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icillin-Resistant-Staphylococcus aureus(MRSA)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32초

In vitro Activities of LB20304, a New Fluoroquinolone

  • Kim, Mu-Yong;Oh, Jeong-In;Paek, Kyoung-Sook;Hong, Chang-Yong;Kim, In-Chull;Kwak, Jin-Hwa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52-59
    • /
    • 1996
  • The in vitro activity of LB20304 was evaluated against clinical isolates and compared with those of Q-35, ciprofloxacin, sparfloxacin, lomefloxacin and ofloxacin. LB20304 demonstrated 16-to 64-fold more potent activity than ciprofloxacin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LB20304 inhibited 90% of the isolates of methicillin-susceptible Staphylococcus aureus(MSSA) at a concentration of $0.016\mug/ml\; (MIC_{90}). MIC_{90}$ values of LB20304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methicillin-susceptible Staphylococcus epidermidis (MSSE), methicillin-resistant S. epidermidis (MRSE) and Streptococcus pneumoniae were $2\mug/ml,\; 0.016\mug/ml,\; 0.5\mug/ml \;and\; 0.031\mug/ml,$ respectively. LB20304 was also very active against gram-negative bacteria. Against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Serratia marcescens, Pseudomonas aeruginosa and Acinetobacter calcoaceticus, $MIC_{90}s of\; LB20304 were\; 0.031\mug/ml,\; 0.25\mug/ml,\; 2\mug/ml,\; 8\mug/ml\; and\; 0.5\mug/ml$, respectively. Its activity was comparable to that of ciprofloxacin but much better than those of Q-35, sparfloxacin, ofloxacin and lomefloxacin. LB20304 also exhibited the most potent acitvity among quinolones tested against laboratory standard strains, ofloxacin-resistant strains, .betha.-lactamase-producing strains and anaerobic strains. The inhibitory effect$ (IC_{50)$ of LB20304 on DNA gyrase from Micrococcus luteus, determined by the supercoiling assay, was 8-fold more potent than that of ciprofloxacin. LB20304 did not induce topoisomerase-associated DNA cleavage even at a concentration of 10 mg/ml, although ciprofloxacin induced DNA cleavage at a concentration of 1 mg/ml.

  • PDF

인체분변으로부터 분리한 유산균 Lactobacillus pentosus Miny-148의 생균제 특성 연구 (Probiotic Property of Lactobacillus pentosus Miny-148 Isolated from Human Feces)

  • 정민영;박용하;김현수;부하령;장영효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77-184
    • /
    • 2009
  • 우수한 생균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안전성이 알려진 유산균을 대상으로 인체의 분변으로부터 300여 균주를 분리하고 내산성, 내담즙성, 내열성, 항균력, 항암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균주들을 선발하여 생균제 특성을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체에서 분리한 여러 균주 중 Miny-148 균주는 낮은 pH 및 높은 담즙산에 대한 내성, 열처리에 대한 열안정성을 지녀 기초적인 probiotic 특성을 가진 균주로 선발되어, Lactobacillus pentosus (99.9% 상동성)로 동정되었다. 항균력 실험에서 Escherichia coli O157:H7을 비롯한 Shigella flexneri, Bacillus anthracis, Staphylococcus aureus, E. coli, Vibrio cholerae, V. vulnificus, Salmonella typhimurium, 그리고 및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MRSA) 균주 8종 등 총 16종의 병원성세균을 억제하였다. 또한 Miny-148은 결장암 세포인 HT-29 cell을 억제하였을 뿐 아니라, 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virus의 생육을 저해하여 세포변성 억제효과를 가진 우수한 probiotic 특성을 지닌 균주로 분석되었다.

