2005
  • 본 연구 목적은 2001년에 시행된 미국 NAEP 지리 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문항반응경향성을 분석하여 귀납적으로 성취수준을 기술하는데 있다. NAEP 지리 평가는 4 8 1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는데, 평가영역은 내용영역과 행동영역으로 구분된다. 내용영역은 공간과 장소 환경과 사회 공간직 역동성과 연계성이고, 행동영역은 지식 이해 적용이다. 성취수준은 기초 숙달 수월수준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 수준과 대표 문항을 연계하는 방법(item mapping method)을 사용하여 성취수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NAEP 지리 성취수준 설정위원회에서 제시한 성취수준과 대표 문항 분석에 기초한 성취수준은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 문항 분석을 기초로 도출된 성취수준은 실제 학생들의 문항반응에 기초하여 도출되었기 때문에 지리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송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omparison of NAEP, PISA, and TIMSS-R

  • Kim, Young-Ok;Wakhungu, Henry Kerre;Ku, In-Suk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279-297
    • /
    • 2009
  • This paper discusses the key differences and common themes among three major assessments of pre-college mathematics learning: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Repeat (TIMSS-R), and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NAEP).

수학 학습 평가틀 비교 분석 -NAEP 2015, TIMSS 2015, PISA 2015를 중심으로- (A Comparison Study on Mathematics Assessment Frameworks -Focusing on NAEP 2015, TIMSS 2015 and PISA 2015-)

  • 한채린;박만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3호
    • /
    • pp.261-28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sights on making Korean mathematics framework by analytical comparison of three major assessments such as the NAEP 2015, the TIMSS 2015 and the PISA 2015. This study focused on the key differences and common themes of mathematics frameworks among three major assessm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mathematical frameworks of the NAEP 2015, the TIMSS 2015, and the PISA 2015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criteria of the comparison were content domain and cognitive domain. The comparing criteria of content domain were based on NCTM content standards and cognitive domain were used the three understanding levels of Jan de Lange's pyramid model. Based on these comparisons, researchers discussed that Korea mathematical framework was needed to have a set of content categories that reflect the range of underlying mathematical phenomena and a set of cognitive levels which contain the range of underlying fundamental mathematical capabilities including consideration of contexts.

수학과 평가틀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Mathematics Assessment Frameworks)

  • 황우형;구자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497-520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국내외의 대규모 평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평가틀을 비교 분석하여 앞으로 평가틀 연구의 기초를 구축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6가지의 평가틀을 서로 비교분석하였다. TIMSS, PISA, NAEP, NECAP의 평가틀에서 볼 수 있는 특징들을 기술하였으며, 우리나라, 미국, 그리고 국제연구의 평가틀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지리과 서답형 문항의 주요 유형에 관한 연구 -NAEP의 지리과 4학년 문항을 사례로-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Constructed-Response Items in Geography Education: In Case of 4th Grade Items of the NAEP)

  • 장의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934-954
    • /
    • 2012
  • 서답형 문항은 장소감, 도해력, 지리적 상상력 등 고차적 사고력을 추구하는 지리과의 주요 목표들에 대한 도달 여부를 측정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다. 이 연구는 서답형 문항의 개념을 알아보고 지리과에서 적용 가능한 서답형 문항의 유형들을 구분하여 우리나라에서의 지리과 서답형 문항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서답형 문항의 개념 정리에 이어서 미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NAEP의 지리과 서답형 문항을 사례로 분석하여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서답형 문항은 문항 형식의 차원과 문항에서 평가하는 행동 영역의 차원에서 각각 분류할 수 있었다. 문항 형식의 차원에서는 문두 단독형과 자료 첨부형으로, 행동 영역의 차원에서는 지식 요구형, 이해 요구형, 적용 요구형으로 각각 구분하고 그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서답형 문항의 개발과 적용에 관련된 시사점 및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내용 영역과 행동 영역에 정합하는 서답형 문항들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로 하여금 최대한 다양한 종류의 지리 자료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서답형 문항의 성패는 채점의 신뢰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채점의 단계 구분, 채점 기준, 의사 답안 등에 대한 후속적 연구가 요구된다.

