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xed Loading

검색결과 410건 처리시간 0.025초

Numerical analysis of beams with damping subjected to dynamic loading

  • A.A. Mosallaie Barzoki;M. Saadantia;Hamed Karami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24권2호
    • /
    • pp.91-96
    • /
    • 2023
  • In this article, the vibration response of elastic nanocomposite beams with enhanced damping by nanoparticles is presented based on the mathematical model. Damp construction is considered by spring and damper elements based on the Kelvin model. Exponential shear deformation beam theory (ESDBT) has been used to model the structure. The mixed model model is used to obtain the effective properties of the structure including compaction effects. Using the energy method and Hamilton's principle, the equations of motion are calculated. The beam frequency is obtained by analytical method.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olume percentage of nanoparticles and density, length and thickness of the beam on the frequency of the structure. The results show that the frequency increases with the increase in volume percentage of nanoparticles.

CNG 버스용 NGOC/LNT 촉매의 CH4와 NOx의 동시 저감 (Simultaneous Reduction of CH4 and NOx of NGOC/LNT Catalysts for CNG buses)

  • 서충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67-175
    • /
    • 2018
  • 천연 가스는 공기 오염 물질을 거의 배출하지 않는 깨끗한 연료입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CNG 버스용 NGOC/LNT(천연가스산화촉매/질소산화물흡장)촉매의 메탄과 질소산화물 동시 저감에 관한 연구로 메탄과 질소산화물 저감 성능 개선과 관련하여 조촉매, washcoat 담지량, 교반 시간 및 담체 종류에 대해 주로 초점을 두었다. 더구나, 니켈은 알칼리성의 독성 산화물이고 메탄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3 wt% 니켈이 담지된 천연가스산화촉매는 일반적으로 메탄 전환율을 통해 우수한 메탄 감소 성능을 나타낸다. 담체에 담지량이 적으면 유해 가스의 흡장량이 충분치 않고 워시 코트가 너무 많이 담지되면 담체의 셀이 막히게 되었다. 촉매의 경제적을 고려할 때 촉매에 담지되는 양은 124g/L가 적절하다. 물질마다 5시간 동안 교반된 NGOC/LNT 촉매의 200에서 550도 까지 NOx 전환율은 2시간 동안 교반된 NGOC/LNT 촉매보다 전체 온도 범위에서 10-15%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세라믹 담체의 NGOC/LNT 촉매는 메탈 담체보다 약 20% 수준의 높은 메탄 저감 성능을 나타냈다.

커피박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pH 저감 및 파쇄성 연구 (A Study on pH Reduction of Recycled Aggregates Using Coffee Waste and Its Crushability)

  • 이영재;이동윤;천커챵;김문기;박성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11호
    • /
    • pp.21-2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각종 구조물 철거 시 발생하는 폐콘크리트를 파쇄 처리하여 생산된 순환골재의 크기를 세 종류(10-13mm, 13-20mm, 20-25mm)로 나눈 다음, 순환골재의 pH 저감방법과 순환골재 처리방법에 따른 파쇄값을 실험 분석하였다. 순환골재 침출수의 pH는 골재 크기에 관계없이 약 11 정도로 일정하였으며, 이를 1000ml 증류수에 넣고 pH가 약 5 정도인 커피박을 10, 30, 또는 50g 혼합하여 시간에 따른 pH 변화를 측정하였다. 커피박을 50g 넣은 경우 24시간 후 pH가 최대 6.2까지 떨어지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를 쪼여 가열하는 방법이나, pH가 2인 식초에 순환골재를 1일 침지시켜 중성화시키는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순환골재의 파쇄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무처리한 경우보다 마이크로웨이브를 쪼인 경우 평균 3.3% 정도 파쇄값이 증가하였으며, 중성화시키는 방법은 6.2% 정도 파쇄값이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파쇄효과가 더 높았다. 순환골재 파쇄시험에서 표준 시료 높이 100mm 보다 높은 120mm로 시험한 경우 파쇄값이 6.3% 증가하였으며, 400kN을 연속으로 재하하는 경우보다 100kN씩 4단계로 재하한 경우 파쇄값이 7.1% 더 증가하였다.

