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us bombyci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9초

뽕나무 품종별 고조삽목에 있어서 삽수내 저장물질의 경시적 변화 (Studies on the Changes with Time of the Reserve Substances in the Hardwood Cutting of Mulberry Varieties)

  • 최영철;유근섭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1
    • /
    • 1989
  • 뽕나무 고조삽목에 있어서 각 품종별로 삽수피부의 건물량, C/N률, 탄수화물, 단백질 및 핵산 등의 삽목후 경시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삽목당일부터 삽목 후 4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삽수의 피부를 채취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뿌리와 신초의 생장은 검운뽕(Morus bombycis KoIDZ)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다음으로 대륙뽕(Morus Lhou(SER.) KoIDZ.)과 개량뽕(Morus alba L.)순으로 낮았다. 2. 삽수피부의 건물량은 삽수당일 50%내외에서 삽목 후 40일째에는 36% 내외로 약 14%정도 감소하였으며, 뿌리와 신초의 생장이 빠른 검운뽕이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3. C/N율은 삽목 초기에 감소하다가 뿌리와 신초가 생장함에 따라 10일부터 증가하였으며, 검운뽕은 C/N율이 가장 높았고 개량뽕은 가장 낮았다. 4. 전당의 함량은 삽목 후 40일까지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10일부터 20일 사이에는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환원당은 삽목 후 20일까지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그 후 감소하였다. 전분은 삽목 후 40일까지 감소하였으며 건물량 감소와 같은 경향이었다. rjadnsQHd은 다른 품종에 비해 전당, 전분의 함량이 많았으며, 뿌리와 신초가 생장함에 따라 소비량도 많았다. 5. 조단백질과 수용성단백질은 삽목 후 10일까지 증가하였으나 그 후 감소하였으며, 검운뽕의 단백질함량이 가장 적었다. 6. RNA는 단백질의 변화와 같은 경향이었으나, 검은뽕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DNA는 함량의 경시적 변화와 품종간 함량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재육채묘법에 관한 시험 제 1보 원묘의 생산법에 관한 시험 (Studies of Mulberry Seedling preparation by Cattage Method. First Report. Studies of Mulberry Seedling Root preparation by Graving young Branches in Soil)

  • 박병희;김문협;김관극;유근섭;조철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권
    • /
    • pp.63-71
    • /
    • 1962
  • 가. 신소의 매복시기는 신소가 60~80cm 신장하게 되면 어느때에 행하여도 무방하다. 나. 모주 1주당 신소의 매복본수는 무제한으로 하면 발육불량으로 인한 불량 조수가 많아져서 원묘의 생산량이 많지 못하니 15~28본으로 제한 매복하는 것이 노력이 절약된다. 다. 원묘포의 토성으로서는 점질토에서 보다 사질양토에서 묘질은 좋아지지만 원묘의 생산량에는 차가 없다. 라. 신소를 매복할 때의 시비의 효과는 없으며 7~8월경에 주는 추비의 효과도 별로 없는 것 같다. 마. 상품종별로는 원묘의 생산량이 개량서반이 제일 많았고 시평 수원대엽 도내 용천추우 수원상 3호 및 수원상 4호는 중위정도였으며 노상이 가장 적었다. 일반적으로 백상 및 산상계의 상품종이 노상계의 상품종 보다 원묘의 생산량 및 묘질이 좋다.

  • PDF

수목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IV) - 산뽕나무 심재 추출성분과 유연 합성 stilbenoid의 항균 및 항산화활성 -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od Extractives(IV) -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ives from the Heartwood of Morns bombycis and Synthesized Congeneric Stilbenoids -)

