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ssion-oriented innovation policy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임무지향적 혁신정책'의 관점에서 본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 정책 - '제2차 과학기술기반 사회문제 해결 종합계획' 사례 분석 - (Mission-oriented Innovation Policy and Korea's Social Problem Solving Innovation Policy: a Case Study)

  • 송위진;성지은
    • 기술혁신연구
    • /
    • 제27권4호
    • /
    • pp.85-11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도전과제 해결을 임무로 설정하여 이론과 정책을 개발하고 있는 임무지향적 혁신정책론의 관점에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정책을 점검하고 그 시사점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시민사회의 참여, 정부의 동태적 능력의 확보, 선도적 투자와 후속 투자의 유도의 측면에서 '제2차 과학기술기반 사회문제 해결 종합계획'을 분석했다. 이 계획은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을 위한 시민참여의 제도화, 정부의 조정·통합능력 강화와 새로운 생태계 형성을 위한 제도들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활동의 경로의존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넘어서기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또 선도적인 투자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커뮤니티 케어, 기후변화 대응과 같은 사회정책 분야의 전략 사업과 혁신정책을 통합적으로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스템 충격과 회복을 위한 신속대응 전략: 백신 신속개발 프로그램 사례연구 (Impact on societal system and rapid response strategies for the recovery: Cases of rapid vaccine development programme)

  • 박인용;박미영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20권1호
    • /
    • pp.34-49
    • /
    • 2024
  •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overcoming infectious disease' has emerged as a priority task for most policies. Each country has implemented policy programs to significantly shorten the vaccine development period with the goal of rapid vaccine development. This study judged this process to be a shock to the existing social and technological system and its recovery. Accordingly, the United States' Operation Warp Speed, CEPI's 100 days mission, and Japan's SCARDA were selected as examples of policy programs with 'rapid vaccine development' as their mission and analyzed difference from traditional vaccine development system in terms of rapid developmen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mulation of innovative resources was shared as the key to achieving the mission in the preparation stage before the outbreak of an infectious disease. However, it was also possible to discover an approach to shortening the period of each stage without fundamentally changing the vaccine development structure itself.

국가과학기술혁신 민.관협력 메카니즘의 구성요소에 대한 비교연구: 4개국 사례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ponents &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Private Partnership Mechanism on Science & Technology Innovation Policy)

  • 박용성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94-218
    • /
    • 2008
  • 본 연구는 다양하고 동태적인 과학기술 환경에 부합할 수 있는 과학기술혁신 민-관 협력 메카니즘의 구성요소를 협력사업의 추진목적, 추진주체, 대상사업측면에서 파악하여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민관협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네덜란드, 호주, 오스트리아 및 프랑스 6개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민-관 협력 메카니즘의 구성요소와 민-관간 역할분담관계를 살펴보고 과학기술혁신부문 민-관 협력 메카니즘의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비교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6개 프로그램의 공통점은 민-관 협력 메카니즘이 국가기술혁신체제 내 혁신주체 간 연계성을 강화시키는 작동기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참여주체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적 관계(interactive relationship)를 유지하며 참여주체간 목표(common objectives)를 공유하는 수준이 높고 경제적 측면보다 과학기술활동 주체들 간의 연계 및 네트워크 구축의 외부성(externality)을 중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연구개발자금의 최적 배분 및 재원조달방식을 통하여 과학기술혁신 주체간 위험과 편익의 공유를 통해 새로운 협력연구수행 인센티브를 균형적으로 조정하고 있으며, 민관 R&D간 상호보충성 제고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모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사회·기술시스템 전환을 지향하는 기업의 혁신활동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개념적 틀과 사례분석 (A Exploratory Study on the Transition-Oriented Firm: A Conceptual Framework and a Case Study)

  • 송위진;성지은
    • 기술혁신연구
    • /
    • 제29권4호
    • /
    • pp.59-93
    • /
    • 2021
  • 이 논문은 지속가능한 사회·기술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지향하는 기업의 혁신활동 특성을 논의한다.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한 전환을 위해 사회문제 해결에서 기업활동의 '목적'을 찾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현하고 있는 기업을 '전환지향적 기업'으로 정의한다. 이 논문은 시스템 전환론의 틀을 활용해서 1) 전환비전과 임무설정, 2) 전환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혁신, 3) 전환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 4) 전환의 정당성 확보 측면에서 전환지향적 기업 혁신활동의 주요 특성을 살펴본다. 그리고 사례연구를 통해 전환지향적 기업혁신 활동에 대한 가설과 이슈를 토의한다. 사례연구 기업은 생활자·시민중심의 예방·치료·돌봄통합시스템을 지향하고 있는 한국에자이다.