AgBF4/Al(NO3)3 혼합염이 포함된 PEO/PDMS-g-POEM 블렌드 기반의 올레핀 분리막 (Olefin Separation Membranes Based on PEO/PDMS-g-POEM Blends Containing AgBF4/Al(NO3)3 Mixed Salts)

  • 김상진;정정표;박철훈;김종학
    • 멤브레인
    • /
    • 제25권6호
    • /
    • pp.496-502
    • /
    • 2015
  • 촉진수송은 기존의 고분자 막에서는 힘든, 투과도와 선택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 중 한 가지이다. 촉진수송 분리막을 이용한 올레핀/파라핀 분리는 기존의 증류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로써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본 연구에서는 테트라플루오로붕산은/질산알루미늄의 혼합염이 포함된 고분자 블렌드 기반의 촉진수송 올레핀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자유 라디칼중합법을 이용하여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g-폴리옥시에틸렌 메타크릴레이트 가지형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또한,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g-폴리옥시에틸렌 메타크릴레이트 매질에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였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g-폴리옥시에틸렌 메타크릴레이트 가지형 공중합체 질량 대비 70%를 혼합하였을 때, 혼합기체 선택도 및 투과도는 5.6 및 10.05 GPU에 도달하였다. 이와 같은 복합막의 올레핀 분리 성능이 향상된 이유는, 분리막에 첨가된 은이온이 올레핀 기체분자의 선택적인 촉진 수송을 하였고, 또한 고투과성의 고분자 블렌드가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은이온의 은나노입자로의 환원을 억제시키는 질산알루미늄의 첨가로 인해 복합막의 장시간 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수변완충지대의 적정 설계 (Best Buffer Width of Riparian Buffer Zone using a Pilot with Different Plant Species for Reduction of Non-point Pollutant Loading)

  • 김성원;최이송;오종민
    • 환경영향평가
    • /
    • 제17권1호
    • /
    • pp.1-9
    • /
    • 2008
  • Non-point pollution is caused by many diffusive sources, unlike a point pollution derived from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or sewage treatment plants. Runoff of non-point pollutants is originated from rainfall or thawing in short period of time moving over and through the a ground surface. They cause ill effect on the quality of neighboring aquatic environment. To prevent effectively the wash off from non-point pollutant, it should be immediately reduced at the source or be treated after gathering of runoff water.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best width of riparian buffer zone. So we implemented the experiment in terms of its depth, width and kind of vegetations and calculated the reduction of pollutants loading. The experimental zone encompasses the watershed of Namhan River (Kyunggido Yangpyunggun Byungsanri). The region was divided into 5 land cover sectors : grass, reed, pussy willow, mixed(grass+pussy willow) and natural zone to compare effectiveness of vegetation. Water samples from four points have been collected in different depths. And the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by sectors with different plant species was yielded through influent with one of each sample. And we obta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idth of riparian buffer zone and the removal efficiency of pollutants. Using correlation result, the width of riparian buffer zones which needs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river could be derived.

하수처리장(下水處理場)에서 반송수(返送水)의 성장(性狀)과 영향(影響) (The Sidestream from WWTP; Its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n the Main Process)

  • 최의소;이호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233-241
    • /
    • 1993
  • 도시 하수처리장에서 발생되는 반송수의 성상과 처리계통에서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각 단위 공정별 반송수의 유량과 분석자료를 이용하여 물질수지를 작성한 뒤 반송수의 특성을 결정하였으며 실험실 완전혼합 활성슬럿지 반응조를 현장 운전 조건과 유사한 방법으로 운전하여 반송수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반송수의 유량은 유입원수량에 대해 1.2-1.8%로 적은 양이지만 높은 농도로 인하여 유기물과 영양소 부하량은 평균 부하시 20-30% 정도로 증가되고 있었으며 충격부하시는 40-70 %까지 증가되고 있었다. 혼합하수의 침전효율은 BOD 30%, SS 45%를 나타내고 있으나, 반송수에 의한 부하증가로 인해 BOD의 제거효율은 원수 기준시 10% 미만으로 떨어져 포기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반송수의 평균부하가 포기조에 유입되는 경우 반송수의 유입이 없는 경우에 비해 10%의 BOD 제거효율이 저하되었고 충격부하시는 80% 이상의 BOD 제거효율을 얻을 수 없었으며 50% 이하의 질산화율에 불과하였다.