  • PDF

학교수학에서의 참평가(authentic assessment)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uthentic Assessment Model Development in School Mathematics)

  • 손정화;강옥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1호
    • /
    • pp.77-9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의 통합된 부분으로 실제 상황에서 의미있는 실제적인 과제로 학생들의 진정한 수학적 활동 능력을 평가하는 학교수학에서의 참평가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하여 학교수학에서의 참평가 체계로서 참평가의 정의 및 목표, 참평가 과제의 준거, 참평가 과제의 준거, 참평가 채점기준, 참평가 결과 보고에 대해 살펴보았다. 학교수학에서의 참평가 모형 개발을 위해 상황인지 수업설계 모형을 살펴보고, Guba & Lincoln의 제4세대 평가 모형, NAEP의 고차적 능력 평가 모형, Guliker, Bastiaens, & Kirschner의 참평가 모형을 비교 분석하여, 이 모형들로부터 학교수학에서의 참평가 모형 요소 추출의 근거를 모색하였다. 추출한 참평가 모형의 요소들을 실제 상황에서 수업의 통합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교수 학습 참평가 모형으로 구안하여 '학교수학에서의 참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학교수학에서의 참평가 모형은 전문가 검토 및 실제 교수 학습에 적용하여 모형의 타당성과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 PDF

수학과 평가틀에 관한 고찰 (A study on assessment framework in Mathematics Education)

  • 황혜정;최승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459-471
    • /
    • 1999
  • This study is to develop a mathematics assessment framework based on the mathematics assessment framework and content strands suggested by KEDI, NCTM, NAEP, TIMSS, Oregon State, New Zealand.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view, there has been more emphasis that students themselves 'communicate' what they 'understood' and how they 'thought' during the situation of 'solving problems'. As a result, communication ability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assessment situation, which always accompany the abilities of understanding, thinking, problem-solving, etc. In conclusion, the framework related to mathematical knowledge consists of content and behavior domains. The content domain is categorized into 6 content areas of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 behavior domain is divided into computation, understanding, inference, problem-solving, and communication.

  • PDF

과학 탐구의 3차원 평가틀에 의한 평가 목표 분류 및 진술 (Classification and Statement of Evaluating Objectives Using Three-Dimensional Assessment Framework of Science Inquiry)

  • 우종옥;정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70-277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and state of evaluating objectives using three-dimensional assessment framework of science inquiry. The first, as an attempt to provide a theoretical base for developing an assessment framework taxonomies and classificatory schemes of educational objectives were analyzed Bloom's taxonomy, Klopfer's specification, NAEP(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and APU(Assessment of Performance Unit) framework. The second, three-dimensional assessment framework use in this study has formed a clear definition of three-dimensional matrix. These three dimensions consists of content, context and process. The third, the model of three-dimensional taxonomy of science inquiry developed in this study is presented. In addition, an example of classification and statement of evaluating objectives based on the model is presented.

  • PDF

초ㆍ중학생의 과학에 대한 이해 (The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n science.)

  • 한안진;김진복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9권1호
    • /
    • pp.57-6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desirable direction of science teaching and to present meaningful ideas for implementing the science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by measuring the degree of the students' understandings on science and comparing it with those of American students. The researcher comprised 790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study and administered them questionnaires developed by Trowbridge, Bybee, and Sund.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long with three categories such as science method, science theory, and the achievement of scientists. The researcher used t-test and ANOVA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their understandings in accordance with grades and gender, and later compared Korean students' understandings with those of similar aged American students administered by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NAEP) The research loathed to the overall conclusions as follows; Both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s on science revealed positive and appear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nd it is thought that science education was being carried out hopefully to enhancing Korean students' scientific literacy, therefore, science teaching like what is implemented to the classrooms currently should be kept on in future.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change primary school children's understandings on attitude and value of scientists while to change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s on scientific processes by experiment. Also primary school children need to understand that scientists are willing to change their ideas when new information becomes known.

  • PDF

중학교 학생들의 확률적 사고 수준 평가 기준 개발 : 미국의 사례 (A Framework for Assessing Probability Knowledge and Skill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 Case of U.S.)

  • 박지윤;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1권1호
    • /
    • pp.1-15
    • /
    • 2009
  • 일부 연구자들 (Jones et al., 1997; Tarr & Jones, 1977; Tarr & Lannin, 2005)은 학생들의 확률적 사고틀에 대해 연구해왔다. 이들 연구는 학생들의 확률적 사고 수준을 이해하는 도구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중학교 학생들의 확률적 사고 수준 관련 연구는 조건부 확률과 독립성 개념에만 머물러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Jones et al.(1977), Polaki (2005), and Tarr and Jones(1977)의 연구를 분석하고, 미국의 교육과정과 국가 수준의 평가 자료를 분석하여 중학교 학생들의 확률적 사고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틀을 개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