  • 이성숙;이학주;최돈하;히시야마 쇼지로;카토 아츠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3호
    • /
    • pp.70-77
    • /
    • 2000
  • 산뽕나무 심재추출물 중 다량으로 분리된 stilbenoid인 oxyresveratrol, resveratrol과 이들의 구조유사체를 합성하여 항균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하고 화학구조와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항균활성은 진균에 대해서는 배지점적법으로, 세균에 대해서는 탁도측정법으로, 그리고 항산화활성은 지질산화억제율과 프리라디칼 소거능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그 결과, 진균 및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resveratrol이 oxyresveratrol보다 우수하였으며, 항산화활성은 oxyresveratrol이 resveratrol보다 우수하였다. 또한, Wittig 반응으로 합성한 6종의 stilbenoid의 항균활성은 B-ring의 수산기가 적을수록 활성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어. 3,5-dihydroxystilbene (pinosylvin)과 같이 B-ring에 수산기가 없는 경우에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trans type이 cis type보다 활성이 높았다. 그러나, 항산화활성은 B-ring의 수산기가 많을수록 활성이 높았으며, B-ring의 수산기가 ortho-diphenol 구조를 가지는 stilbenoid가 활성이 가장 높아, 2',3,3',5-와 3,3',4',5-tetrahydroxystilbene(piceatannol) 의 경우, 합성항산화제인 BHT보다는 높고 천연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과는 동등한 효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산뽕나무 심재로부터 단리된 resveratrol과 oxyresveratrol은 항균 및 높은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B-ring의 수산기의 수와 치환위치가 활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목초액(木酢液)의 약리(藥理) 및 임상(臨床) 효능(效能)과 연구방향(硏究方向) (Pharmaceutical and clinical effects of Holyessing and its research strategy)

  • 김한성;김성훈
    • 혜화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31-835
    • /
    • 1998
  • The concept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and pharmaceutical and clinical effects were studied on holyessing obtained through carbonization of wood, before practical application.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Holyessing can be thought to be effective fluid to promote physiological metabolism as heat of water(水中之火) in the respest of oriental medicine. 2. Pharmaceutical effects of holyessing were reported to be antidiabetic effect, protective effect on liver, anticancer activity, protective effect against electronic damage, thermic effect, deodouring effect and proetcive action on atrophy dermatitis. 3. Several kinds of holyessing derived from other trees except of oak chiefly used so far had better be studied such as Morus bombycis. 4. Acute and chronic toxicity, combination of holyessing with other food, artifical correction of its taste and concentration should be absolutely studied.

  • PDF

멸종위기 식물 왕제비꽃 자생지의 식생구조 및 입지환경 (Vegetation Structure and Site Environment of Natural Habitat of an Endangered Plant, Viola websteri)

  • 송재모;이기영;김남영;이재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267-276
    • /
    • 2010
  • 환경부 멸종위기 식물과 산림청 희귀식물로 지정된 왕제비꽃의 5개 지역 천연집단의 식생구조 및 입지환경을 조사한 결과 돌배나무-신나무-산뽕나무 우점군락(강원도 홍천군 내면), 신갈나무-물푸레나무-산뽕나무 우점군락(경기도 연인산), 층층나무-당단풍-산뽕나무 우점군락(경기도 유명산), 고로쇠나무-찰피나무(신갈나무)-고추나무 우점군락(경기도 대부산), 일본잎갈나무-고로쇠나무-물푸레나무 우점군락(충북 월악산)으로 조사되었으며, 자생지의 평균 산도는 pH 5.23, 전기전도도 0.30 ds/m, 유기물함량 12.6%, 전질소함량 0.68%, 유효인산 21.66 ppm 및 양이온치환용량 23.45 cmol(+)/kg로 나타났으며, 치환성양이온의 경우 $Ca^{2+}$ > $Mg^{2+}$ > $K^{2+}$순으로 감소하였다. 왕제비꽃은 둥굴레 및 이질풀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포아풀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본층에서는 대부산 지역이, 초본층에서는 월악산 지역의 종다양성지수가 각각 0.9656, 1.3295로 가장 높았으며, 최대종다양도는 목본층의 경우 홍천군 내면 지역이 1.3010, 초본층의 경우 대부산 지역이 1.6435로 가장 높았다. 균재도의 경우 목본층은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인 월악산 지역(0.5330)을 제외하면 0.6185~0.8947 범위에, 초본층은 0.6984~0.8356 범위에 있었으며, 우점도는 목본층의 경우 월악산 지역(0.4670)을 제외하면 0.1053~0.3815, 초본층은 0.1644~0.3016의 범위에 있었다.