  • PDF

역궤적 이동경로별 용인지역의 컬럼에어로졸 특성 (Columnar Aerosol Properties at Yongin According to Transport Paths of Back Trajectories)

  • 박지수;최용주;김영성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7-107
    • /
    • 2017
  • Columnar aerosol properties retrieved from solar radiation were investigated at the Yongin (YGN) SKYNET site over seven years from October 2008 to October 2015. Hourly averages were calculated when the data were available, and back trajectories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egional transport. Data recovery rate was low at 6.6%, primarily because solar radiation was measured only under daytime clear-sky conditions. Mean values of the fine-mode volume fraction (FMVF) as well as its seasonal variation were similar to those of $PM_{2.5}/PM_{10}$ although the coarse-mode fraction of column aerosols tended to be slightly larger. The values of single scattering albedo (SSA) and FMVF were lower in spring due to the effects of mineral dust, and higher in summer due to secondarily-formed inorganic ions. Back trajectories were grouped into five clusters according to the directions of transport paths. Aerosol loading was highest for Cluster 2 from the northwest, but SSA and FMVF were not particularly high or low because aerosols were composed of various materials with different properties. Aerosol loading was lowest for Cluster 5 from the Pacific Ocean passing through the south end of Japan, whose SSA and FMVF were highest as secondarily-formed inorganic ions were mixed.

비타민 E 아세테이트가 봉입된 셀룰로오스 나노입자의 제조 (Preparation of Cellulose Nanoparticles Loaded with Vitamin E Acetate)

  • 남다은;정택규;김승수;신채호;신병철
    • 폴리머
    • /
    • 제28권2호
    • /
    • pp.128-134
    • /
    • 2004
  • 비타민E 아세테이트를 봉입하고 있는 셀룰로오스 나노입자는 개선된 자발적 유화확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셀룰로오스 나노입지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비타민E 아세테이트를 아세톤/에탄올 혼합유기 용매로 용해한 다음 초음파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용액에 분산하여 제조하였다. 입자크기와 비타민 E 아세테이트의 봉입률은 광산란 장치와 UV 분광계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나노입자의 안정성은 상온에서 30일간 입자크기 변화를 통해 비교하였고 입자의 형태는 주사전자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조된 나노입자의 형태는 구형인 것을 관찰하였고, 상온에서 30일간 입자크기 변화가 없었다. 가장 좋은 셀룰로오스 나노입자의 제조 조건은 1% w/v 니트로셀룰로오스와 8% w/v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올레이트)를 사용하였을 경우이고, 이때 나노입자의 크기는 65nm, 비타민E 아세테이트의 봉입률은 71%의 값을 나타내었다.

고로슬래그미분말을 혼입한 콘크리트의 염분침투성에 미치는 압축하중의 영향 (Effect of Compressive Loading on the Chloride Penetration of Concrete Mixed with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 김동훈;임남기;호리구치 다카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71-78
    • /
    • 2009
  • 하중을 고려한 염분침투성의 평가가 대단히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압축응력하에서 Plain콘크리트에서는 47%정도, BFS콘크리트에서는 89%정도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하중 상태에서 BFS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확산계수가 BFS 무혼입 콘크리트에 비해 적은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영향은 압축응력이 발생하는 환경하에서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압축응력이 작용하는 환경 하에서 BFS콘크리트는 Plain콘크리트와 같이 하중의 증가와 함께 확산계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Plain콘크리트에 비해 압축하중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BFS의 비표면적이 높을수록 확산 계수가 작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경향은 고응력 환경에서 현저히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BFS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확산계수가 작은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압축응력이 작용하는 환경 하에서 BFS의 치환에 의한 염분침투성의 억제 효과가 더욱 더 현저히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열전도성 점착제 응용을 위한 고분자 기반 탄소나노소재 복합체 제조 및 특성 평가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mer-based carbon nanomaterial composites for thermal conductive adhesive application)

  • 이병주;조성일;윤은혜;이애리;이우영;허성규;황재성;정구환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160-168
    • /
    • 2020
  • A polymer-based carbon nanomaterial composite was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for the application of a thermal conductive adhesive. Low-dimensional carbon nanomaterials with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carbon nanotube (CNT) and graphene were selected as a filler in the composite. Thermal, electrical and adhesive properties of the composite we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he morphology and content of the low-dimensional carbon nanomaterials. As a result, the composite-based adhesive fabricated by the loading of surface-treated MWCNTs of 0.4 wt% showed uniform dispersion, moderate adhesion and effective heat dissipation properties. Finally,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thermal image analysis of LED module that the temperature reduction of 10℃ was achieved using the fabricated composite adhesive with MWCNT-6A. Expecially,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of the optimized composite adhesive was evident at the hot spot in the module compared to other samples mixed with graphene or different MWCNT loading rat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