일개 병원 신생아실 근무 의료인에서 시행한 비강 내 MRSA 집락의 특성 및 전파예방에 관한 보고 (Characteristic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Nasal Colonization Among Neonatal Unit Staff and Infection Control Measures)

  • 김동환;김선미;박지영;조은영;최창희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6권2호
    • /
    • pp.131-141
    • /
    • 2009
  • 목 적: 본 연구는 2명의 정상 신생아에서 다제 감수성을 보이는 MRSA 균주에 의한 피부 고름집이 연속적으로 발생하여 병원 내 신생아실 근무 의료인을 대상으로 MRSA 집락의 특성, 그리고 전파 예방에 대해 알고자 시행하였다. 방 법: 2007년 2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삼육서울병원 신생아실에 근무하는 의료인과 신생아실 물품들을 대상으로 2-4개월 간격으로 의료인 10명의 비강과 손에서 총 7회(비강 45례, 손 44례)에 걸쳐 세균배양 검사 및 항생제 감수성 검사, 신생아실 내 물품을 대상으로 총 8회의 세균배양 검사 그리고 4개월 간격으로 총 6회의 낙하균 검사를 시행하였다. 비강 세균배양 검사에서 MRSA 균주가 동정되었을 경우, 탈집락 요법으로 7일간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80 mg/400 mg twice daily) 경구 투여, 혹은 2% mupirocin 연고를 도포하여, 치료 종료 후 2주 후 비강 세균배양 재검사를 시행하여 MRSA가 동정되지 않은 경우를 단기 치료에 성공한 것으로 보고, MRSA가 동정된 경우를 치료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 과: MRSA 탈집락요법 2주 후 92%에서 탈집락이 관찰되었으나 대부분에서 2개월에서 16개월 사이에 재 집락이 관찰되었으며 2-4개월 간격으로 시행한 신생아실 근무 의료인의 비강 세균배양 검사 시 마다 16.7%에서 50%의 MRSA 보균이 관찰되었다. 비강 내 MRSA 균주는 초기 다제 감수성을 보이다가 다제 내성 균주 증가 양상이 관찰되었다. 물품 배양검사에서 드레싱 운반차 50%, 컴퓨터 키보드 43.8%, 신생아 침대 25%, 목욕대야 25%, 그리고 전화대야서 18.8%에서 균이 동정되었다. 낙하균 검사에서 연구 초기에 비해 후기에 유의하게 낙하균 감소가 관찰되었다(P <0.05). 결 론: 병원 내 지역 사회 연관 MRSA 유행 시에 선별검사를 통한 보균자의 조기치료가 단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항생제의 경구 복용과 비강 도포 모두에서 효과가 좋았으나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유의하게 보균율의 차이가 없었으며 순응도 감소 및 항생제 내성의 증가가 관찰되어 보균자의 조기 치료만으로는 MRSA의 지속적 전파를 차단할 수 없으며, 교육을 통한 손 소독 강화, 주기적인 감시체제를 통한 경각심, 그리고 신생아실 내 손소독제의 사용, 환경 소독 등의 고식적인 방법 들이 더욱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설사 환자에서 분리된 Staphylococcus aureus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Patients with Diarrhea.)

  • 박은희;민상기;이주현;박연경;정구영;빈재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47-651
    • /
    • 2005
  • 부산광역시 관내 병원에 내원한 설사환자 704명의 분변으로부터 64건의 황색포도상구균을 분리하였다. 황색포도상구균의 평균 분리율은 $9.1\%$였으며, 5월에 가장 높은 16건$(16.8\%)$이 분리되었으나 계절에 상관없이 꾸준히 분리되었다.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 64균주 중 $45.3\%$인 29균주의 황색포도상구균이 장독소를 생산하였으며, 장독소 유형별로 A형이 24균주$(37.5\%)$, B형이 3균주$(4.7\%)$, C형이 2균주$(3.1\%)$순이었다. 또한 15종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율은 penicillin과 ampicillin에 대하여 각각 $95.4\%$$93.8\%$로 매우 높은 내성율을 나타내었으나, chloramphenicol과 vancomycin에 대하여는 $100\%$ 감수성이었다. Oxacillin에 내성을 나타내는 MRSA은 $31.3\%$였으며, vancomycin에 내성을 나타내는 VRSA은 $0\%$였다. 성별과 연령에 따른 MRSA의 분리율은 남자가 $35.7\%$ (15균주/42균주), 여자는 $26.3\%$(5균주/19균주)로 남자가 더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9세 이하 5명(남자 4명, 여자 1명), 20대 1명(남자 1명), 30대 2명(남자 2명), 50대 4명(남자 3명, 여자 1명), 60세 이상 8명(남자 5명, 여자 3명)이었다. 10대와 40대에서는 MRSA가 분리되지 않았다. 공시 항생제에 대한 내성양상은 분리된 64주 중 61주의 균이 최소 2종류 이상의 약제에 대하여, 최고 12종류의 약제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다제내성형을 나타내었다.