제주도 자생식물들에 대한 미백 및 항산화 효능 탐색 (Preliminary Screening of Some Jeju Island Native Plants for Whitening and Antioxidant Activity)

  • 유병삼;문지영;김주호;현진원;강경아;고재숙;서영경;백지훈;박덕훈;이종성;정은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1-17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37 종의 식물추출물에 대한 미백 및 항산화 효능을 조사하였다. 미백 효능은 in vitro tyrosinase 저해활성과 B16-F1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합성 저해효과를 조사하여 확인하였고, 항산화 효능은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를 이용한 전자공여능 측정방법과 DCF-DA (dichlorofluorescin diacetate)를 이용한 V79-4 폐 섬유아세포에서 활성 산소종 소거작용 능력을 조사하여 측정하였다. 세포실험 조건에서 식물추출물들의 투여농도에 따른 세포독성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MTT (3-(4,5-dimethyl-2-thiazol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assay를 수행하였다. 미백 효능조사 실험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던 8종의 식물 추출물들은 토끼를 이용한 국소 독성 시험 및 인체 피부 자극 임상 시험에 적용하여 안전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높은 미백과 항산화 효능을 동시에 나타내었던 비수리(Lespedeza cuneata), 제주광나무(Ligustrum lucidum (stem)), 산뽕나무(Morus bombycis (stem)), 꿀풀(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의 식물추출물들은 화장품 원료화에 매우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vitro Screening of Jeju Medicinal Plants for Cosmeceutical Materials

  • Kim, Sang-Suk;Hyun, Chang-Gu;Lee, Jong-Sung;Lim, Ji-Hee;Kim, Ji-Young;Park, Deok-Ho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215-220
    • /
    • 2007
  • One of the important functions of skin is protection from harmful environments. Many studies have explored how to prevent skin from wrinkling and the occurrence of pigmentation changes. Skin wrinkling and pigmentation changes could be caused by unusual disruption of connective tissue, the formation of free radicals and ultraviolet radiation. In this study, extracts obtained from 254 different kinds of Jeju medicinal plants were screened for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and elastase, and for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s. Four herbs, Phormium tenax, Morus bombycis,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were potent inhibitors of tyrosinase ($IC_{50}$ values 4.62, 5.46, 8.17, and 64.17 ${\mu}g$/mL, respectively). Aleurites fordii [$IC_{50}$: 5.29 ${\mu}g$/m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Distylium racemosum ($IC_{50}$: 6.14 ${\mu}g$/mL), Acer palmatum ($IC_{50}$: 5.44 ${\mu}g$/mL), and Spiraea salicifolia ($IC_{50}$: 5.25 ${\mu}g$/mL) showed good antioxidative effects. Furthermore, Distylium racemosum ($IC_{50}$: 7.51 ${\mu}g$/mL), Diospyros kaki ($IC_{50}$: 15.1 ${\mu}g$/mL), Cornus macrophylla ($IC_{50}:$ 16.59 ${\mu}g$/mL), and Psidium guajava ($IC_{50}$: 40.25 ${\mu}g$/mL) exhibited potent inhibitory effects on elast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dicinal plants possessing several biological activities may be potent inhibitors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pigmentation increases and aging. Further investigations will focus on in vivo assays and on the chemical identification of the major active components responsible for whitening and anti-aging activity in the screened efficacious extracts.