융합지수 측정을 통한 출연연 융합연구영역 발굴모형 연구 (A Methodology for Finding the Convergence Research Area by Measuring Convergence Index i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 고병열;김소영;이재민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46-474
    • /
    • 2019
  • 기술융합을 통해 R&D 경쟁력을 확보함과 더불어, 융합의 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융합을 유도하기 위한 전략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출연연의 융합연구전략을 도출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모형을 제시하였다. 우선적으로, 출연연 연구과제의 융합특성을 기술고유의 속성과 행위자의 행태 속성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대리변수(Rao-Stirling 지수, Herfindahl-Hirschman 지수)계산 방법을 고안하였다. 이들 대리변수를 두 축으로 출연연 융합맵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통해, 출연연 연구과제가 4개의 속성(Alliance-Intra, Alliance-Inter, Competition, Mission Oriented)으로 구분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설계된 융합맵을 기반으로 융합지수를 측정하여 출연연 간 30대 융합연구 가능영역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출연연 연구과제의 기술융합 현상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융합연구 추진을 위한 정책에 참조할 수 있는 유효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기술군집분석을 활용한 전략적 연구영역 도출

  • 이용길;이세준;박성배;원유형
    • 기술혁신연구
    • /
    • 제10권1호
    • /
    • pp.22-37
    • /
    • 2002
  • The importance of selecting the strategic research field is increasingly emphasized by research manager and technology policy-maker in perspective of the strategic allocation of R&D resources, employing the R&D personnel, and formulating technology policy. Among various methods for selecting the strategic research field, it is, however, very difficult to find the method that involves the path-dependant trend, and interdisciplinary nature of technology development. This study suggests modified technology cluster analysis (TCA) as a method for selecting strategic research field in order to include the recent technology trend in quantitative approach. TCA is the method that groups the near technologies of which the innovation pattern is similar. TCA model can be a very necessary method for multidisciplinary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GRIs) which conduct multi research field with forward oriented positioning. It is more difficult for them to select the strategic research field mainly due to their diversity and intangibility of research scope. In this study, we applied this method to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IST) which represents the most adequate research institute in terms of research diversity and forwardness.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we found that seven main technology groups come from TCA analysis, coincide with the technology topics of KIST's recent R&D planning. Even though this method designed for multidisciplinary research institutes, but it also can be used for establishing the research strategy of other (private or public) Research Institute which have the similar mission and scope of research.

  • PDF

피인용 특성 분석을 통한 출연(연) 임무중심형 기관평가 개선 방향 (Developments of Evaluation System of Mission Oriented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 by Article Citation Method)

  • 이문영;이찬구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4-430
    • /
    • 2016
  • 본 연구는 과학기술계 정부출연 연구기관 평가에서 논문의 질적 평가를 위해 새로 도입된 피인용도 지표가 성과지표의 구성요건 중 적시성을 충족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피인용 반감기와 즉시성 지수 등 논문의 주기적 특성을 분석 활용하여 실질적인 질적 성과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기관평가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로 기술의 발달과 의존성이 높아짐에 따라 학문의 변화속도 또한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나, 공공기술은 타 분야에 비해 인용속도가 느리고, 산업과 연관된 분야는 지식이전 속도가 빠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학문분야 특성에 따른 피인용 주기는 차이가 없었으며, 각 분야의 질적으로 우수한 논문의 평가 시 피인용 지수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6년정도의 기간이 누적된 데이터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야별 질적 성과평가를 위해 필요한 피인용의 시간적 특성을 기술통계적으로 도출한 결과를 반영하여 임무중심형 연구기관 평가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객관적이고 타당한 질적 평가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평가주기적, 평가기준적, 평가관리적 관점으로 제시하였다.