The First Neonatal Case of Panton-Valentine Leukocidin-Positive Staphylococcus aureus Causing Severe Soft Tissue Infection in Korea

  • You Hoon Kim;Seung Hyun Shin;Hyeri Seok;Dae Won Park;Young Hwan Park;Yoonsun Yoon;Yun-Kyung Kim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0권3호
    • /
    • pp.152-158
    • /
    • 2023
  • 황색 포도알균은 흔한 피부 및 연조직 감염의 원인이며, panton-valentine leukocidin (PVL) toxin 생산 황색 포도알균은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고 있으며 심각한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PVL 양성 황색 포도알균으로 인한 신생아 감염은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생후 7일 신생아에서 발견된 PVL 양성 황색 포도알균 감염으로 인한 심한 피부, 연조직 감염 사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당일 발생한 발열, 2일 전 시작된 둔부 열감, 부종, 압통으로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내원 당일, 발열, 빈맥, 전신 컨디션 저하, 둔부의 열감과 압통 진행이 확인되었다. 초음파 및 자기공명영상검사에서 피부 및 연조직, 일부 근육을 침범한 괴사성 근막염이 확인되었다. 둔부 병변에서 배농한 검체에서 PVL 양성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 (MRSA)이 배양되었고, 균혈증은 없었다. 환자는 한달 간의 정맥 항생제 투여와 외과적 배액 수술 후 회복되었다. 퇴원 한달 후, 환자는 외이도염으로 재입원, 피부에서 동일한 MRSA가 확인되었다. 병변은 정맥 항생제 투여 및 소독만으로 호전되었다. 환자는 0.5% 클로르헥시딘 목욕을 통해 탈집락화(decolonization)를 시행하였고, 회복 후 재감염은 없었다. 본 사례는 PVL 생산 황색 포도알균 감염에 대해 적극적인 배액 수술 및 항생제 치료가 필수적이며, 재발 및 지역사회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적인 탈집락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MRSA에 대한 울금 추출 및 분획물의 항균활성과 항생제 증강 효과 (Antibacterial Activity and Enhancing Antibiotic Effect of Extract and Fractions from Curcuma longa against MRSA Strain)

  • 이경인;최철희;김선민;표병식
    • 생약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8-42
    • /
    • 2010
  • Curcumin content of butanol fraction from C. longa was found to be 22.4942% of the highest content. However, in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MRSA, CCARM3696), ethylacetate fraction contained 2.5791% of curcumin was exhibited highest activity. In comparison of enhancing antibiotic(ampicillin) effect against MRSA, ethanol extract contained 1.7838% of curcumin showed more strong activity. This indicates that the ethanol extract and some fractions from C. longa can have antibacterial activity and enhancing antibiotic effect possibly without curcumin. Appropriate use of antimicrobial agent was important point prior to the development of new antibiotics. And in that sence, extract and fractions of C. longa were worth using as synergist of antibiotics and natural antimicrobial agent.

The Synergistic Antibacterial Activity of 1-Acetyl-$\beta$-Carboline and $\beta$-Lactams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 Shin, Hee-Jae;Lee, Hyi-Seung;Lee, Dae-S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3호
    • /
    • pp.501-505
    • /
    • 2010
  • 1-Acetyl-$\beta$-carboline was isolated as an anti-MRSA agent from the fermentation broth of a marine actinomycete isolated from marine sediment. The producing strain was identified to be Streptomyces sp. by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16S rRNA gene sequence. The anti-MRSA agent was isolated by bio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the culture extract by solvent partitioning, ODS open flash chromatography, and purification with a reversed-phase HPLC. Its structure was elucidated by extensive 2D NMR and mass spectral analyses. Combination of 1-acetyl-$\beta$-carboline with ampicillin exhibited synergistic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MRSA.