구강 질환 유발 미생물에 대한 항생작용을 갖는 천연물 추출물 검색 (Screening of the Natural Plant Extracts for the Antimicrobial Activity on Dental Pathogens)

  • 백동헌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27-231
    • /
    • 2007
  • 구강청정제에 사용되는 많은 항미생물 성분들은 치주조직의 착색 및 작열감 등의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취약점을 해결하고, 좀 더 생체친화적인 항미생물 물질을 찾기 위하여,한국식물추출물은행에서 소장하고 있는 2,125종의 식물추출물을 검색하였다. 항미생물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잘 알려진 치과 병원균(치주질환 3종, 충치 1종)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대표적인 치주질환 유발세균인 Porphyromonas gingivalis에 대해서 19중의 식물 추출물이 항생효과를 나타내었으며, 17종이 Prevotella intermedia에 대해, 45종이 Haemophilus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해, 그리고 85종의 추출물이 충치 유발세균인 Streptococcus mutans 에 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중에서 총8종의 식물추출물이 실험에 사용한4종의 미생물 중 3종 이상에 대해 항생작용을 나타내었다. 또한 Cudrania tricuspidata, Morus bombycis와 Mallotus japonicas가 실험에 사용된 4종의 치과 병원균 모두에 대해 항생작용을 나타내어 치과용 재료 혹은 양치액에 항미생물 물질로 사용될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데미샘 주변의 식물 분포와 군락 분류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Vascular Plants in the Daemisaem Region)

  • 변무섭;오현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5-37
    • /
    • 2007
  • The vascular plants of the study area in the Daemisaem region were listed as 302 taxa; 81 families, 196 genera, 251 species, 1 subspecies, 42 varieties, 7 forms and 1 hybrid.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7 taxa were recorded; Carex okamotoi, Salix purpurea var. japonica, Thalictrum uchiyamai, Lespedeza ${\times}$ tomentella, Weigela subsessilis, Aster koraiensis, Cirsium chanroenicum. Specific plant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21 taxa; Silene jenisseensis, Cimicifuga heracleifolia in class IV, 3 taxa (Lilium leichtlinii var. tigrinum, Betula davurica, Lonicera subhispida) in class III, 3 taxa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Ligularia fischeri, Cirsium chanroenicum) in class II, 13 taxa (Glyceria leptolepis, Meliosma oldhamii, Fraxinus mandshurica, etc.)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8 families, 20 genera, 23 species, 1 varieties, 24 taxa and naturalization rate was 7.9% of all 302 taxa vascular plants. The vegetation community of the selected Daemisaem region were growth of configuration to slope, ridge and valle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Quercus serrata community, Quercus mongolica community, Salix koreensis community in the slop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in the ridge, 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Acer mono community, Cornus controversa community, Morus bombycis community in the valley.

울릉도 섬시호 자생지의 생태학적 특성 및 식물상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Bupleurum latissimum in Ulleung Island)

  • 안영희;이성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751-761
    • /
    • 2007
  • This study is carried out through ecological situation of native Bupleurum latissimum habitats and the research of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conservation of native sites, restoration of alternative habitats and preliminary data for application of useful medicinal plant. Native Bupleurum latissimum habitats were distributed on lower and middle part of the mountain from Altitude 54m to 185m, and the directions of slope were researched as usually northen and western slope. As a result of phytosociological research in 12 stands of native Bupleurum latissimum habitats, they were seperated to two communities(Bupleurum latissimum typical community and Bupleurum latissimum-Galium spurium community) in accordance with containable rate of the organic matter and soil hardeness. Soil condition is usually constituted as loamy sand and clay loam. Bupleurum latissimum is propagated in valuable soil conditions. Bupleurum latissimum lives with Morus bombycis, Reynoutria sachalinensis in Bupleurum latissimum typical community and Thalictrum aquilegifolium, Stellaria media, Hedera rhombea etc. is appeared with Bupleurum latissimum in Bupleurum latissimum-Galium spurium community. Especially, companion species were researched as Aster glehni, Dystaenia takeshimana and so on.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this study is 44 families, 88genus 82species, 2 subspecies, 14 varietas, 4 forma and total 102 taxa. Plants of compositae occupied 10.78% among whole of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