  • PDF

피인용 특성 분석을 통한 출연(연) 임무중심형 기관평가의 질적 성과평가 개선 방향 (Developments of Evaluation System for Qualitative Performance Measurement in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 by Article Citation Method)

  • 이문영;이찬구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68-798
    • /
    • 2016
  • 본 연구는 과학기술계 정부출연 연구기관 평가에서 논문의 질적 평가를 위해 새로 도입된 피인용도 지표가 성과지표의 구성요건 중 적시성을 충족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피인용 반감기와 즉시성 지수 등 논문의 주기적 특성을 분석 활용하여 실질적인 질적 성과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기관평가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기술의 발달과 의존성이 높아짐에 따라 학문의 변화속도 또한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나, 공공기술은 타 분야에 비해 인용속도가 느리고, 산업과 연관된 분야는 지식이전 속도가 빠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한, 학문분야 특성에 따른 피인용 주기는 차이가 없었으며, 각 분야의 질적으로 우수한 논문의 평가 시 피인용 지수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6년 정도의 기간이 누적된 데이터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야별 질적 성과평가를 위해 필요한 피인용의 시간적 특성을 기술통계적으로 도출한 결과를 반영하여 임무중심형 연구기관 평가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객관적이고 타당한 질적 평가를 위한 정책적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혁신성장 측정에 관한 연구: 성장회계모형 vs 슘페테리안 기술변화 모형 (A New way of the Measuring of Innovative Growth: Growth Accounting Model vs Schumpeterian Technological Change Model)

  • 권명중;조상혁;윤미경
    • 기술혁신연구
    • /
    • 제31권1호
    • /
    • pp.105-148
    • /
    • 2023
  • 본 논문은 Schumpeter의 기술변화 3단계 개념에 기초해서 기술진보가 실질경제성장에 기여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통계청 광업제조업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해서 2003-2018년 기간 동안 기술진보의 실질 성장기여 정도를 총요소 생산성 성장률(성장회계방법), R&D투자 기여율, 슘페테리안 혁신성장률로 각각 측정하고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회계의 총요소생산성 성장률과 슘페테리안 혁신 성장률에 의한 기술진보의 실질 성장기여에 대한 측정에서 상반된 결과를 나타낸다. 둘째, 생산성장률이 감소추세에 있으면 증가추세에 있을 때와 비교해서 생산성장률과 총요소생산성성장률 차이가 커지고, 반대로 증가추세에 있으면 감소추세에 있을 때와 비교에서 생산성장률과 총요소생산성성장률의 차이가 작아진다. 셋째, 혁신성장률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기회, 즉, 어느 한 분야의 연구개발과 그 인접분야까지의 연구개발 유인이 혁신성장에 미치는 기여도는 3.3%에 불과하다. 이 결과가 기존의 기술진보의 성장기여에 대한 인식과 다른 이유는 기술진보라는 동일한 용어를 측정하면서 서로 다른 실체를 측정하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총요소생산성 성장률은 거시적 경제효율성, R&D투자는 신기술공급의 효과성, 슘페테리안 혁신성장률은 기술진보의 경제적 영향을 측정하는 데 사용해야 한다. 본 논문 연구 결과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① 기술공급일변도의 정책에서 기술공급과 신기술수요지원의 융합정책으로 전환, ② 임무지향형 R&D 정책과 국가 R&D와 민간 R&D가 연계되는 R&D 정책, ③ 신지식체화 정도를 반영한 자본재의 재분류.

국가 출연연구소의 협업적 융합연구 성과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n Collaborative Activities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i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 조용래;우청원;최종화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089-1121
    • /
    • 2017
  • '기술융합'은 기존기술 간 결합 또는 전혀 새로운 기술개발을 통한 신산업 창출과 사회적 난제 해결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의 최근 트렌드이다. 과학기술을 통한 한국 경제성장 전략의 첨병이었던 국가출연연구소(이하 출연(연))에 대해서도 융합연구 조직으로의 역할 변화를 둘러싼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출연(연) 융합연구의 성공 핵심요소를 '협업'으로 보고 다음의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기술개발 목적과 문제해결 과정 관점에서 융합연구 개념과 범위를 정의하고, 그 특성을 반영하는 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둘째, 융합연구에서의 협업활동과 그 성과를 유형화하고 새로운 분석지표를 제안한다. 셋째, 융합연구에서의 협업활동 특성과 그 정도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 및 NST 융합연구사업을 통한 융합연구 과제 수행 경험이 있는 각 출연(연) 104명의 연구책임자들에게 협업의 방식 및 정성적 성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협업활동 특성과 성과 간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지식 창출활동에서는 협업 파트너 다변화가 중요한 변수였다. 둘째, 유사분야 연구자들 간 집체형 협업활동은 특허 기술이전과 같이 목적이 명확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자들에게 독립성과 자율성을 부여하고, 지식 노하우 등 기술역량의 상호공유가 이루어질수록 창출지식의 다양성 및 관계의 지속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융합연구를 위한 협업과 성과 분석방법의 정책방향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