Antibacterial and Synergistic Activity of Isocryptomerin Isolated from Selaginella tamariscina

  • Lee, June-Young;Choi, Yun-Jung;Woo, Eun-Rhan;Lee, Dong-G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2호
    • /
    • pp.204-207
    • /
    • 2009
  • We investigated novel antibacterial and synergistic activities of isocryptomerin isolated from Selaginella tamariscina. Isocryptomerin showed pote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l strains including clinical isolates of antibiotic-resistant species such as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 Additionally, we further investigated the synergistic activity of isocryptomerin with a conventional antibiotic against MRSA. The result indicated that isocryptomerin had considerable synergistic activity in combination with cefotaxime. In summary,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isocryptomerin may have potential as a novel therapeutic agent for treatment of infectious diseases by not only human pathogenic bacteria but also multidrug-resistant bacteria.

광배근 근피판을 통한 두피 재건 및 두개골성형 (Scalp Reconstruction and Cranioplasty using the Latissimus Dorsi Musculocutaneous Flap in a Patient with Recurrent Wound Dehiscence Accompanied by MRSA Infection)

  • 윤태근;김상화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9-63
    • /
    • 2022
  • The latissimus dorsi flap has high vascularity and is helpful for the reconstruction of infected areas. Herein, we present a patient with recurrent infections and soft-tissue defects who underwent cranial reconstruction using a free latissimus dorsi flap. The patient had undergone craniectomy and reconstruction using alloplastic bone 18 years previously. A scalp defect accompanied by infection occurred five years ago, and patient underwent reconstruction using a free flap at another hospital; however, the problem persisted. After debridement and bone flap removal, the right latissimus dorsi musculocutaneous flap was elevated, and the thoracodorsal artery and vein were anastomosed end-to-end to the right superficial temporal artery and vei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was eradicated, and the flap survived. Cranioplasty was performed eight months later, and one year follow-up proceeded without complications. Effective reconstruction and cranioplasty are possible using the free latissimus dorsi musculocutaneous flap, even on scalp with persistent infections and soft-tissue defects.

오존화 올리브 오일의 세균과 Candida alicans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Effects of Ozonized Olive Oil Against Bacteria and Candida albicans)

  • 정경태;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23-230
    • /
    • 2019
  • 오존은 박테리아, 원생동물, 효모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는 기체 분자이다. 그러나 오존 가스는 대기 중에서 불안정하기 때문에 쉽게 사용할 수 없다. 최근에 오존을 쉽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식물성 오일을 활용하는 방법이 개발되었고, 활용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오존은 지방산의 C-C 이중 결합과 반응하여 오존화된 오일로 전환 될 수 있다. 이 반응에서 오존 처리된 오일의 지방산 내에서 오각형 고리 구조화합물인 오조나이드가 생성된다. 이 연구에서는 올리브 오일을 사용하여 오존 처리된 오일이 4 종류의 세균과 곰팡이에 대해 중요한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다는 가설을 연구하였다. 오존화 올리브 오일을 4 가지 피부 감염미생물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2), 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 12228), Pseudomonas aeruginosa (ATCC 27853), Candida albicans (ATCC 10231) 및 장내 세균인 Escherichia coli에 처리하였다. 항미생물 활성은 미국 국립 임상 실험 표준위원회 방법(National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USA)에 따른 disk 확산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최소억제농도(MIC)는 S. aureus에 대해 0.25 mg, S. epidermidis에 대해 0.5 mg, P. aeruginosa에 대해 3.0 mg 및 E. coli에 대해 1.0 mg로 나타나 오존화 올리브 오일은 그람음성균보다 그람양성균에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S. aureus와 MRSA에 대한 항균활성을 비교하였을 때 MRSA에서 오존화된 올리브 오일이 S. aureus보다 더 민감하게 작용하였으며, 진균인 C. albicans는 한 시간 이내에 사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오존화 올리브 오일이 강력한 항미생물 물질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